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ailable Methionin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5초

바지락젓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lam, Tapes japonica)

  • 김행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1호
    • /
    • pp.34-40
    • /
    • 1983
  • Clam, Tapes japonica, has been widely used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markets. More than thirty kinds of fermented fish and shellfish are presently available in the markets in korea.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taste compounds of the clam. The free amino acids as taste 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he clam, Tapes japonica, were analyzed by an amino acid autoanalyzer. Alanine (17.0%), glycine (15.5%), taurine (13.9%) were high in amount in the fresh clam and then glutamic acid, arginine, tyrosine, asparagine, lysine, threonine, serine and leucine were the next in order. Such amino acids as methionine, phenylalanine, histidine and cystine were low in amounts. The total free amino acid nitrogen in the fresh clam was 45.5% of its extract nitrogen. During the fermentation of the clam, the kinds of the free amino acids were the same with the fresh samples although the amounts were changed. It is believed that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ysine, and leucine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taste compounds in the fermented clam.

  • PDF

대장균의 동역학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L-threonine 생합성에 관한 모사 연구 (Simulation Study of Dynamic Network Model for L-Threonine Biosynthesis in Escherichia coli)

  • 정의섭;이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97-1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 내에서 L-threonine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에 대한 모사 연구를 위하여 L-aspartate에서 L-threonine까지의 아미노산 생합성 대사 네트워크를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축하였다. 또한 L-threonine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효소 반응식에 적용시켰다. 모사 연구를 위해 초기 농도값을 L-aspartate 5 mM, ATP 5 mM, NADPH 2 mM으로 설정하고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세포내 대사 물질들의 농도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저해제 L-lysine, L-methionine, L-glutamate는 저해제 농도 변화에 따라 대사 물질들의 농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저해제 L-serine, L-cysteine 그리고 L-threonine의 경우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라 세포내 대사물질들의 농도 곡선이 서로 다른 결과를 얻었다. 대장균 내에서 소비되어진 L-aspartate의 농도는 세포 내 생성되는 L-threonine과는 관련이 없었고, 생성되는 L-threonine의 농도는 세포 내에 축적된 D,L-aspartic ${\beta}$-semialdehyde에 반비례하였다.

굴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Glycogen and Protein in Pickled Oyster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김장양;변재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6-71
    • /
    • 1981
  • 굴의 주요구성분인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굴젓갈 숙성중의 분해과정과 분해생성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글리코겐의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의 생성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의 젓갈 숙성 전후의 구성변화 및 유리환원당과 유리아미노산간의 첫갈숙성조건에서의 반응성의 지표로서 유효성라이신의 양의변화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글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은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에로 분해하여 갔으며, 유효성라이신의 양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생굴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이 많았으며, tryptophan과 methionine, histidine 및 tyrosine은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굴젓갈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생굴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 valine과 histdine isoleucine 및 lysine이 감소된 것이 주목을 끌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을 보면 생굴중에는 proline,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이 특히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생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약 $69\%$에 달하였다. 그리고 젓갈중에는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유리아미노산은 전체 굴 젓갈 유리아미노산의 약 $65\%$에 달하였다. 굴젓갈 숙성중에 증가한 유리아미노산은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isoleucine, tyrosine등을, 그리고 감소한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leucine등을 들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extrusion on available energy and amino acid digestibility of barley, wheat, sorghum, and broken rice in growing pigs

  • Ge Zhang;Gang Zhang;Jinbiao Zhao;Ling Liu;Zeyu Zh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085-1095
    • /
    • 2024
  • Objecti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vailable energy and nutritional digestibility of extruded cereals and the effect of extrusion on the nutritional value of feed ingredients, aiming to provide scientific basi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extrusion in the diets of growing pigs. Methods: In Exp. 1, 48 crossbred growing pigs (Duroc×Landrace×Yorkshire) with an initial body weight (BW) of 34.6±2.2 kg were selected and fed with eight diets (non-extrusion or extrusion) to determine the digestible energy (D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nutrients digestibility. Eight diets included extruded grains (barley, wheat, sorghum, or broken rice), while four had unprocessed grains. In Exp. 2, 9 diets were formulated including 4 cereals with extrusion or non-extrusion and a N-free diet. In addition, 9 growing pigs (BW = 22.3±2.8 kg) were fitted with T-cannula in the distal ileum and arranged in a 9×6 Youden square design. Results: Results show that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gross energy, dry matter, organic meal, ether extract, neutral and acid detergent fiber was not affected by the extrusion process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cereal type and extrusion treatment on DE, ME. However,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for crude protein (CP) increased markedly (p<0.05).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ll amino acids (AA) except for leucine remarkably increased by extrusion (p<0.05). There was an interaction on the SID of arginine, leucine, isoleucine, methionine, phenylalanine, cystine, and tyrosine in growing pigs between type of grain and extrusion treatment (p<0.05). Conclusion: Extrusion increased the ileal digestibility of CP and most AA in cereals, however, the DE and ME of cereals were not affected in growing pigs.

당가자미 껍질로부터 수용성콜라겐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e of Solubility Collagen Peptide from Flatfish Skin)

  • 장부식;이미진;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0-566
    • /
    • 2013
  • In this research we extracted water-soluble collagen peptide from flatfish skin and compared it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ollagen peptide extracted from Tilapia scale currently placed on the market in the aspect of physiochemical property. The physical property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SCP appeared almost similarly to those of TSCP, and also in calorie, FSCP marking 3.82 Kcal showed no differences from TSCP marking 3.84 Kcal. As for forming amino acids, in aspartic acid, serine,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 FSCP had higher content than TSCP, but in OH-proline, proline and alanine FSCP had lower content than TSCP. Especially th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s of FSCP marked 22.74% with a higher content compared with 13.64% of TSCP. In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 FSCP with 1,000 Da showed comparatively low compared with TSCP, and in emulsion property and stability FSCP and TSCP showed similar excellent trend.

고구마와 콩을 이용한 이유식품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Drum-dried Weaning Food Based on Sweet Potato and Soybean)

  • 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
    • /
    • 1970
  • 1) 고구마의 경제적 활용과 이유식품의 개발을 목적을 고구마 대두분 및 기타 영양소를 사용하여 단백함량이 20%되는 이유식품을 드럼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정하였다. 2) 이 제품의 단백효율(PER)은 2.63 으로서 고구마 대신 옥수수전분을 사용한 제품의 PER(3.30)보다 낮았는데, 이는 드럼건조중 가용태 라이신의 파괴에 의함을 알았다. 3) 본 이유식품의 전체영양가 (사료효율, 체성분의 조성, 단백질보유율)는 우유식품이나 고구마 대신 옥수수전분을 사용한 이유식품과 비슷하였다.

  • PDF

Phytase 생산균주의 콩과 옥수수 가루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tase-Producing Bacteria on the Fermentation of Soybean and Corn Meals)

  • 이홍렬;정희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09-513
    • /
    • 1991
  • 콩과 옥수수가루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중 phytase 생산성이 강한 두 균주인 Enterobacter cloacae와 Bacillus licheniformis를 단독 균주로 사용하여 콩과 옥수수가루를 기질로 발효시켰을때 각 기질의 phytic acid 분해와 그에 따른 영양성분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콩 가루를 기질로 E.cloacae에 의한 발효과정에서는 pH가 발효 2일 동안에 급격히 낮아졌으나, B.licheniformis의 경우는 옥수수가루중에 함유된 당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pH가 발효 5일째까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갯장어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 from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 조혜영;안창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04
    • /
    • 2002
  • 갯장어를 이용한 부가가치 높은 가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분말형태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말제품의 정미성 및 소화성을 높이고 분말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말화하기 전에 원료윽의 효소가수분해를 검토한 결과 상업용 효소인 Flavourzyme MG^{GM}가 관능적으로 쓴맛이 적고 정미성 또한 어느 정도 향상되어 가장 적절한 효소로 판명되었고, 사용농도는 원료 단백질 함량의 $2\%$ (w/w)로 하고, 원료에 대해 동량의 물을 가하여 마쇄한 다음 $50^{\circ}C$에서 6시간 처리하는 것이 좋았다. 가수분해 후 저장 중 제품의 품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를 제거하기 위해 n-hexane을 처리한 결과 효과가 있었고, 처리방법으로는 가수분해액즙에 대해 n-hexane을 4:1 (가수분해액즙:n-hexane)의 비율로 첨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는 식으로 5회 반복하는 방법이 좋았다. 그 결과 분말상태의 제품의 유지함량을 $1\%$ 이하로 낮출 수 있었다. 분말제품의 총아미노산 조성은 원료육의 것과 비교해 거의 차이가 없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Iysine, leucine, glycine 및 arginine 둥의 아미노산이 풍부했다. 유리아미노산은 가수분해로 인해 약 3배로 증가하였고,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및 methionine과 같은 umami를 내는 아미노산도 역시 증가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소수성 아미노산인 methionine의 증가가 뚜렷했다. (약 40배). 분말제품에 있어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소수성 아미노산인 leuc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isoleu-cine 등이었으며, 이중 alanine을 제외하고 모두 필수아미노산이며 이들 5종의 아미노산이 전체의 약 반 ($48.96\%$)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단백질 이용율은 2.35$\~$2.87로 원료육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갯장어 분말제품의 수분흡수력과 지방흡수력은 각각 870.1 $\pm$$7.9\%$ 및 352.0$\pm$$5.3\%$로 높은 편이었으며, 유화성은 50.3$\pm$$1.2\%$였으나 유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유유아(乳幼兒) 및 성장기 아동을 위한 영양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 -흰쥐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Protein rich Food Mixtures for Korean Infants)

  • 호진희;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권2호
    • /
    • pp.95-99
    • /
    • 1970
  • Korea is one of the typical rice eating countries where availability of animal protein is limited even for the growing generation. Nutritive food products for infants and children are not available commercially in large scale at the present time, although a limited amount of expensive milk products are produced.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a pioneering attempt on a new food mixture to meet this demand. Several food mixtures, possibly produced in the country, consisting of rice, soybean, FPC, vitamin, minerals and other food additives are developed in this work Sixty female and male rats aged $30{\sim}40$ day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welve rats each. The rats had been maintained with the six different diets, as follow. Formulation of proposed infant food mixturesComposition F-R-1 F-S-2 F-F-3 F-P-4 S Rice 100% 40% 37% 46% 70% Sugar - 12 13 10 70 Casein - - - - 20 Bean - 40 37 24 - Yeast - 3 2 3 - Mineral Vitamain - 2 4 2 4.3 F.P.C - 3 4 7 - Fat - - 4 8 4 Cod liver Oil - - - - 3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ed in FER, PER, final organ weights, body weights growth, percentage of nitrogen retention in the body. F-P-4 group tended to remain the heaviest and F-R-1 the lightest in the body weight among three group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In terms of FER (Feed Efficiency Ratio) and PER (Prortein E. R.) value, F-P-4 group kept the highest record throughout. F-P-4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of nitrogen retention in the body. In comparision between F-P-4 groups and casein 20% group (standard) in all respects of this experiment, F-P-4 group which is the most superior among experimental group, revealed statisfically no significant inferior than that of standard group. This fact could be interpreted that most limiting a. a., methionine in the soy protein produced little inferio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e study.

  • PDF

시판 감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적 기능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functional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ersimmon vinegars)

  • 김성렬;정현주;이경행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42-256
    • /
    • 199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있는 감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적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7종의 감식초 제품에 대한 비중, 탁도, 색도, pH, 총산도, 환원당, 알콜, 총질소함량,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조성, 수용성 펙틴, 가용성 탄닌, ascorbic acid 및 Acetoin계 화합물의 함량, 전자 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식초는 다른 과실초에 비하여 비중(1.0050~1.0200)과 명도(40.03~54.95)는 낮고, 탁도(660nm에서 0.12~1.311) 적색도(1.65~0.46) 및 황색도(4.54~8.14)는 높으며 제품간의 차가 크게 나타났다. 2. 감식초중에는 비교적 다량의 환원당(0.45~0.84%, w/v), 알콜(0.16~3.18%, w/v) 및 총질소(30~60mg%, w/v)가 함유되어 있었고 pH(평균 3.70)가 높았으며 일반 과실초의 규격($TA{\geq}4.0%$)보다 낮은 총산도(평균 3.04%, w/v)를 나타내었다. 3. 감식초중의 주요 유기산은 초산(17.6~72.9%)과 젖산(25.1~74.1%)이었고 7제품중 5제품은 초산보다 젖산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4. 유리아미노산중에서는 arginine, methion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비교적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5. 감식초중에는 비교적 다량의 수용성 펙틴(91.8~232.8mg%, w/v), 가용성 탄닌(49.0~161.7mg%, w/v) 및 ascorbic acid(12.8~29.6mg%, w/v)가 함유되고 있었고 제품간의 차가 크게 나타났다. 6. 감식초중에 함유되어있는 2,3-butanediol (평균 166.90ppm)과 acetoin(평균 111.43ppm)의 함량은 공히 많았다. 7. 감식초는 매우 강한 전자공여능(94.8~96.3%)과 아질산염소거작용(pH 1.2에서 83.1~96.9%)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