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kazinoki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닥나무속(Broussonetia, 뽕나무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Broussonetia (Moraceae) in Korea)

  • 윤경원;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0-85
    • /
    • 2009
  • 한국산 닥나무속 식물의 분류학적 특징을 재검토하였다. 한지를 만드는데 사용해 온 닥나무와 꾸지 나무의 교잡종인 꾸지닥나무가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에서 자생하고 있어 새로이 Broussonetia ${\times}$ hanjiana M. Kim으로 명명하였다. 꾸지닥나무는 그동안 일반인들이 닥나무라고 일컫기 때문에 꾸지닥나무 대신에 닥나무라고 하였다. 따라서 Broussonetia kazinoki는 닥나무 대신에 애기닥나무라고 변경하였다. 또한 가거도에서 발견된 자웅이주인 애기닥나무를 가거애기닥나무(B. kazinoki for. koreana M. Kim)라고 새로이 명명하였다.

Test of the hybrid origin of Broussonetia × kazinoki (Moraceae) in Korea using molecular markers

  • WON, Hyosi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82-293
    • /
    • 2019
  • Broussonetia × kazinoki Siebold has long been utilized as a major component in the manufacturing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and has been suggested as a hybrid species of B. papyrifera and B. monoica. By applying three molecular markers, chloroplast (cp) ndhF-rpl32 IGS, a nuclear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the TOPO6 gene, the hybrid origin of B. × kazinoki is tested. As a result, B. × kazinoki in Korea is demonstrated to be a hybrid of B. monoica × B. papyrifera, most likely formed naturally in Korea. The cp haplotypes detected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origin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maternal lineage B. monoica and paternal lineage B. papyrifera. The two nuclear markers were supplemented to each other, leading to the discovery of introgression in Broussonetia.

닥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Extracts)

  • 박수아;하지훈;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77-1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닥나무 추출물은 우수한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8.53{\mu}g/mL$)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항산화능(OSC50)은 $1.69 {\mu}g/mL$이었다. 닥나무 추출물에 대하여 $^1O_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은 $10{\mu}g/mL$의 낮은 농도에서 ${\tau}_{50}$이 183.3 min으로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tau}_{50}$ = 38.00 min)보다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MS 및 $^1H$-NMR을 이용하여 닥나무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닥나무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kazinol류의 kazinol J와 플라보노이드류인 luteolin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닥나무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또는 이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otective and Inhibitory Effect of Antioxidants Found in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 Jang, Tae-Won;Choi, Ji-Soo;Kim, Hoi-Ki;Lee, Eun-Ja;Lee, Ki-Beom;Kwon, Tae-Hyung;Kim, Do-Wan;Ahn, Jeong-Jwa;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4-722
    • /
    • 2019
  • Oxidative DNA damage negatively affects humans and the research is currently ongoing to find ways to reduce oxidative stress. Oxidative stress has been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triggering various diseases. Thus, its alleviation is important for human health. Broussonetia kazinoki (B. kazinoki)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dermatological therapy to treat burns, pruritus, and acne. B. kazinoki is generally segregated into peeled root (PR), root bark (RB), peeled stem (PS), and stem bark (SB). To assess these components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on against DNA damage, their ethyl acetate fractions were examined by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factors involved in attenuating DNA damage, the protective effect of SB on oxidative stres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p53 and γ-H2AX. Additionally, the levels of p53 and H2AX mRNA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B component of B. kazinoki had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 compared to the other parts of the plant.

The Leave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Inhibit Atopic Dermatitis-Like Response on Mite Allergen-Treated Nc/Nga Mice

  • Lee, Hoyoung;Ha, Hyekyung;Lee, Jun Kyoung;Park, Sang-Joon;Jeong, Seung-Il;Shin, Hyeun Ky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5호
    • /
    • pp.438-444
    • /
    • 2014
  •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B. kazinoki) has long been used in the manufacture of paper in Asian countries. Although B. kazinoki leaves (BK) have been employed in dermatological therapy, use of BK has not been tested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D). Using Nc/Nga mice, which are genetically predisposed to develop AD-like skin lesions, we confirmed the efficacy of BK in AD treatment. BK extract was applied topically to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AD-like lesions in Nc/Nga mice, and the effects were assessed both clinically and by measuring skin thickness on the back and ears. We measured the effects of BK extract on plasma levels of IgE and IL-4. We also measured the ability of BK extract to inhibit the secretion of hTARC in HaCaT cells after stimulation by TNF-${\alpha}$ and IFN-${\gamma}$. We found that BK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ear and dorsal skin thickness and the clinical signs of AD, as well as significantly down-regulating the plasma levels of IgE and IL-4 (p<0.01 for each comparison). Moreover, $500{\mu}g/mL$ of BK extract inhibited hTARC secretion in HaCaT cells by activated TNF-${\alpha}$/IFN-${\gamma}$ by about 87%.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pical application of BK extract has excellent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AD.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eaceae) 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Seed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aceae) Native to East Asia)

  • 김건모;정재민;정지영;최혁재;이승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43
    • /
    • 2022
  • 본 연구는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의 자원식물로서 활용을 위한 대량증식법 개발을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의 발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광·온도조건, GA3 처리, 저온층적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도조건 실험에서 4, 15/6, 20/10, 25/15℃에서 발아율은 각각 0, 42.5, 44.4, 91.7%였다. 따라서 애기닥나무 종자의 발아 최적온도는 25/15℃였다. 온도조건에 따라 발아가 제한되었지만, GA3 처리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발아율을 높일 수 있었다. 저온층적처리를 통해 발아소요일수를 단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애기닥나무 종자를 conditional dormancy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적정 발아 온도조건은 25/15℃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조건에서도 GA3처리로 종자기반 대량증식이 가능하며, 향후 산업적인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닥나무의 목질부로 만든 우드세라믹의 비파괴휨강도평가 -소성온도의 영향- (Nondestructive Bending Strength Evaluation of Woodceramics Made from Woody Par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 변희섭;원경록;이호영;오승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35-41
    • /
    • 2012
  • 공진주파수 모드를 이용하는 비파괴 평가기술법을 닥나무를 소성온도별(600, 800, 1000, $1200^{\circ}C$)로 제조한 우드세라믹에 적용하였다. 공진주파수 및 동적 탄성계수는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동적 탄성계수 및 정적 휨 탄성계수와 휨강도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모드를 사용하는 동적 탄성계수측정은 소성온도에 따라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휨강도를 예측하는 비파괴 평가 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칠, 닥나무, 꾸지뽕 혼합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Mixed Extract from Dendropanax morbiferus, Broussonetia kazinoki,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솔;김상준;오준석;홍재희;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3-236
    • /
    • 2019
  • Dengropanax morfiferus (D), Broussonitia kazinoki (B), and Cudriania tricuspidata (E), a widely cultivated species in South Korea,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numer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in a various signaling mechanisms using mixed extract and major component contents were analyzed by HPLC in the combined extracts from Dengropanax morfiferus, Broussonitia kazinoki, and Cudriania tricuspidata (DBCE). DBCE inhibited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activation and showed potent antioxidant effects, which are evaluated using DPPH, ABTS, and SOD assay.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inflammatory cells in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DBCE showed the protective effects in RINm5F cells against cytokines-induced damage by suppressing inducible nitric oxide (NO) synthase and COX-2 expression and NO production. Insulin resistance is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type 2 diabetes. Therefore, the regulatory effect of DBCE on glucose uptake and production are investigated in insulin-responsive human HepG2 cells. DBCE stimulated glucose uptake, prevented Glut2 and phosphor-IRS1 downregulation induced by high glucose (HG, 30 mM). Moreover, DBCE pretreatment diminished glucose levels, PEPCK and G6Pase overexpression provoked by H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BCE might be used for diabetes treatment through alpha-glucosidase or alpha-amylase activity regulation, pancreatic beta cell protection, hepatic glucose sensitivity improvement.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s around the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닥나무 추출물의 Marmesin 성분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Method Determining Marmesin in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

  • 권진관;서찬곤;홍성수;서동완;오좌섭;김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04-1609
    • /
    • 2016
  • 본 연구는 HPLC를 이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인 marmesin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표준액과 닥나무 추출물은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분리되었으며, 표준액과 추출물의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한 spectrum을 나타내었다. 또한, blank에서 표준액과 겹치는 피크가 없는 것으로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9로 모두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으며, 직선상의 검출한계는 $2.8{\sim}6.2{\mu}g/mL$였고 정량한계는 $8.4{\sim}18.6{\mu}g/mL$로 나타났다. 닥나무 추출물 1.3, 2.6, 3.9 mg/mL의 세 농도의 회수율은 100.35~101.18%였으며 정밀도는 0.27~0.30%로 나타나 정밀도 2.0% 이하로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밀성은 0.04~0.30%의 정밀도를, 실험실 내 정밀성에서는 0.03~0.30%의 정밀도를 나타내었고 intra-day에서의 정밀도는 0.25~0.42%, inter-day에서는 0.32~0.70%의 정밀도를 나타내어 닥나무 추출물의 지표성분 marmesin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분석법은 닥나무 추출물의 건강기능식품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닥나무 톱밥 첨가량에 따른 표고 생육특성 비교 (Comparison of Lentinula edodes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per Mulberry Sawdust Added)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5-331
    • /
    • 2018
  • 우리는 수피를 사용 후 폐기되는 닥나무 목질부를 표고재배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실제 사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의 혼합 비율에 따라 1.2 kg의 기둥형 배지를 5가지 조건으로 제작하였다. 두 가지 균주(NIFoS 2462, 2778)를 접종하여 암배양 90일, 명배양 40일을 실시하였다. 배양이 끝난 뒤, $18^{\circ}C$, 습도 85% 이상의 조건에서 발생작업을 실시하였다. 각 발생 기간 사이에는 2주간의 휴양기간을 두었다. 1차 발생과정에서 버섯발생의 밀도가 높아, 개체의 크기가 작은 버섯들이 수확되었다.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상수리나무 1:신갈나무 1) 혼합비가 3:1일 때 가장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NIFoS 2462는 닥나무 톱밥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NIFoS 2778은 닥나무가 혼합된 배지에서 버섯의 크기가 유사하였다. 반면에 NIFoS 2462는 닥나무 톱밥과 참나무 톱밥이 혼합된 배지에서 중량이 감소하였으나, 다른 특성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닥나무 톱밥은 표고 버섯 재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참나무 톱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폐기 된 부산물의 이용 가치를 높이는 결과라고 생각되며 연구를 계속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