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tative Record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진본성, 신뢰성 개념을 적용한 공신력 있는 기록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udgment of Authoritative Records by Applying the Concept of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 이젬마;오경묵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7-97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공신력 있는 기록이 가져야 할 품질 중 진본성과 신뢰성의 개념을 분석하여 이를 실제 법적으로 관리해야 할 공신력 있는 기록의 판단 기준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신뢰성은 기록의 생산단계에서의 완전성과 통제의 정도에 의해 확보되는 품질인 반면, 진본성은 기록의 생산이 종료된 이후 발생하는 조작, 변조 등을 방지함으로써 보장 가능한 품질이라 할 수 있다. 공공기록물법상 기록의 정의는 매우 포괄적이므로 법률에서 대상으로 하는 기록과 현실 속에서 실제 생산되는 기록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생산단계에서 신뢰성이 확보된 기록은 공신력 있는 기록으로 생산된 것이므로 이러한 기록이 함부로 폐기되었을 때에는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이 획득되기 이전부터 통제된 절차와 방식에 의해 완결성 있는 형태로 기록이 생산되어 신뢰성을 확보하고, 생산 이후 지속적으로 진본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 다만, 그러한 증거능력이나 4대 속성을 갖추지 못했다고 해서 그것이 기록이 아닌 것은 아니며, 그러한 기록역시 현실에서 생산되고, 시스템에서 관리되며, 사회적 기억의 담지물과 활동의 재현물로서 다음 세대에 지속적으로 전달된다.

블록체인 기록관리 국제표준화 - 현황과 의의

  • 김성재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1-6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과 기록관리의 상호적용을 위해 ISO/TC 46/SC 11 문서·기록관리 위원회와 ISO/TC 307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위원회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국제표준화 프로젝트인 ISO/WD TR 24332 "Blockchain and DLT in relation to authoritative records, records systems, and records management"에 대해서 소개한다.

증거로서 신뢰할 수 있는 전자기록의 품질 확보방안 연구 - 기록관리영역과 사법영역에서 다루는 기록과 증거의 품질 개념과 요건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curing the Quality of Trusted Digital Records as Evidence: Focusing on Analysis of Quality Concept and Requirements for Records and Evidence Respectively Covered in Records Management and Judicial Domain)

  • 이젬마;오경묵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의 신뢰체계 확보를 위해 증거로서 신뢰할 수 있는 전자기록의 품질 개념을 분석하고 기록관리 영역과 사법영역의 요건을 비교·분석하여 증거력 확보 방안 마련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관리 절차, 기록 메타데이터, 기록시스템의 요건, 공공기록물법령을 상호 연계하고 사법영역의 요건을 비교하여 기록관리 영역에서 요구되는 요건을 조사·분석하였고, 전자기록과 디지털 증거의 품질개념간 관계 분석을 통해 법적 증거력 확보를 위해 기록 생산 및 획득 단계에서 기록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조치가 요구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디지털 증거의 진정성 입증은 전자기록의 진본성 입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므로 진본성 입증을 위한 기록 프로세스와 기록 메타데이터, 기록시스템이 가지는 중요성과 이를 위한 조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 reflection on writing case records: Development and current demands for acupuncture practitioners

  • Wilson, Jane
    • 셀메드
    • /
    • 제4권2호
    • /
    • pp.13.1-13.6
    • /
    • 2014
  • The written case that reflects the course of treatment for a person is central to the East Asian medical tra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approaches and particularities of producing the actual written account of the clinical encounter, or a particular aspect of a case, that may be required by acupunctur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t will discuss the influences that can be brought to bear on the construction and production of these accounts. In addition, it will outline and highlight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case record documentation process as well as debate the value and purpose of these. This paper aims both to assist the production of helpful and authoritative case record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nd to highlight the usefulness of such case records. Moreover, it will discuss not only why the case needs to be written and for whom, but also which agencies support and control what is written. How can contemporary requirements and traditional views both be incorporated accurately, with context and with meaning? The essence of this paper is that practitioner/patient interactions need to be documented, and it will explore how this can best be supported.

Availability, Use and Constraints to Use of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by Postgraduates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Ibadan

  • Adeleke, Dare Samuel;Nwalo, Kenneth Ivo Ngoz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51-69
    • /
    • 2017
  • Availability, awareness and use of electronic resources provide access to authoritative, reliable, accurate and timely access to information. The use of electronic information resources (EIRs) can enable innovation in teaching and increase timeliness in research of postgraduate students which will eventual result into encouragement of the expected research-led enquiry in this digital age. The study adopt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Samples of 300 of postgraduate students within seven out 13 Faculties were randomly selec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designed to elicit response from responden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thods percentag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indicated that internet was ranked most available and used in the university. Low level of usage of electronic resources, in particular, full texts data bases is linked to a number of constraints: Interrupted power supply was ranked highest among other factors as speed and capacity of computers, retrieval of records with high recall and low precision, retrieving records relevant to information need, lack of knowledge of search techniques to retrieve information effectively, non possession of requisite IT skills and problems accessing the internet. The study recommended that usage of electronic resources be made compulsory, intensifying awareness campaigns concerning the availability, training on use of electronic resources and the problem of power outage be addressed.

카탈로그 레조네(Catalogue Raisonne)의 국내 편찬 활성화를 위한 사례분석 연구 (A Case Analysis Study for Vitalization of Domestic Compilation of Catalogue Raisonne)

  • 정공주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213-240
    • /
    • 2017
  • 카탈로그 레조네(catalogue raisonne)는 한 작가의 주요한 모든 작품를 목록화하여 작품과 관련된 학술적으로 중요한 기록정보를 기술한 예술가의 총체적 작품기록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러한 카탈로그 레조네는 전시 기획자 및 연구자들의 연구자료는 물론 작품의 진위여부를 가리는 기초적인 자료로 이용된다. 국내의 카탈로그 레조네의 제작은 시작단계에 있으나 국외의 경우 미술관련 기관과 작가의 재단이 주축이 되어 작가의 카탈로그 레조네의 활발한 제작을 진행해오고 있다. 카탈로그 레조네는 작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카탈로그 레조네의 기술요소는 작가의 작품 및 작업의 특성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이에 국외에서 출판된 작가의 카탈로그 레조네의 사례를 분석하여 카탈로그 레조네가 가지는 특성 및 기술요소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고, 이를 국내 작가들의 권위있는 카탈로그 레조네의 활발한 제작에 기여하고자 한다.

Scalloped border as a possible diagnostic aid for differentiating jaw lesions: A pictorial essay

  • Mortazavi, Hamed;Baharvand, Maryam;Safi, Yase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3호
    • /
    • pp.309-317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category of jaw lesions comprising cysts and tumors associated with scalloped borders. Materials and Methods: General search engines and specialized databases including Google Scholar, PubMed, PubMed Central, and Scopus, as well as an authoritative textbook, were used to find relevant studies by using keywords such as "jaw lesion," "jaw disease," "scalloping," "scalloped border," "scalloped margin," "irregular border," and "irregular margin." Out of 289 articles, 252 records were removed because they were duplicates, did not have a relevant title, or did not mention the frequency of findings described using the term "scalloped border." Finally, 37 closely related articles were chosen. Results: According to the relevant literature, scalloped borders are found most frequently in ameloblastoma, followed by simple bone cyst,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odontogenic keratocyst, and glandular odontogenic cyst. Conclusion: The lesions most frequently reported to have scalloped borders are ameloblastoma,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odontogenic keratocyst, simple bone cyst, and glandular odontogenic cyst.

황제택경(黃帝宅經)의 문헌적 연구 (A philologicalStudyonHuangdizhaijing(黃帝宅經))

  • 장성규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65-84
    • /
    • 2009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ilological character of Huangdizhaijing(黃帝宅經). Huangdizhaijing is a first stage scriptures of YangzhaiFengshui(陽宅風水) which is the firstly mentioned book in Sikuquanshu(四庫全書). Huangdizhaijing is an obligatory book to read to understand the palace of ancient dynasty as well as general housing of people. Huangdizhaijing measured housing conditions divided into Yangzhai(陽宅) and Yinzhai(陰宅). The contents succeeded traditional Yangzhaiguan(陽宅觀) which values direction(方向) and Jiri(吉日). Thatis, classifying Yangzhai into 24 directions based on Qi of YinYang(陰陽之氣) theory, general contents of Huangdizhaijing explains regulatory rules and propitious day in accordance with the Yangzhai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rchaeology through Jixiongshenshalun(吉凶神煞論). Huangdizhaijing includes the kernel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architect system and housing culture because it describes close reciprocal influences between man and house. It seems that the author of Huangdizhaijing is not the emperor but he was represented by descendants who systemized the idea of Huangdizhaijing in Yangzhai shu(陽宅書). Being there many of documents presented by emperor like Huangdineijing(黃帝內徑), It is counted that the reason of the representing emperor is to show off its origin has long and authoritative history. It seems that the preserved period of writing Huangdizhaijing is Tang(唐) dynasty, but counting that various Yangzhaishu prevailed, Huangdizhaijing's contents has much in common with Dunhuangben(敦煌本), and it valued Menfazhidu(門閥制度) of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dynasty, the many of the contents of Huangdizhaijing should be formed before Tang dynasty. The exiting editions of Huangdizhaijing could be divided into generally 8 kinds:(1) Zhengtongdaocangben(正統道藏本) (2)Yimenguangduben(夷門廣牘本) (3)Jindaimishuben(津逮秘書本) (4)Shuofuben(說?本) (5)Gujintushujichengben(古今圖書集成本) (6) Sikuquanshuben(四庫全書本) (7)Xuejintaoyuanben(學津討原本) (8)Dunhuangben(敦煌本).

  • PDF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