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xiliary Table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개정 방안 (Some Suggestion on the 5th Revise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9-546
    • /
    • 2007
  • 이 연구는 KDC 제5판의 개정 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개정되는 제5판은 조합식 구조를 전제로 다양한 합성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부가표의 신설, 주기의 다양화, 보조표의 전개를 확대하고, 기호 합성방법은 "기본기호 $\sim$$\sim$표의 기호 $\sim$을 합성한다." 형식의 주기를 일관성 있게 사용하고 실질적인 보조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주요 십진분류표에서의 보조표 비교분석 연구 -DDC, KDC, NDC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Auxiliary Tables of Decimal Classification - forced on DDC, KDC, NDC-)

  • 김정임;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94
    • /
    • 2003
  • 본 연구는 주요 십진분류표(DDC, KDC, NDC)에서 적용하고 있는 보조표의 기능을 분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동일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DDC, KDC, NDC의 보조표를 분석하고 여기에서 추론된 보조표의 기능을 KDC에 적용시켜보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특히 KDC 5판을 준비하는데 사전 자료적 성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듀이십진분류법의 지역 보조표에서 한국 지역 구분의 수정 전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ifications and Expansions of Area Divisions of Korea in Auxiliary Table of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1-201
    • /
    • 2012
  • 본 연구는 십진분류법인 DDC, UDC, KDC, NDC의 지역구분 보조표의 구조와 그 안에서 한국 지리 구분 전개에 관해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분류표 안에서 지역구분 보조표의 번호와 분류항목명을 기술하고 그 특징을 논하였으며 서로 다른 십진식 분류표에서 지역 구분과 관련하여 공통적인 사항과 차별화되는 사항을 조사하였다. 또한 위키 백과와 한국의 행정 구역 분류도 조사하여 십진식 분류법과 다르게 한국을 구분하는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에 관한 지역구분의 전개가 가장 적게 이루어진 DDC를 중심으로 좀 더 상세한 전개 방안을 기본 원칙과 임의조항과 함께 제시하였으며 향후 십진분류법 개정에 있어서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UDC 한국어판의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ision of UDC Korean Edition)

  • 이창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1-2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2005년 영국의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에서 인쇄 형태로 출판된 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의 표준판과 1973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 Korea Scientific & Technological Information Center)에서 출판된 UDC의 한국어판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어판의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앞으로 개정될 한국어판은 표준판의 규모로 한국어 간략판과 MRF(Master Reference File)를 바탕으로 표준판의 체제에 따라 본표와 색인으로 된 인쇄판이 되어야하며, 국제적 보편성을 강화하고, 보조표를 통한 조합의 방식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 하였다.

지진파(地震波)를 이용(利用)한 남한(南韓)의 지각구조(地殼構造)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rustal Structure of South Korea by using Seismic Waves)

  • 김상조;김소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1호
    • /
    • pp.51-61
    • /
    • 1983
  • By using local earthquake data, the Korean crust model and travel-time tables were determined. The upper crustal earthquakes (Hongsung event and Ssanggyesa event) were considered as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lower crustal earthquakes (Uljin event and Pohang even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model parameters. The possible existence of Low Velocity Layer (LVL) in the upper mantle was suggested by discrepancy in the arrival times of Sariwon earthquake which occurred below Moho discontinuity. Computer program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odel parameters was developed in order to screened out the optimum parameters by comparing the travel times of observed data with theoretical ones. We found that the discontinuities of Conrad, Moho, and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LVL have their depth of 15, 32, 55 and 75 Km, respectively. The velocities of P-and S-wave in the layers between those discontinities were found to be (1) 5.98, 3.40 Km/sec (2) 6.38, 3.79 Km/sec (3) 7.95, 4.58 Km/sec (4) unknown (5) 8.73, 5.05 Km/sec, respectively from the top layer. Travel-time tables were also computed for the inter-local earthquakes which have their direct wave paths above the LVL.

  • PDF

KDC 예술류(600)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Expansion of Classification Number of the Arts in KDC)

  • 정옥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9-122
    • /
    • 2010
  • 본 연구는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의 전개가 초판에서 5판까지 개정되는 동안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분석하여 KDC 예술류의 분류항목전개의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DC 초판에서 5판까지 예술류에 사용된 용어의 변천, 보조표 및 주기의 변천과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을 분석하였다. KDC의 예술류는 3판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분류항목전개의 변화는 4판과 5판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판의 오류와 문제점이 완전히 개선되지는 않았으며, 포함주가 많아 분류항목의 전개가 다른 분류표보다 빈약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식품안전 내용 분석 (Analysis of Food Safety Content in 'Food and Nutrition' Unit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오은영;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3-79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이 핵심 개념으로 등장함에 따라 기술·가정2 교과서 12종의 '가정생활과 안전' 단원의 식생활 영역의 안전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하여 '식품 선택의 중요성',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고, 본문과 구성 체제 요소, 활동 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문에서는 '식품선택의 중요성'(3.08쪽), '식품안전 위해요인'(2.96쪽),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2.63쪽), '안전을 고려한 조리'(0.98쪽) 순으로 내용의 비중이 높았으며, 구성 체제 요소의 비율은 상이하였지만, 표·그림·사진으로 반영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학습자료, 활동, 보조단, 중단원 정리, 중단원 도입 및 익힘 문제, 소단원 도입 순이었다. 활동과제에서는 '식품 선택의 중요성'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식품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두번째로, 이후 '위생과 안전을 고려한 조리', '식품안전 위해요인' 순으로 많이 다루었으며, 집단 규모별 활동과제의 수는 개별 활동이 가장 많았고, 기능에 따라서는 조사하기, 평가하기, 제작하기, 적용하기, 실천하기, 추론하기와 판단하기, 활용하기와 제안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을 분석한 결과, 추후 교과서 개발 시 본문과 구성 체제요소에서 내용의 적절한 배분과 실제 현황을 반영한 교육 내용의 갱신, 집단 규모의 활동 과제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접 단어들의 접속정보를 이용한 일한 활용어 번역 (Japanese-to-Korean Inflected Word Translation Using Connection Relations of Two Neighboring Words)

  • Kim, Jung-In;Lee, Kang-Hyuk
    • 인지과학
    • /
    • 제15권2호
    • /
    • pp.33-42
    • /
    • 2004
  • 일본어와 한국어는 문법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사점을 잘 이용한다면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구문해석이나 의미해석의 상당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몇 년 전부터 우리는 유사성을 이용하여 번역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번역테이블을 이용한 일한기계번역 시스템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활용어미의 번역, 다의성 단어의 처리 등 및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번역데이블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이웃하는 단어들과의 관계 정보를 이용한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조사, 조동사의 접속정보를 최대한 이용한다. 또한, 번역 테이블을 엔트리테이블과 접속정보 테이블로 나누어 설계하여 번역의 효율을 높인다. 즉, 하나의 역어만 가지는 단어인 경우, 우리는 일한 직접 대응 방법을 이용하여 바로 번역하고 2개 이상의 역어로 번역되어야 할 경우만 접속 정보 값을 평가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번역어를 선택하도록 한다.

  • PDF

인접 단어들의 접속정보를 이용한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 (Japanese-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Using Connection Forms of Neighboring Words)

  • 김정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998-1008
    • /
    • 2004
  • 일본어와 한국어는 문법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사점을 잘 이용한다면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구문해석이나 의미해석의 상당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몇 년 전부터 우리는 유사성을 이용하여 번역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번역테이블을 이용한 일한기계번역 시스템을 연구해 왔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활용어미의 번역, 다의성 단어의 처리 등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번역테이블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이웃 하는 단어들과의 관계 정보를 이용한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조사, 조동사의 접속 정보를 최대한 이용한다. 또한, 번역 테이블을 엔트리테이블과 접속정보 테이블로 나누어 설계하여 번역의 효율을 높인다. 즉, 하나의 역어만 가지는 단어인 경우, 우리는 일한 직접 대응 방법을 이용하여 바로 번역하고 2개 이상의 역어로 번역되어야 할 경우만 접속 정보 값을 평가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번역어를 선택하도록 한다.

  • PDF

A Link Layer Design for DisplayPort Interface

  • Jin, Hyun-Bae;Yoon, Kwang-Hee;Kim, Tae-Ho;Jang, Ji-Hoon;Song, Byung-Cheol;Kang, Jin-Ku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97-304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 link layer design of DisplayPort interface with a state machine based on packet processing. The DisplayPort link layer provides isochronous video/audio transport service, link service, and device service. The merged video, audio main link, and AUX channel controller are implemented with 7,648 LUTs(Loop Up Tables), 6020 register, and 821,760 of block memory bits synthesized using a FPGA board and it operates at 203.32MH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