• 제목/요약/키워드: B.thuringiensis subsp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137초

새로운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균주의 제제화 (Formulation of a New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NT0423.)

  • 김호산;노종열;이대원;장진희;제연호;우수동;김주경;유용만;강석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8-36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새로 분리된 B. thuriniensis(Bt) NT0423 균주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미생물 살충제를 개발하고 그 효력을 검정하였다. 농업부산물인 저가의 대두박과 밀기울을 이용한 새로운 SW32 배지로 Bt NT0423 균주를 대량배양하여 BioBact 10%, 20% 및 40%로 명명된 세 종류의 미생물 살충제를 수화제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 종의 BioBact 제제는 수화성, 현수성, 입도 및 부착성에서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또한 SDS-PAGE분석 결과,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도 안정적으로 존재하였다. 세 종의 BioBact로 명명된 제제중, BioBact 10%는 독성이 낮았지만, BioBact 20%와 40%는 배추좀나방을 공시충으로하여 시판중인 Bt 제제인 subsp. kurstaki 균주를 사용한 A 제품, Bt subsp. aizawai 균주를 사용한 B 제품 및 화학살충제와 더불어 실내 및 야외 독성검정 실험을 비교 수행한 결과, 각각 100%와 80% 이상의 매우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또한 야외에서 독성의 지속성도 다른 제제에 비해 최소 7일 이상 살충력이 유지되었다.

  • PDF

식물세포에 살충독소 유전자의 전이: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단백질 유전자의 클로닝 (Transfer of Insecticidal Toxin Gene in Plants:Cloning of Insecticidal Protein Gene in Bacillus thuringiensis)

  • 이형환;황성희;박유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47-652
    • /
    • 1990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의 내 독소생산과 내독소단백질 유전자의 클로닝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상기 균주는 아포생성기간 중에 이중피라미드형의 내독소를 생산하였고, 크리는 약 $2.9\times 1.0 \mu m$이었다. 상기 균주는 약 10개의 플라수미드 DNA를 가지고 있었으며, 플라스미드의 분자량의 범위는 2.1에서 80kilobases였다. 플라스미드 73kb, BamHI 절단 29Kb DNA 단편과 PstI 절단 7.9Kb DNA는 Probe DNA와 혼성화되었다. PstI 7.9Kb DNA를 추출하여 운반체인 pBR322 운반체의 PstI 절단부위에 삽입하여 클로닝한 후에 E.coli HB101 균주에 형질전환하였으며, 이 클로운을 pKL-20-1로 명명했고 이 형질전환체는 Bombyxmori 유충을 치사시키는 독소물질을 생산하였다.

  • PDF

국내에서 생산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iopesticides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d in Korea)

  • 길미라;김다아;최수연;백승경;김진수;김대용;황인천;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1-209
    • /
    • 2007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5개의 미생물농약(A제품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B제품 : B. thuringiensis, C제품 : B. thuringiensis Berline Variety kurstaki, D제품 : B. thuringiensis var. kurstaki, E제품 :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품의 생물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성포자수의 조사 결과, 각 각 제품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보다 A B제품은 약 100배, D E제품은 약 10배로 감소되어 나타났고, C제품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5개 제품의 pH를 측정한 결과 A, B제품은 각각 pH 3.67, pH 3.73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3개 제품은 약 pH 5로 나타났다.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된 독소단백질의 형태에서는 C제품이 B. thuringiensis 고유의 뚜렷한 이중피라미드모양의 독소단백질 모습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A제품에서는 이중피라미드모양이 심하게 마모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B. thuringiensis 제품을 작물에 사용하였을 때 균일하게 도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형의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C D E 제품은 NA배지에 균일하게 균이 배양되었고, A B 제품은 NA배지 상에 균일성을 보이지 않았다. 제품상의 특성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A'와 'C'제품으로 배추좀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한 결과, 두 제품 모두 추천 농도에서 48시간 이후 100% 사충율을 보였으나 'A'제품의 경우에는 희석 배수에 따라 사망률이 일정하지 않게 나타났다.

담배거세미나방(Spodoplera lilura)에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균주의 내독소 단백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delta}$-Endotoxin Protein Produced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Isolate Showing High Bioactivity against Spodoptera litura)

  • 정선영;서미자;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6-455
    • /
    • 2010
  • 주요 농업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하여 높은 생물활성을 보이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KB099 균주의 내독소단백질의 특성이 검토되었다. 이 균주의 내독소단백질은 효소 처리 없는 SDS-PAGE 결과 HD-l 균주에서는 일부 용해되어 130 kDa과 60 kDa의 두 개의 단백질밴드가 나타났으나 KB099균주에서는 용해되지 않고 130kDa의 밴드만이 관찰되었다. KB099균주의 내독소단백질에 감수성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의 중장액으로 소화하였을 때에는 약 60 kDa 단백질밴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균주의 각각의 내독소단백질에 감수성해충의 소화액으로 반응시켰을 때 생물활성이 약했던 HD-l균주는 약6시간 만에 주요 밴드가 사라지는데 비해 활성이 강한 KB099균주는 12시간이상 까지도 활성밴드가 유지되다가 24시간 정도에서 밴드가 사라졌다. KB099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단백질 유전자의 탐색을 위한 PCR실험에서 Cry1Aa, Cry1Ab, Cry1Ac, Cry1C, Cry1D 그리고 Cry1I 등 6개의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from China

  • Qi Xu Feng;Li Ming Shun;Choi Jae Young;Kim Yang-Su;Wang Yong;Kang Joong Nam;Choi Heekyu;Je Yeon Ho;Song Ji Zhen;Li Jian H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1권1호
    • /
    • pp.57-61
    • /
    • 2005
  • A strain of Bacillus thuringiensis that showed signifi­cantly high toxicity to Plutella xylostella was isolated from a dust sample collected from Chinese tobacco warehouse and characterized. The isolate named B. thuringiensis LY-99 was determined to belong to subsp. alesti (H3a3c) by an H antisera agglutination test and produced bipyramidal inclusions. Plasmid and crystal protein patterns of the LY-99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reference strain, subsp. alesti. PCR analysis with specific primers revealed that this isolate contained abundant cry genes including crylAa, crylAc, crylB, crylD, crylE, crylF and cry2 genes, which was absolutely different from cry gene profile of the subsp. alesti. In addition,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LY-99 against P. xylostella larvae was about 4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ubsp. alesti.

담배거세미나방에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ew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with Bioactivities to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 김다아;김진수;길미라;백승경;최수연;김대용;윤용남;황인천;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7-93
    • /
    • 2008
  • 국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thuringiensis 균주에서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에 선택적으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주의 결정성 독소단백질은 위상차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전형적인 이중피라미드 형태이며 H serotype으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CAB 109로 동정되었다. 난방제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 3령충에 대해 B. t. subsp. aizawai CAB 109균주외 분리된 다른 3균주의 생물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살충활성 결과에서 B. t. subsp. aizawai CAB 109 균주가 $1.3{\times}10^7$ (cfu/ml)에서 100% 사망률로 다른 균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담배거세미나방은 배추좀나방과 다르게 7일 이상 경과한 뒤에야 100% 사충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담배거세미나방 2령, 3령, 4령충에 대한 살충활성의 검정에서 B. t. aizawai subsp. CAB 109 균주의 $LD_{50}$값이 각각 $9.78{\times}10^5,\;6.87{\times}10^6,\;1.83{\times}10^7$ (cfu/ml)으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B. t.를 섭식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사망 현상은 지효성이며 대조군보다 무게가 $6{\sim}7$배정도 적으며 다음 령기로 성장하지 못하고 죽었다. 또한 B. t. subsp. aizawai CAB 109 균주의 SDS-PAGE에서의 단백질 패턴과 trypsin을 처리한 단백질의 결과에서 기존의 B. t. subsp. aizawai와 CAB 109균주와의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국내 지역별 채집계통 및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의 생물활성 비교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Strai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 in Korea to Bacillus thuringiensis)

  • 김영림;조민수;오세문;김성우;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2
    • /
    • 2010
  • 국내 난방제 해충의 하나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상업용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들을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 채집한 지역계통과 2개의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토하였다. 상품화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계통인 Tyuneup$^{(R)}$, Thuricide$^{(R)}$, Geumulmang$^{(R)}$ 등 3제품과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 계통인 Tobagi$^{(R)}$, Scorpion$^{(R)}$ 등 2제품을 이용하였다. 공시충으로 사용된 배추좀나방은 계대사육중인 감수성개체군 NP와 GR 2종류이며, 전국의 배추밭에서 채집한 SP, HS, NM, DR, HC, HW개체군 등 6종류를 야외 개체군으로 사용하였다. Tyuneup$^{(R)}$ 제품의 생물검정에서 감수성 계통인 고령지시험장계통의 GR과 비교해 SP 개체군은 4.8배를 그리고 HS 개체군은 2.5배의 저항성발달을 보였다. Geumulmang$^{(R)}$ 제품의 경우에는 감수성계통인 NP 개체군에 비하여 SP 개체군에서 9.9배와 NM 개체군에서 6.8배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냈다. Tobagi$^{(R)}$는 HS 개체군에서 GR 개체군에 비해 14배의 저항성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계통의 Scorpion$^{(R)}$은 SP 개체군에 약 2배정도의 저항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특정한 B. thuringiensis 제품이 특정지역에 집중적으로 계속 사용함으로서 저항성이 발달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종류가 다른 B. thuringiensis 제품을 교호 살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Tobagi$^{(R)}$에 14배의 저항성 발달을 보인 HS 개체군을 실험실에서 동일약제에 연속으로 노출시켰을 때 $F_2$세대에서는 급격히 저항성 수치가 떨어져 1.1로 나타나 저항성 기작의 검토가 필요하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BT-209 producing Cuboidal $\delta$ -endotoxin crystals

  • Jung, Yong-Chul;Kim, Sung-uk;Son, Kwang-Hee;Lee, Hyung-Hoan;Bok, Song-H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138-142
    • /
    • 1995
  •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BT-209 was isolated from a soybean grain dust sample in Korea. The strain BT-209 produced two different sizes of cuboidal crystals and one spore in the cell. In th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the strain BT-209 showed negative reactions on the production of urease, and the utilization of citrate and sucrose. Examination of its antibiotic resistance revealed that while the strain BT-209 showed higher sensitivity than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 to ampicillin, bacitracin, chlortetracycline, gentamycin, neomycin, penicillin G, tetracycline and tobramycin, it was more resistant to methicillin than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HD-1. The $\delta$-endotoxin crystal of strain BT-209 consisted of three proteins with apparent molecular weights of appoximately 148, 135 and 62 kDa on a 10% SDS-PAGE. The strain BT-209 had at least eight different plasmids with sizes of 4.1, 5.2, 6.3, 8.6, 14.6, 24.5, 67.6 and 77.6 Kb. The strain BT-209 showed strong lethalities of 70% and 87% against Bombyx mori and Hyphantria cunea larvae. at 72 h, respectively.

  • PDF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Cry1Ac Crystal Proteins with Foreign Proteins in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ry ̄B

  • Roh, Jong-Yul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제46회 춘계 학술연구 발표회
    • /
    • pp.31-32
    • /
    • 2003
  •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s insecticidal parasporal inclusions (crystal protein) used as a major ingredient of most microbial insecticides. Although many B. thuringiensis strains and their crystal proteins have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such findings have limitation of usefulness. For enhanced toxicity, fast effects, and the delay of resistance development, research on genetic manipulation of crystal genes and proteins by genetic engineering should be continued. (omitted)

  • PDF

살충성 형질 전환 토마토 식물체의 분자 육종 (Molecular Breeding of Transgenic Tomato Plants Expressing the ${\delta}-Endotoxin$ Gene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enebrionis)

  • 임성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37-140
    • /
    • 1998
  • 딱정 벌레목 유충에 살충성을 나타내는 형질 전환 토마토 식물체를 4세대까지 분자 육종을 하였다. 분자 육종된 4세대 식물체에서 살충성 유전자인 B.t.t. 독소 유전자와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4세대 형질 전환 식물체는 독소 유전자 발현에 의해 딱정 벌레 유충에 살충성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 되었고, 4세대 형질 전환 식물체는 염색체는 2 배수체로 확인되어 정상적인 토마토 식물체임이 증명 되었다. 이 결과들은 형질 전환에 사용된 독소 유전자가 다음 세대로 안정되게 유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형질 전환된 식물체의 분자 육종은 농업에 있어서 현재의 일시적인 해충 방제에 비해 장기적인 해충 구제에 대한 새로운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