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iation Inciden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9초

항공 준사고보고 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

  • 강현철;최일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6
    • /
    • 2001
  • The effort to secure the aviation safety in each country of the world including our country, is one step more strengthening. For one of this effort, some advanced countries in aviation safety are operating the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 and in our country the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 Korea confidential incident reporting system is operated on Jan. 1. 2000. This article is introducing for those theoretical, politics and operational backgrounds of the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 foreign countries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s and our aviation incident reporting system including those status of reporting, and analysis.

  • PDF

ECCAIRS 5 Data를 활용한 최근 10년간 항공 사고·준사고 사례분석 (Case Analysis of the Aviation Accident·Incident During the Last 10 Years Using the ECCAIRS 5 Data)

  • 홍승범;최연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34-340
    • /
    • 2014
  • 최근 항공 안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항공기 사고의 뚜렷한 감소 추세 없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항공안전관리의 방향은 기존의 항공안전 방식을 탈피하여 자료에 근거하여 분석된 요소들을 통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안전 데이터의 보고와 교환을 위한 표준이 되고 있는 ECCAIRS를 소개한다. 또한 최근 10년간의 국내 항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항공기 분류별(고정익과 회전익)로 항공기 사고와 준사고의 분포, 연도별 및 월별 사고 분포, 비행 단계 분포, 그리고 분류체계 분포 등에 대한 경향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항공기 사고와 준사고의 추세 분석은 향후 추구해야 할 정량적인 안전관리의 유용한 방향이 될 것이다.

ECCAIRS Data에 의한 한국의 항공사고·준사고에 대한 경향 분석 (The Trend Analysis about Aviation Accident and Incident in Korea Using the ECCAIRS Data)

  • 홍승범;김웅이;최연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87-696
    • /
    • 2012
  • 최근 항공 안전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항공기 사고의 뚜렷한 감소 추세 없이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항공안전관리의 방향은 기존의 항공안전 방식을 탈피하여 자료에 근거하여 분석된 요소들을 통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EU에서 개발하고 2010년부터 한국에서 도입하기 시작한 ECCAIRS에 대한 개관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ECCAIRS에 입력된 국내 항공사고 Data를 활용하여 항공기 사고와 준사고의 분포, 연도별 및 월별 사고 분포, 비행 단계 분포, 그리고 분류체계 분포 등에 대한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항공기 사고와 준사고의 추세 분석은 향후 추구해야 할 정량적인 안전관리의 유용한 방향이 될 것이다.

ECCAIRS 5를 이용한 군 항공기 사고사례 분석 (Analysis of Aviation Accident and Incident in Military Using the ECCAIRS 5)

  • 김원규;홍승범;지민석;홍교영;안동만;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0-86
    • /
    • 2013
  • In an effort to decrease aviation accident worldwide, development of aviation safety management has been sought through aviation index and standardization, both by establishing SMS(Safety Management System). It also needs to be done in the domestic. both study on SMS which ICAO recommends and setting the top priority safety goal, each differently classified by nations. Accordingly, defining safety index and developing continuous monitoring approach. Aircraft accident reporting system in Air Force does not operate in a open approach method due to its uniqueness related to mission achievement. Therefore, limits of utilizing the recent worldwide aircraft data sharing and analyzing results to prevent accident is inevitable. This paper introduces an overview of ECCAIRS 5 which become the standard for the recent worldwide aviation safety reporting and data exchange system. Also using ECCAIRS 5, aircraft accident cases of the Air Force are classified such as accident type, year, month, occurrence category, and flight phase.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provide a guide line for utilizing the civil system in prevention of future military aviation accidents.

항공사고조사위원회의 업무개선에 대한 제언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viation and Railway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in Korean)

  • 한경근;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7-194
    • /
    • 2017
  • ICAO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me is a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aviation safety matters, including aircraft operation, licensing and aircraft incident/accident investigation. As this programme is measures aviation safety level of States, there is a need to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especially in the field of aircraft incident/accident investigation. This research discusses points required to satisfy international standards, which ar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an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the lack of the enough number of investigator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ose personnel, the effective composition and use of an investigation report, an accident investigation itself to build big data and the creation of a cooperation system among States. This paper suggests various opinions in order to enhance aviation safety especially through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s, using case studies from the US, UK and Japan.

국내 항공사고조사를 위한 항공사고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프로토 타입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Data Management Prototype System for Aviation Accident and Incident Investigation)

  • 김도현;홍승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98-204
    • /
    • 2018
  • 본 논문에서 국내 항공사고조사를 위한 통합 데이터 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제안한다. 최근 항공사고 조사 장비의 발전에 따라 사고조사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jpg, avi, 및 wav 파일 자료들을 수집 및 관리해야한다. 하지만 ECCAIRS 시스템의 경우 항공사고 조사 시 발생하는 다양한 자료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며, 국내 항공사고 관리시스템 역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외 주요 국가의 항공사고보고서 시스템을 분석하고 국내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을 통하여 기존 자료와 최근 조사한 자료를 입력을 통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최종 통합 데이터 관리시스템의 완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긍정적인 항공정비안전보고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itive Safety Reporting Culture in Aviation Maintenance)

  • 김천용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4-71
    • /
    • 2012
  • In field of Aviation Maintenance, honest and expedite voluntary report of potential hazard provide airworthiness aircraft by eliminating or avoiding from dangerous factors of aircraft. Although it supports for safety flight, voluntary incident reporting system consist of Aviation practitioner and require cooperation of practitioner due to there are no forcibleness. These occur when positive safety culture and report culture are settled.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ly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Aviation Safety Reporting System in Korea. Then, this article also find out the level of reporting culture of the AMT(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s) and problems in reporting system. Finally, suggestions on the model of positive safety reporting culture in a field of aircraft maintenance.

인적오류의 세부적 분류와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Human Error)

  • 김양규;김칠영;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0
    • /
    • 2002
  • In aviation, it is important to analyse and classify human error in detail. Because human error has been implicated in 70 or 80% of aviation accidents in literature review. But, there is littl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research of human error. In this study, Objectives are to establish human error model by classifying types of human error in detail and also to analyse human factors by using the established model. Analysis of the data uses Korea Aviation Incidents Reporting System(GYRO). The resulting from actual analysis, there is a some difference between flight steps for human error occurrence and types of human erro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viation personnel(pilot, ATC controller).

  • PDF

한국형 LOSA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Implementation of K-LOSA Program)

  • 홍승범;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0-46
    • /
    • 2013
  • In this paper, it has implemented the design for the K-Line Operations Safety Audit(K-LOSA) designed to provide a proactive snapshot of system safety and flight crew performance before an incident and accident. It introduces the a LOSA and ten operating characteristics that have come to define LOSA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LOSA methodology, we explain the conceptual and detail design and implement the prototype for the data collected with LOSA collection tool.

항공사고 및 준사고 조사를 위한 UAS 비행 기록 시스템 파라미터 도출 방안 (A Method of Deriving UAS Flight Recording System Parameters for Aviation Accident and Incident Investigation)

  • 이건희;이중윤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77-86
    • /
    • 2024
  • 'UAS 비행 기록 시스템'은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무인항공기 시스템에 장착되어 비행 관련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이 기록한 데이터는 유사사고 예방을 위하여 항공사고 및 준사고 조사에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운용 위험도가 높은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범주에 대해서는 유인항공기의 안전장치 수준에 근접하게, 감항성 확보를 위하여 무인항공기 시스템 특성을 반영한 비행 기록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항공사고 및 준사고 조사를 위해 UAS 비행 기록 시스템의 필요성을 부각하고, 운용 위험도가 큰 'Certified Category'를 대상으로 비행 기록 시스템 파라미터 도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Inter-City UAM을 구체적인 사용 사례로 지정하고, 임무 프로파일 및 시나리오로부터 사고 발생과 위해요인을 상정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도출에 접근하는 프로세스를 고안하였다. 연구 결과, 이 프로세스를 통해 파라미터 도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