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GL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홍수빈도해석 지침서 수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n a Flood Frequency Analysis Guideline for Korea)

  • 김영오;성장현;서승범;이경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53.2-53.2
    • /
    • 2010
  • 국내 홍수빈도해석 지침서 제공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국 홍수빈도해석 지침서인 Bulletin 17B과 같이 국내 적합한 홍수빈도해석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홍수빈도해석 지침서의 핵심은 확률분포형과 매개변수 추정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에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GLO(Generalized Logistic) 분포, B-GLS(Bayesian Generalized Least Square) 기법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GLS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대유역에 골고루 위치하며 댐의 영향을 받지 않는 31개 지점의 연최대 일유량 시계열의 L-변동계수(L-moment coefficient variation)와 L-왜도계수(L-moment coefficient skewness)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위 회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유역특성으로는 유역면적, 유역경사, 유역평균강우 등을 사용하였다. Bayesian-GLS(B-GLS) 적용 결과를 OLS(Ordinary Least Square) 및 B-GLS 기법에서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Bayesian-WLS(Weighted Least Square)와 비교 평가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B-GLS에 의한 지역회귀모형은 국내의 미계측유역이나 또는 관측 길이가 짧은 계측유역의 홍수빈도분석을 위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수행된 연구의 내용을 공론화하는 노력이 계속된다면 공감대가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제정되는데 일조를 하리라 확신한다.

  • PDF

제 3상 임상시험에서 여러 형태 반응변수의 다변량 검정법인 P값 병합법 (Methods of Combining P-values for Multiple Endpoints of Various Data Types)

  • 김수영;송혜향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35-51
    • /
    • 2008
  • 제 3상 임상시험에서 치료효과가 여러 반응변수(endpoints)로 측정될 때, 이들 반응 변수가 대둥하게 중요하여 주요 반응변수(primary endpoint)를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O'Brion (1984)은 이들 반응변수 모두를 종합하여 치료효과에 대한 단축검정(one-tailed testing) 통계량으로서 반응변수가 연속형(continuous) 자료로 측정되었을 때 Ordinary Least Square(OLS)와 Generalized Least Square(GLS) 검정 통계량을 제시하였다. Pocock 등 (1987)은 여러 형태, 즉 연속형, 이산형(binary), 생존(survival) 자료의 반응변수를 함께 분석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나 실제로 이와 같이 여러 형태의 반응변수 병합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거나 구체적으로 모의 실험으로서 이러한 경우의 OLS와 GLS통계량의 효율성을 알아보지는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여러 형태의 반응변수를 종합하여 치료효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데 P값의 병합 통계량을 제안하며, 이때 각 반응변수의 치료효과에 대한 검정 결과인 P값은 서로 상관성이 존재하는 P값이다. OLS 및 GLS 검정 통계량보다 장점을 지닌 P값의 병합방법 중, 방법 F와 G는 제 1종 오류가 유의수준보다 커서 검정의 결론이 잘못 내려질 수 있는 경우가 있고 방법 B는 제 1종의 오류가 잘 통계되고 또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지역 홍수빈도해석을 위한 기법 제안: Bayesian-GLS 회귀 (Proposing a Technique for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Bayesian-GLS Regression)

  • 정대일;제리스테딘져;김영오;성장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1-245
    • /
    • 2007
  • 국내 홍수빈도 분포의 매개변수 추정에서 지점추정(at-site estimate) 방법은 유량 자료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표본오차(sampling error)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 자료를 보유한 지점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안으로 동질성을 가진 유역의 유량 자료를 모아 지역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지수홍수법(Index Flood Method)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질성이 큰 우리나라의 유역특성 때문에 적용이 쉽지 않다. Stedinger와 Tasker가 1986년 제안한 GLS(Generalized Least Square) 기법은 유역을 동질지역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으며 지점들간의 상관관계와 이분산성을 고려할 수 있어, 국내 홍수빈도 해석을 위해서 꼭 도입해야할 기법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GLS 기법의 단점을 보완한 Bayesian-GLS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대유역에 골고루 위치하며 댐의 영향을 받지 않는 31개 지점의 연최대 일유량 시계열의 L-변동계수(L-moment coefficient variation)와 L-왜도계수(L-moment coefficient skewness)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제안하였다. 위 회귀모형을 구성하기 위한 유역특성으로는 유역면적, 유역경사, 유역평균강우 등을 사용하였다. Bayesian-GLS (B-GLS) 적용 결과를 OLS(Ordinary Least Square) 및 Bayesian-GLS 기법에서 지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는 Bayesian-WLS(Weighted Least Square)와 비교 평가하여 그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B-GLS에 의한 지역회귀모형은 국내의 미계측유역이나 또는 관측 길이가 짧은 계측유역의 홍수빈도분석을 위해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삼요소의 시용 시험결과 그 적량은 10a당 질소 10kg, 인산 5kg, 및 가리 6kg 정도였으며 질소는 8kg 이상의 경우에는 분시할수록 비효가 높았으며 특히 벼의 후기 중점시비에 의하여 1수영화수와 결실율의 증대가 크게 이루어졌다. 3. 파종기와 파종량에 관한 시험결과는 공시품종선단의 파종적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0일경까지 인데 이 기간중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파종적량은 10a당 약 8${\ell}$이고 늦은 경우에는 12${\ell}$ 정도였다. 여기서 늦게 파종한 경우 감수의 가장 큰 원인은 1수영화수가 적어지기 때문이었다. 4. 건답직파에 대한 담수상태로 관수를 시작하는 적기는 파종후

  • PDF

Echocardiography Core Laboratory Validation of a Novel Vendor-Independent Web-Based Software for the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Global Longitudinal Strain

  • Ernest Spitzer;Benjamin Camacho;Blaz Mrevlje;Hans-Jelle Brandendburg;Claire B. Ren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
    • 제31권3호
    • /
    • pp.135-141
    • /
    • 2023
  • BACKGROUND: Global longitudinal strain (GLS) is an accurate and reproducible parameter of left ventricular (LV) systolic function which has shown meaningful prognostic value. Fast, user-friendly, and accurate tools are required for its widespread implementation. We aim to compare a novel web-based tool with two established algorithms for strain analysis and test its reproducibility. METHODS: Thirty echocardiographic datasets with focused LV acquisitions were analyzed using three different semi-automated endocardial GLS algorithms by two readers. Analyses were repeated by one reader for the purpose of intra-observer variability. CAAS Qardia (Pie Medical Imaging) was compared with 2DCPA and AutoLV (TomTec). RESULTS: Mean GLS values were -15.0 ± 3.5% from Qardia, -15.3 ± 4.0% from 2DCPA, and -15.2 ± 3.8% from AutoLV. Mean GLS between Qardia and 2DCPA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 = 0.359), with a bias of -0.3%, limits of agreement (LOA) of 3.7%, and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of 0.88. Mean GLS between Qardia and AutoLV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 = 0.637), with a bias of -0.2%, LOA of 3.4%, and an ICC of 0.89.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for intra-observer variability was 4.4% for Qardia, 8.4% 2DCPA, and 7.7% AutoLV. The CV for inter-observer variability was 4.5%, 8.1%, and 8.0%, respectively. CONCLUSIONS: In echocardiographic datasets of good image quality analyzed at an independent core laboratory using a standardized annotation method, a novel web-based tool for GLS analysis showed consistent results when compared with two algorithms of an established platform. Moreover, inter- and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results were excellent.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 자료의 교차상관과 L-모멘트 추정값의 교차상관의 관계 유도 (Deriv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ross-site Correlation among data and among Estimators of L-moments for Generalize Extreme value distribution)

  • 정대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B호
    • /
    • pp.259-267
    • /
    • 2009
  • GEV분포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홍수와 극한강우 등의 빈도분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L-모멘트법은 GEV분포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정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실험을 이용하여 GEV분포를 따르는 서로 다른 두 지점의 자료의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하여 L-모멘트 추정값인 L-변동계수와 L-왜도계수들 간의 교차상관계수를 Simple Power 함수를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실험과정에서 생성된 비현실적이며 실험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음수값들을 배재한 GEV+분포를 이용하였다. 결과로, Simple Power 함수가 두지점간 자료의 교차상관과 L-모멘트 추정값들간의 교차상관 계수의 관계를 잘 모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GEV 분포의 매개변수 조합에 대한 Simple Power 함수의 매개변수 추정값과 정확성은 표로 제시하였다. 또한 위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Generalised Least Square(GLS) 지역회귀 기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관계식은 향후 GLS 회귀식을 이용한 GEV 분포의 지역 매개변수를 추정하는데 있어 L-모멘트 추정값들간의 정확한 교차상관관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케일의 생육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Hydroponically Grown Kale in Plant Factory)

  • 이광재;허정욱;정충렬;김현환;조정수;이준구;이경자;남상영;홍의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7-82
    • /
    • 2016
  • 본 연구는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수경재배 케일의 생육, 수량 및 글루코시놀레이트(GL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인공광원으로 LED B:W(1:1, BW), R:B:W(2:1:3, RBW), BW+형광등(1:1+FL, BW+FL) 등 3처리를 하였다. 수확 엽수와 엽중은 BW+FL이 BW와 RBW보다 우수하였다. 엽장은 BW+FL에서, 엽폭은 RBW가 우수하여 다른 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과 'L' 값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a' 값과 'b' 값은 BW+FL에서 가장 낮았다. GLS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glucobrassicin, glucoiberin, gluconasturtiin, sinigrin, progoitrin, glucoraphamin, epiprogoitrin 순으로 많았으며, 총 GLS 함량은 RBW에서 가장 높았다. 잎의 수분 함량,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광은 생육과 2차 대사산물의 합성에 차이가 나타내며, 기능성 향상을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pact of Three Categories of Supplements on In Sacco Ruminal Degradation of Urea-Treated and Untreated Straw Substrates

  • Srinivas, Bandla;Krishnamoorthy, U.;Jash, Soumit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195-204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ree categories of supplements on intake and diet induced difference on degradation of straw substrates. Sixteen crossbred cattle fitted with rumen cannula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equal groups. Animals were fed on wheat straw ad libitum without any supplement except mineral mixture (control; $T_1$) or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mixture (CS; $T_2$) or green Lucerne (GLS; $T_3$) or urea-molasses block lick (ULS; $T_4$). Total dry matter intake in $T_2$, $T_3$ and $T_4$ was increased by 70, 54 and 49%, respectively compared to $T_1$ which was only 1.55 kg/100 kg B.Wt. Other than control animals, straw intake was less on $T_3$ than $T_2$ or $T_4$. In Sacco degradation of untreated and urea treated wheat or paddy straw in different treatments indicated that the supplements had a significant (p<0.01) impact on rapidly soluble (A) and insoluble but potentially degradable (B) fractions of straw. Urea treatment increased fraction-A but, provision of supplement improved fraction-B also. Effective degradation (ED) of OM was better on $T_2$. Rate of degradation (C) of OM and CWC was dependent on diet and type of straw but hemicellulose and cellulose were related to latter factor only. ED of cell wall carbohydrates (CWC) was similar in $T_2$ and $T_4$ but higher than $T_3$. CS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adation of both untreated and urea treated straw while ULS was effective on the former only. CS had more impact on superior quality straw while contrary was true with ULS. Although GLS improved intake and degradability of untreated and urea treated straws, its bulkiness affected the straw intake compared to other supplements.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몰리브덴(Mo) 용해 반응과 이에대한 청정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A clea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molybdenum dissolution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

  • 김재우;강수정;김남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2호
    • /
    • pp.1-8
    • /
    • 2003
  • The advantages of hydrogen peroxide dissolution method were no discharge of noxious matter when dissolution of molybdenum wire which used as the center supporter, reactions occur in room tempera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FL/10-A type: Dissolution-reaction Time was 50Min., C.R.(Coil resistance) was $9.27{\Omega}(St.{\;}:{\;}9.2{\pm}0.22{\Omega})$, P.W.(Piece weight) was $10.59mg(St.{\;}:{\;}10.5{\pm}0.26mg)$. In the FL/15-D type: Dissolution-reaction Time was 55Min., C.R. was $6.39{\Omega}(St.{\;}:{\;}6.38{\pm}0.02{\Omega})$, P.W. was $16.7mg(St.{\;}:{\;}16.5{\pm}0.3mg)$. In the FL/20-H type: Dissolution-reaction Time was 45Min., C.R. was $4.7{\Omega}(St.{\;}:{\;}4.6{\pm}0.3{\Omega})$, P.W. was $20.8mg(St.{\;}:{\;}20{\pm}1.5mg)$. In the FL/20-C type: Dissolution-reaction Time was 60Min., C.R. was $4.5{\Omega}(St.{\;}:{\;}4.6{\pm}0.3{\Omega})$, P.W. was $19.8mg(St.{\;}:{\;}19{\pm}1.0mg)$. 2. In the GLS-230/40-B type: Dissolutiona-reaction Time was 45Min., C.R. was $105.1{\Omega}(St.{\;}:{\;}104{\pm}2.6{\Omega})$, P.W was $6.37mg(St.{\;}:{\;}6.3{\pm}0.16mg)$. In the GLS-230/60-F type: Dissolution- reaction Time was 45Min., C.R. was $65.92{\Omega}(St.{\;}:{\;}65{\pm}1.62{\Omega})$, P.W. was $11.91mg(St.{\;}:{\;}11.8{\pm}0.29mg)$.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외부형태 및 두개골 특징 (External and Cranial Characters of the Tscherskia triton in Jeju Island, Korea)

  • 박준호;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89-397
    • /
    • 2017
  •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외부형태 형질과 두개골의 크기를 비교하여 종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채집된 암컷 9개체, 수컷 5개체는 모두 성체였고, 암수의 체중 및 외부형태 형질 비교에서 체중, 머리와 몸통의 길이, 귀의 길이, 뒷발의 길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0.05), 꼬리 길이에 있어서는 암컷 우성의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3). 채집한 비단털쥐의 2차 성적이형 (secondary sexual dimorphism)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머리 - 몸통 길이를 기준으로 B_HR, T_HR, E_HR, H_HR을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 오직 꼬리 길이에 대한 머리 - 몸통 길이 (T_HR)에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3). 두개골 크기의 암수 평균값과 성적이형을 비교한 결과, 전체 21가지 형질 중 GLS (p=0.020)와 ONL (p=0.014)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LIF는 유의수준 90% 기준으로 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이 이외의 18가지 형질은 암수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머리뼈 최대 길이 (GLS), 코 - 후두부 길이 (ONL), 눈확 사이의 폭 (IB)과 대후두공횡경 (BOF)을 제외한 나머지 17가지 부위인 뒤통수뼈관절융기 - 치조점 사이 길이 (CL), 머리뼈 바닥길이 (BL), 코뼈의 길이 (NAL), 앞머리뼈의 길이 (FL), 뒷머리뼈의 길이 (PrL), 절치공의 길이 (LIF), 고포뼈의 길이 (ABL), 협골공의 폭 (ZB), 입술의 폭 (BR), 위턱어금니열의 길이(LUM), 위턱이틀 사이 모서리길이 (LUD), 아래턱뼈의 길이(LM), 아래턱뼈의 높이 (HM), 아래턱어금니열의 길이 (LLM), 앞니 길이 (LUI), 관절 높이 (AH), 뇌함 최대 너비 (MWB)는 암컷 편향적 성적 크기 차이 (female-biased SSD)가 있었다. 이에 따라 비단털쥐의 암컷이 수컷에 비해 꼬리 길이가 길고, 두개골 또한 암컷 편향적 성적 크기 차이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의 외부형태 형질과 두개골의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비단털쥐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 등 국한된 지역에 서식하며, 단일 종으로 알려진 비단털쥐의 특징을 비교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지리적 조건, 기후 영향, 서식환경에 따른 비단털쥐의 생물지리학 및 생태학적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한 확률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Frequency-Based Flood Using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 이길성;박경신;정은성;김상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49-22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 하였다. 지점빈도 분석은 Annual Maximum Series(AMS) 및 Partial Duration Series(PDS)를 이용하여 자료를 추출하고 각 자료에 적합한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AMS를 이용한 확률홍수량의 산정은 표본의 개수가 부족하면 이에 따른 변동성(variability)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PDS를 사용하면 임계값(threshold)에 따른 주관적 영향이 결과에 반영되는 단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DS를 사용하는 경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 1.7회의 발생횟수를 갖는 자료를 추출하고 몬테카를로 모의시험을 통하여 주관적 영향을 제거하였다. 또한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의 비교검토를 위해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역의 면적과 일평균강우량으로부터 확률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Bayesian-Generalized Least Square(B-GLS) 방법을 이용하여 확률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안양천 유역의 13개 소유역에 대한 세 가지 방법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을 비교 검토한 결과, 특정한 방법이 항상 우수하다는 결론은 얻을 수 없었으나 각 유역별로 AMS가 가장 크고 B-GLS가 가장 작은 확률홍수량을 갖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