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Code Generator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4초

EJB 컴포넌트의 코드 자동 생성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Code Generator for EJB Component)

  • 차정은;양영종;신석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331-334
    • /
    • 2001
  • 생산성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술적, 산업적 전략은 웹 환경 하에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로 점차 귀결되고 있다. 나아가 정보 공유의 투명성이나 비즈니스 로직의 독립적 패키징과 같은, 이 두 개의 기술들이 개별적으로 가지는 특성과 장점들을 결합한 웹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컴포넌트 중심의 웹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환경의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J2EE는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가장 표준화된 플렛폼 중의 하나로, 다중 계층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위한 간단한 개발과 전개, 관리 방식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CBD의 완성을 위한 실제적인 접근으로서 J2EE 환경의 EJB 컴포넌트를 위한 코드 자동 생성 도구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EJB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코드의 속성들을 분석하여 보편적인 EJB 컴포넌트의 템플리트를 설계하였다. 또한 도구 구축의 과정에서 세부적인 EJB 생성기의 구조와 기능적 특성을 명시화하고 개발에 필요한 EJB 컴포넌트 정보를 정의, 분류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모델 기반 통합 개발 도구 (Model-based Integrated Development Tool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정기원;김주일;이우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7호
    • /
    • pp.442-45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는 모델 기반의 통합 개발 도구를 제시한다. 제안하는 도구는 이클립스 플랫폼의 플러그인으로 개발되었으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 모델 작성기, 설정정보 생성기, 모델 검증기, 소스코드 생성기 및 템플릿 저장소로 구성된다. 이 도구는 UML의 클래스다이어그램과 같은 표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모델링하고, 센서 네트워크 모델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자들은 도구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모델을 작성하고, 모델에 속해 있는 각 센서들의 역할을 정의하여, 역할에 따른 속성값을 설정해 주기만 하면 각 센서들의 역할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또한 작성한 모델에 대한 설계를 검증하여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품질의 USN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제안하는 도구를 이용하면, 개발자들은 하위레벨의 정보를 자세히 알지 못하더라도 다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DS/CDMA 모뎀 구조와 ASIC Chip Set 개발 (A development of DS/CDMA MODEM architecture and its implementation)

  • 김제우;박종현;김석중;심복태;이홍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10-1230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기준신호를 나타내는 하나의 파일럿채널과 다수의 트래픽채널을 갖는 DS/CDMA용 송수신기구조를 제안한다. 파일럿채널은 데이타 변조가 되지 않은 순수 PN 부호성분을 전송하며 수신단에서 PN 동기 및 동기복조의 기준신호로 이용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순방향뿐만 아니라 역방향 링크에도 적용된다. 제안된 DS/CDMA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트래픽채널의 확산 방식은 I-phase 및 Q-phase의 확산부호를 파일럿채널의 그것과 교차하게 배치한 interlaced quardrature-spreading(IQS) 구조를 갖는데 이는 기존의 확산방식에 비해 데이타 신호의 영교차율을 줄여 송신단 출력신호 레벨의 변화를 작게한다. 둘째, PN부호의 초기동기 및 동기초적시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자동설정하며, 초기동기시 PN 부호를 한 칩씩 이동하게 하여, 기존의 방식에 비해 초기동기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게 했으며, 수신부에서 PN 부호 발생기를 하나만 사용하여 초기동기 및 동기추적이 되게했다. 또한 state machine을 이용하여 재동기 timing을 자동설정 하도록 설계했다. 셋째, 본 방식에서는 자동주파수조절(automatic frequency control: AFC)기능,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유효한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자동 레벨조절(automatic level control: ALC)기능, bit-error-rate(BER)을 자동계산하는 기능, 인접 채널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펙트럼 성형기능 등을 도입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했다. 넷째, 데이타 전송속도를 16Kbps~1.024Mbps로 가변이 되게함으로써 다양한 응용에 대처할 수 있게 설계했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한 DS/CDMA 모뎀구조는 다양한 simulation을 통하여, 알고리즘 검증 과정을 거쳤으며, 제안된 DS/CDMA 모뎀 구조는 VHDL을 이용하여 ASIC으로 구현하였다. DS/CDMA용 ASIC은 송신부 ASIC과 수신부 ASIC으로 나누어 개발 하였으며, 한개의 ASIC당 3개의 채널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다수의 ASIC을 사용하여 여러 채널의 다중접속이 가능하다. 제작완료된 ASIC은 기능시험을 완료했으며 실제 line-of-sight(LOS) 시스템 구현에 적용중이다.

  • PDF

네트웍 관리를 위한 MIB의 자동생성 (Automatic Generation of MIB for Network Management)

  • 유재우;김영철;김성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A호
    • /
    • pp.848-854
    • /
    • 2000
  • TMN에서의 네트웍 관리는 네트웍에 존재하는 운영체제나 통신 장비를 객체로 정의하고 관리한다. 이들 객체를 기술하기 위해 GDMO(Guidelines for the DefInition of Managed Objects)를 사용하고 있다. GDMO는 네트웍 관리를 위해 직접 이용되지 않으며, 객체지향 파라다임을 가지는 언어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또한 GDMO는 객체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을 참조한다. 본 논문에서는 ASN.1 & GDMO 명세를 Managed object Instance Base(MIB) 생성에 사용되는 객체지향 언어로 자동 번역하는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원시코드 생성기와는 달리 MIB 생성에 이용될 수있는 다양한 객체지향 언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ASN.1과 GDMO를 하나의 부라우져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합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 PDF

TMO기반의 코드 자동 생성기 설계를 위한 실시간 시스템 모델링의 기법 (Modeling of Real-Time System for TMO-Based Automatic Code Generator)

  • 석미희;신영술;류호동;이우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B)
    • /
    • pp.136-139
    • /
    • 2010
  •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계산 결과의 논리적 정확성과 결과가 산출되는 시간의 정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해 UCI Dream Lab에서 제안한 적시 서비스 능력을 보장하는 실시간 객체인 TMO 객체를 토대로 자동 코드 생성기의 설계를 제시한다. 기존의 모델 기반 개발방법론은 시스템을 추상화하고 그 모델을 상세화 과정을 거쳐 구현에 필요한 정보를 갖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코드를 생성 할 수 있게 된다. 기존의 도구들은 표준 UML을 사용하고, 표준 UML은 시간 제약 조건을 기술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따라 개발된 실시간 시스템 코드 자동 생성기는 완전한 코드를 생성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시스템 개발에 모델 기반 개발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해 TMO객체를 이용하여 기존 UML 모델의 구조 모델과 행위 모델에 실시간 특성을 추가해 확장하고 확장된 모델을 토대로 자동 코드 생성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 PDF

데이터 흐름을 반영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코드 자동 생성기 설계 (A Design of Data Flow based Automatic Code Generator for Embedded System)

  • 이병용;류호동;권진욱;석미희;이우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6-59
    • /
    • 2010
  • 오늘날 임베디드 환경에서의 하드웨어의 발전에 더불어, 소프트웨어의 복잡도가 점점 증가하고,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UML모델을 이용한 자동코드 생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UML을 이용한 코드 생성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설계된 모델의 무결성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서는 모델의 논리적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설계자로 하여금 정의하는 모델이 명확하게 이해되고 구현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코드 생성의 행위적 관점의 기본이 되는 상태머신 다이어그램에서 잘 드러나는 흐름과는 다르게 데이터의 사용은 다이어그램 내부에 숨겨져 있어 설계자로 하여금 모델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하고 잠재적인 에러의 내포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코드 내포 상태머신 다이어그램의 데이터 시각화기법을 이용하고, 이러한 시각화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사용관점에서의 모델의 이해를 도움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더불어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더욱 효율적인 형태의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자동 생성기의 설계를 제안 한다.

템플릿을 이용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자동생성 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Automatic Generation System of Device Drivers Using Templates)

  • 김현철;이서훈;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C호
    • /
    • pp.652-660
    • /
    • 2008
  • 어플리케이션에 맞춤화 된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리소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임베디드 OS의 종류와 버전에 맞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OS의 새로운 버전에 대해 확장성이 용이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자동생성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특정 OS 고유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구조를 템플릿으로 작성한 후 라이브러리화하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템플릿을 기본골격으로 하여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생성한다. 생성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커널에 등록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을 비교한 결과 매뉴얼로 설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비해 자동생성된 TFT-LCD 드라이버, USB 인터페이스 키보드 마우스 드라이버, 그리고 AC'97 컨트롤러 드라이버가 각각 경미한 증가를 보였다. 생성된 드라이버를 커널 컴파일 한 후의 코드 사이즈도 각각 경미한 증가를 보였다.

원자력 발전 주기기 제작에 적용되는 용접공정 (Weld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Nuclear power main components)

  • 정인철;김용재;심덕남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초록집
    • /
    • pp.43-46
    • /
    • 2010
  • As the nuclear power plant has been constructed continuously for several decades in Korea, the welding technology for components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has been improved largely. Standardization for weld test and qualification was also establish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concerned code. The welding for the main components requires the high reliability to keep the constant quality level, which means the repeatability of weld quality. Therefore the weld process qualified by thorough test and evaluation is able to be applied for manufacturing. Narrow gap SAW and GTAW process are usually applied for girth seam welding of pressure vessel like Reactor vessel, steam generator, and etc. For the surface cladding with stainless steel and Inconel material, strip welding process is mainly used. Inside cladding of nozzles is additionally applied with Hot wire GTAW and semi-auto welding process. Especially the weld joint having elliptical weld line on curved surface needs a specialized weld system which is automatically rotating with adjusting position of the head torch. The small sized pipe, tube, and internal parts of reactor vessel requests precise weld processes like an automatic GTAW and electron beam welding. Welding of dissimilar materials including Inconel690 material has high possibility of weld defects like a lack of fusion, various types of crack. To avoid these kinds of problem, optimum weld parameters and sequence should be set up through the many tests. As the life extension of nuclear power plant is general trend, weld technologies having higher reliability is required gradually. More development of specialized welding systems, weld part analysis and evaluation, and life prediction for main components should be taken into a consideration extens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