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driving system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초

레벨 3 자율주행차량의 인적요인 가이드라인 연구 동향 (A Study on Human Factors Guidelines for Level 3 Automated Vehicles)

  • 김현숙;권오천;이승준;김정숙;김우진;윤대섭;이인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6호
    • /
    • pp.24-36
    • /
    • 2020
  • To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traffic accidents caused by human driver factors and to guarantee the convenience of movement, research on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In automated driving levels 2 and 3, the driver must be ready to drive at any time as the automated driving system sometimes requires manual driving by the driv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s in global automated vehicle guidelines and prepare guidelin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factors necessary for the control rights transition system of automated vehicles. To this end, we reviewed at the guidelines for automated vehicles in the US, Germany, and Japan; ISO international standards; domestic automated vehicle standards; and the EU AdaptiVe project. In addition, a guideline is presented that can be referenced and applied by organizations related to automated vehicle manufacturing and operation. It was developed by utilizing the results of our studies on the human factors affecting the guideline of control rights transition. A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nd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mated vehicles are in progress, further research into and the revision of guidelines for safe automated vehicle production and use should be continued.

자율주행자동차 데이터 기록장치의 기록 조건 및 항목에 대한 방향성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ata Triggers and Elements for Automated Vehicle Data Recorder)

  • 강희진;우나은;박기옥;송지현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1-78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data triggers and elements to be recorded in automated vehicles in the future in relation to the event data recorder (EDR) and data storage system for automated driving (DSSAD). I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 EDR and DSSAD, but suggests data triggers and elements in preparation for overall automated vehicle accidents and dangerous situations. To propose, the current status of discussions on EDR/DSSAD internationally and the case of investigating accidents with automated vehicles under temporary driving licenses in Ko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data triggers and elements of the EDR/DSSAD of automated vehicles were presented.

자율주행차 평가 시나리오 구성요소 도출: 고속도로 본선구간을 중심으로 (Derivation of Assessment Scenario Elements for Automated Vehicles in the Expressway Mainline Section)

  • 고우리;윤일수;박상민;정하림;박성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21-239
    • /
    • 2022
  •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실효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하구조, 교통안전시설, 혼잡도, 기상 등 다양한 항목들이 평가 시나리오 내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 평가 시나리오에 반영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평가 시나리오의 체계를 수립한 후 반영될 구성요소를 계층별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계층별로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자율주행차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평가 구성요소 후보를 도출한 후,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총 77개의 자율주행차 평가 시나리오 구성요소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자율주행차 평가 구성요소들은 시뮬레이션 평가, 주행시험장 평가, 실도로 평가 등에서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동차 관련 법제의 합리적 개선방안 (Improvement of legal systems of automobil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박종수
    • 법제연구
    • /
    • 제53호
    • /
    • pp.269-310
    • /
    • 2017
  • '2016 DAVOS 세계경제포럼에서 Klaus Schwab이 "4차 산업혁명"을 처음으로 언급한 이래, 기존 산업이 ICT와 접목하여 새로운 신산업을 창출해내는 현상들이 국내외에서 뜨겁게 논의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다른말로 'Indutsrie 4.0'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자동차 산업도 마찬가지의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자동차가 세상에 나타난 이래 자동차 관련 기술은끊임없이 진화해오고 있는데, 독일 정부가 표방하듯 Industry 4.0 시대의자동차는 운전보조기능의 단계를 넘어 인공지능(AI)을 탑재하여 동적 주행성능의 대부분을 사람 운전자가 아닌 시스템이 관장하는 완전자율주행의 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은 나름대로의 방식과 체계로 주행자동화(driving automation) 기술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현행 자동차관리법령상 '자율주행자동차' 개념은 다양한 단계의 자동화 자동차를 모두담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자동화 자동차'로 개념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 아울러 자동화 자동차의 임시운행허가권의 소재도 국토교통부장관이 독점하는 것 보다는 시 도지사에게도 개방하여 지방화시대에 부합한 본래의 자동차 규제제도로 회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향후 자동화 자동차가 레벨3 이상의 단계로 진화하여 상용화하는 단계에서는 자동차안전기준도 독자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인바, 현행 임시운행허가시의 안전운행요건을 참조하여 레벨3 이상의 자동화자동차를 등록할 때 갖추어야 하는 안전기준을 정립하여 운용하여야 할것이다. 그밖에 레벨3 이상의 단계에서 시스템우선모드에서 운행되는 자동화 자동차라고 하더라도 그 운전자나 승객은 유사시에 운전개입을 하여 운행지배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운전면허의 소지자일 것을 요한다고 본다. 기타 자동화 자동차가 원활하게 운행되기 위해 필요한정보보호체계의 마련과 인공지능법제의 완비 및 자동화기술의 표준화 등은 향후 지속적으로 자동화 자동차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있어서 병행하여 정비하여야 할 중요한 법제영역이다.

레벨 4 자율주행자동차의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afety Guideline of Level 4 Automated Driving Vehicles)

  • 이광구;우현구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6-94
    • /
    • 2021
  • Since automated driving system (ADS) has great potential to innovate various fields of automobile and mobility industries, major countries are establishing safety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to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echnology development from being hampered by the safety standards for technologies still under development, safety guidelines are applied until the technologies are mature. For example, the safety 'guideline' for level 4 ADS was published in December 2020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Korea, while the safety 'standards' for level 3 ADS was promulgated in December 2019. In this study, the domestic safety guideline for level 4 ADS is analyzed with the guidelin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safety elements. As it takes a lot of time before the safety standards of level 4 ADS is introduced,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guideline will be updated several times. As necessary considerations when updating the safety guideline, industry acceptance, harmonization between safety elements, validation methods of system performance, and the user options are discussed.

Driver's Functions Definition in System of Systems Surrounding Automated Vehicles

  • Kinoshita, Satoko;Yun, Sunkil;Kitamura, Noriyasu;Nishimura, Hidekazu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6
    • /
    • 2015
  • This paper addresses the definition of the driver's functions for an automated vehicle of level 3, as defined by th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By combining the constituent systems surrounding the automated vehicles in specific use cases, their interactions could be refined in a stepwise approach. This approach enables traceability of interactions between drivers, automated driving systems, and other constituent systems.

협력형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과 시사점 (Some Lessons Learned from Previous Studies in Cooperative Driving Automation)

  • 전현명;양인철;김형수;이준형;김선겸;장지용;김지윤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2-77
    • /
    • 2022
  • 독립형 자율주행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협력형 자율주행 기술이 필요하다. 협력형 자율주행 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이 다른 차량 또는 인프라와 협력함으로써 주행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형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소를 알아보고, 국내·외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미국, 유럽, 일본, 국내에서 수행된 협력형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 통신 기술, 표준 개발 등의 사례 검토를 통해 국가별 연구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동향 검토를 통해 향후 협력형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자율주행차량을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 가이던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ocalization Requirements for Safe Road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s

  • Ahn, Sang-Hoon;Won, Jong-Hoo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4호
    • /
    • pp.389-395
    • /
    • 2022
  • In order to ensure reliability the high-level automated driving such 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and universal robot taxi provided by autonomous driving systems, the operation with high integrity must be generated within the defined Operation Design Domain (ODD). For this, the position and posture accuracy requirements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based on the safety driving requirements for autonomous vehicles and domestic road geometry standard are necessarily demanded. This paper presents localization requirements for safe road driving of autonomous ground vehicles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positioning system installed on autonomous vehicle systems, the domestic road geometry standard and the dimensions of the vehicle to be designed. Based on this, 4 Protection Levels (PLs) such as longitudinal, lateral, vertical PLs, and attitude PL are calculated. The calculated results reveal that the PLs are more strict to urban roads than highways. The defined requiremen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guaranteeing the minimum reliability of the designed autonomous driving system on roads.

SIMULATOR-BASED HUMAN FACTORS EVALUATION OF AUTOMATED HIGHWAY SYSTEM

  • Cha, D.W.;Park, P.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625-635
    • /
    • 2006
  • From a viewpoint of human factors, automated highway systems(AHS) can be defined as one of the newly developing human-machine systems that consist of humans(drivers and operators), machines(vehicles and facilities), and environments(roads and roadside environments). AHS will require a changed vehicle control process and driver-vehicle interface(DVI) comparing with conventional driving. This study introduces a fixed-based AHS simulator and provides questionnaire-based human factors evaluation results after three kinds of automated driving speed experiences in terms of road configuration, operation policies, information devices, and overall AHS use. In the simulator, the "shared space-at-grade" concept-based road configuration was virtually implemented on a portion of the Kyungbu highway in Korea, and heads-up display(HUD), AHS information display, and variable message signs(VMS) were installed for appropriate AHS DVI implementation. As the results, the subject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on the implemented road configuration, operation policies, and the overall use of AH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the road configuration and DVI design guideline as the basic human factors research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AHS.

자율주행 지원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갱신기술 평가를 위한 기준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l-Time Map Update Technology for Automated Driving)

  • 박유경;강원평;최지은;김병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6-154
    • /
    • 2019
  • 현재까지 많은 노력을 통해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고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 중에 있으며, 최근 도로변화에 대한 신속 변화 및 지도 갱신 시스템 개발을 통해 정밀도로 지도의 갱신을 신속히 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 안전을 위해 지도의 무결성 및 정확성이 요구되어지며,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2018)에서는 검사 방법을 만들어 확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갱신된 정밀도로지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의 기준 및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을 위한 도로변화 신속 탐지 및 갱신기술을 분석하고 통합 품질 검증을 위한 평가기준과 항목을 선정하였다. 평가 항목은 위치정확도와 판독정확도로 정하고, 선정한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실시간 변화탐지 및 정밀지도의 갱신 기술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율차의 안전주행을 지원하는 정밀도로지도의 품질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