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3초

레벨 4 자율주행자동차의 기능과 특성 연구 (A Study on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 이광구;용부중;우현구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69
    • /
    • 2020
  • As a sales volume of autonomous vehicle continually grows up, regulations on this new technology are being introduced around the world. For example, safety standards for the Level 3 automated driving system was promulgated in December 2019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and ensure its safety simultaneously, the regulations on the automated driving systems should be phased in to keep pace with technology progress and market expansion. However, according to SAE J3016, which is well known to classify the level of th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ies, the description for classification is rather abstra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in more detail in terms of the 'Level.' In this study,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utomated driving system are carefully classified at each level based on the commentary in the Informal Working Group (IWG) of the UN WP29. In particular, regarding the Level 4, technical issues are characterized with respect to vehicle tasks, driver tasks, system performance and regulations. The important features of the autonomous vehicles to meet Level 4 are explored on the viewpoints of driver replacement, emergency response and connected driving performance.

주행데이터 기반 자율주행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Scenarios of Autonomous Vehicle based on Driving Data)

  • 임형호;채흥석;이명수;이경수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13
    • /
    • 2017
  • As automotive industry develops, the demand for increasing traffic safety is growing. Lots of researches about vehicle convenience and safety technology have been implemented. Now, the autonomous driving test is being conducted all over the world, and the autonomous driving regulations are also being developed. Autonomous vehicles are being commercialized, but autonomous vehicle safety has not been guaranteed yet. This paper presents scenarios that assess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by identifying the minimum requirements to ensure safety for a variety of situations on highway. In assessing driving safety, seven scenarios were totally selected. Seven scenarios were related to lane keeping and lane change performance in certain situations. These scenarios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driving data acquired through actual vehicle driving. Data analysis was implemented via computer simulation. These scenarios are developed based on existing ADAS evaluation and simulation of autonomous vehicle algorithm. Also Safety evaluation factors are developed based on ISO requirements, other papers and the current traffic regulations.

자율주행차량 기능안전 시스템 기반 사고 시나리오 도출 (Traffic Accidents Scenarios Based on Autonomous Vehicle Functional Safety Systems)

  • 김희수;유용식;한효림;조민제;송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64-283
    • /
    • 2023
  • 자율주행차량 사고는 일반차량 사고와 다르게 기술적 문제, 환경, 운전자와의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향후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로 기존의 사고원인 이외에도 새로운 이슈들이 대두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의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사고 리포트인, CA DMV collision report와 자율주행모드 해제 보고서인 Disengagement report, 자율주행 실제 사고영상을 수집하여 자율주행차량 교통사고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시나리오는 ISO 26262의 기능안전 시스템 failure mode에 기반하여 도출되었으며, 자율주행 기능의 다양한 이슈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자율주행차량 시나리오는 향후 다양한 자율주행차량 교통사고 예방과 대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허분석을 통한 자율주행 분야의 경쟁력 분석 (A Competitiveness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 through Patent Analysis)

  • 백현조;임춘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3-176
    • /
    • 2021
  • 자율주행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주요 기술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와 규제완화로 인해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 분야의 특허 분석을 통해 기술의 경쟁력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7월까지의 출원 공개 및 등록된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의 특허를 대상으로 특허 동향을 분석하고, 특허지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집중해야 할 세부 기술을 파악하고 한국의 국가 경쟁력을 진단하고자 한다.

  • PDF

도시부 자율주행셔틀 실증을 위한 운행설계영역 분석: 안양시를 중심으로 (Operational Design Domain for Testing of Autonomous Shuttle on Arterial Road)

  • 김형주;임경일;김재환;손웅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5-148
    • /
    • 2020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율주행 관련 기술 발전은 실제 도로를 사용한 자율주행 테스트 시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법 시행으로 실제 도로에서의 자율주행 실증은 증가할 것이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내 도로환경에 적합한 운행설계영역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부 자율주행셔틀 실증을 위한 운행설계영역을 정의하고, 안양시 도심부도로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운행 가능여부 등의 운행설계영역 평가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자율주행 운행설계영역은 국내의 도로환경과 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 기하구조적 요인, 운영적 요인,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노드기준에서는 노드유형 및 신호-통신 여부를 통해서 30개 노드에서 자율주행셔틀 실증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링크기준에서는 오전첨두(8-9시) 42개, 비첨두(12-13시) 39개, 그리고 오후첨두(18-19시) 40개 방향별 링크구간에서 자율주행 제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자율주행 실증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도심부도로에서 사전 안전성 평가의 수범사례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

자율주행차량 상황 정보 알림 시스템 (Autonomous Vehicle Situ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 김진우;김기태;민경욱;최정단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16-223
    • /
    • 2023
  • 자율주행차량의 기술과 수준이 발전하고 보다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주행함에 따라 차량이 직면한 상황을 해결하고 대응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상호작용 시스템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의 관점에서의 주행 기술 개발은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상황을 대응하기 위한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복잡하고 상호 양보해야 하는 도로환경에서는 차량 간 혹은 보행자와 차량 간의 서로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방법을 통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한 시스템의 역할이 중요하다. 차량의 상태 혹은 직면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제공과 방법이 직관적이고 의도에 대한 상호 작용을 통해 효율적인 자율주행 차량을 운영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리빙랩에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이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주행을 하기 위해 차량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출할 수 있는 차량 구조와 그 기능을 설명한다.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순환 최소자승 기반 융합형 주행특성 구분 알고리즘 (A RLS-based Convergent Algorithm for Driving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for Personalized Autonomous Driving)

  • 오광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85-292
    • /
    • 2017
  • 본 논문은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순환 최소자승 기반 융합형 종방향 주행특성 구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은 Level 4 완전 자율주행 단계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탑승자의 자율주행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율주행 개인화 기술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종방향 주행특성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순환 최소자승 기법 기반 실 주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특성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두 명의 실제 운전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방향 주행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두 명의 운전자를 구분하기 위해 가설검정 기반 확률적 구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종방향 주행특성 도출 및 구분 알고리즘은 개별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합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가설검정 기반 확률적 구분기법에 의해 주행특성이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율주행 자동차를 위한 측위 보정 표지 연구 (A Study on Position Correction Sign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전영재;박철우;원상연;이준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61-172
    • /
    • 2023
  • 자율주행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주행환경을 인지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 및 제어한다. 센서 기술 및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발달로 자율주행기술의 수준은 향상되고 있으나 완벽한 자율주행기술의 구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을 인프라를 중심으로 하는 자율협력주행을 통해 극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측위를 보정할 수 있는 인프라로서 기준을 제공하는 측위 보정 표지를 개발하였다. 우선 기존의 자율주행을 위한 측위 기술 현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정사각형의 반사면 두 개로 구성된 1차 제작물과 각 반사면의 상하 길이를 늘인 2차 제작물에 대해 포인트 클라우드 개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1차 및 2차 제작물 모두 최소 15m 거리에서 시설물을 라이다 센서로 인식할 수 있었고, 상하 길이를 확장한 2차 제작물이 1차 제작물보다 포인트 클라우드 개수도 더 많으며 시설물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V2X 보안통신의 신뢰성 검증 (Reliability Verification of Secured V2X Communication for Cooperative Automated Driving)

  • 정한균;임기택;신대교;윤상훈;진성근;장수현;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91-399
    • /
    • 2018
  • V2X 통신이란 차량이 유무선망을 통해 다른 차량, 인프라, 네트워크, 보행자 등과 같은 객체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V2X 통신 기술은 최근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며 자율주행 차량 기술과 결합된 자율협력주행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자율주행 차량은 V2X 통신을 통해 외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차량 센서의 인식범위를 확장시키고 보다 안전하고 자연스런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협력주행 차량을 공공도로에서 운행하기 위해서는 V2X 보안통신의 신뢰성이 사전에 검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V2X 보안통신에 대한 테스트 시나리오와 테스트 절차를 제안하고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자율주행차의 대중화와 제조물하자에 관한 중재가능성 (Popular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nd Arbitrability of Defects in Manufacturing Products)

  • 김은빈;하충룡;김응규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1권4호
    • /
    • pp.119-136
    • /
    • 2021
  • Due to the restriction of movement caused by the Corona epidemic and the expansion of the "big face" through human distance, the "unmanned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s been widely used in modern life. "Self-driving," one of the transportation systems based on artificial technology, has taken the initiative in the transportation system as the spread of Corona has begun. Self-driving technology eliminates unnecessary contact and saves time and manpower, which can significantly impact current and future transportation. Accidents may occur, however, due to the performance of self-driving technology during transportation albeit the U.S. allows ordinary people to drive automatically through experimental operations, and the product liability law will resolve the dispute. Self-driving has become popular in the U.S. after the experimental stage, and in the event of a self-driving accident, product liability should be applied to protect drivers from complicated self-driving dispu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disputes caused by defects in ordinary cars can be resolved through arbitration through U.S. prece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disputes caused by defects in autonomous cars can be arbit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