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ng Syste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초

몰입감 있는 촉감영화 시스템 (Haptically Enhanced Movie System)

  • 김영미;류제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3부
    • /
    • pp.6-11
    • /
    • 2008
  • 멀티미디어의 기술이 발전함과 더불어 몰입감 있는 다차원 상호작용에 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구현됨으로써 더욱더 실감나는 상호작용에 대한 기대는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화 시청 시 몰입감 있는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시청각 미디어와 동기화 된 촉각컨텐츠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다차원 촉감영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촉각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기존의 도구에 관한 고찰과 영화에서의 촉각컨텐츠에 대해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개발중인 촉감 저작/편집 도구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 그리고 이러한 저작/편집도구를 사용하여 제작된 몇 가지 촉감 영화를 소개한다.

  • PDF

스마트교육을 위한 인터랙티브 3D 융합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to Create Interactive 3D Convergenc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 노창현;김병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01-407
    • /
    • 2016
  • 스마트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3D 융합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사용 인터랙티브 3D 융합 콘텐츠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저작도구는 실질적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용 3D 엔진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해 구현된 저작도구를 현장 교사들에게 제공한 후 이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들은 전반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지만, 스크립트를 통해 제작되는 환경에 다소 복잡함을 느꼈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해 컴퓨터 환경에 익숙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보다 직관적인 3D 융합콘텐츠 저작 방식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웹 기반 의료정보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시스템 (Multimedia Content Authoring System for Healthcare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Web)

  • 이혜정;이민규;정영식;한성국;정석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7-46
    • /
    • 2005
  • 인간의 건강한 삶을 위해 의료정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웹 환경에서 상호작용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의료정보 서비스를 위한 밀티미디어 콘텐츠저작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밀티미디어 지원 언어인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SMIL 기반 의료정보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저작도구는 부분적으로 작성된 결과를 편집 즉시 재생하고 확인 수정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객체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의료정보 요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쉽게 저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효과적으로 다양한 의료정보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현할 수 있다.

  • PDF

MPEG-4저작 시스템에서 BIFS생성 모듈 (A BIFS Generation Module in an MPEG-4 Authoring System)

  • 배수영;김상욱;마평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5호
    • /
    • pp.520-529
    • /
    • 2002
  • 기존의 MPEG-4 저작 도구들은 대부분 BUS 전문가용 시스템으로 저작 도구 사용에 앞서 MPEG-4 컨텐트 표현 구조인 BIFS에 대한 선지식을 요구하며, 저작자들은 이를 습득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EG-4 컨텐트 개발에 소요되는 이러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자에게는 기존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편리한 저작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저작 도구 내부에서 BIFS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저작 환경은 BIFS 생성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저작 정보를 생성시키고, BIFS 생성 모듈은 이를 미리 정의해둔 BIFS 구성 규칙을 이용하여 BIFS로 재구성한다. 생성된 BIFS는 장면 트리, 객체 기술자, 연결경로(Route)로 구성되며, 이들은 MPEG-4 파일 포맷에 따라 기본 스트림과 먹싱되어 MP4 파일로 만들어진다.

메시지 통합성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일 저작 시스템 (Mutimedia Mail Authoring System Providing Message Integration)

  • 이택균;김태윤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12호
    • /
    • pp.3139-3149
    • /
    • 1997
  • 전자 메일시스템은 정보 전송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멀티미디어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인터넷 서비스가 멀티미디어를 지원한다. 전자 메일 시스템은 RFC 821에 의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의해서 7bit ASCH 정보의 전송만을 담당한다. 따라서 전자 메일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저작 및 전송을 지원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통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일 저작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저작되고 텍스트의 형태로 변환된다. 변환된 메시지는 전송 측의 MTA (Mall Transfer Agent)에서 수신 측의 MTA로 SMTP를 통해서 전송된다. 메시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구문에 따라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그리고 동영상등을 포함하여 저작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다양한 미디어들로 구성된 통합된 메시지를 제공해준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SMTP로 전송할 있는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해서 BASE64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MUA(Multimedia User Agent)에 의해서 관리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 PDF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이러닝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System for Science and Engineering Mathematics using Computer Algebra System)

  • 박홍준;전영국;장문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6호
    • /
    • pp.383-39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과 베이지언 추론망 기반 학습자 모델을 이용하여 개발한 이공계 수학용 이러닝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 대수 시스템 기반 수학용 콘텐츠 저작모델의 최근 모델인 동적 클라이언트 비의존형 모델을 따른다는 점과 개별 진단평가를 위한 추론 엔진으로 베이지언 추론망을 활용한 학습자 모델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러닝 시스템과 차별화된다. 이 시스템의 컴퓨터 대수 시스템 기반 저작모듈은 웹 수식표현에 관한 선지식이 없는 교수자에게 일체의 소프트웨어 지원 없이 수치계산, 기호연산, 그래픽처리가 가능한 수학 콘텐츠를 손쉽게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며, 베이지언 추론망을 웹과 연동되도록 구성한 평가모듈은 각 학습자의 학습영역별 학업성취도를 확률로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어, 학습자의 수준을 이원분류표와 같은 기존의 평가 방법보다 타당하고 과학적으로 진단해 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에게 보다 정확한 보충학습 내용을 제시하고, 사용자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심화학습 내용을 적응적으로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게 해 준다.

마커 및 제스처 상호작용이 가능한 증강현실 저작도구 (Augmented Reality Authoring Tool with Marker & Gesture Interactive Features)

  • 심진욱;공민제;김하영;채승호;정경호;서종훈;한탁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20-73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이 손쉽게 마커기반과 제스처 상호작용 방법들을 적용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증강현실 저작도구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증강현실 저작도구들은 가상의 객체를 증강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이러한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마커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제한적인 상호작용 방법의 문제점을 마커기반 상호작용 방법과 깊이 인식 카메라인 Kinect를 사용한 제스처 상호작용 방법을 적용시킴으로써 해결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간단한 형태의 마커기반 증강현실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능동적으로 사용자가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 방법으로는 마커기반의 상호작용 방법으로 2개의 마커를 이용한 방법과 마커의 가림현상(Occlusion)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맨손을 인식, 추적하여 객체의 확대 축소, 이동, 회전이 가능한 제스처 상호작용 방법을 제공한다. 저작도구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마커 및 제스처 상호작용에 대한 사용성을 비교평가하여, 본 연구의 긍정적 결과를 확인하였다.

사이버공격에 의한 임무영향 분석 도구를 이용한 통합시나리오 저작 방법 (Integrated Scenario Authoring Method using Mission Impact Analysis Tool due to Cyber Attacks)

  • 김용현;김동화;이동환;김주엽;안명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07-117
    • /
    • 2023
  •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투 행위가 군의 주요 임무체계 및 무기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사이버공격에 의한 임무영향을 사이버 M&S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임무체계와 사이버전 요소를 모델로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나리오를 저작하여야 한다. 사이버전에 의한 임무영향 분석 관련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연구에서는 물리전장과 사이버전장에 대해 별개로 시나리오를 저작하였다. 임무영향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전장 모델과 사이버전장 모델을 결합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임무 시나리오와 사이버공격/방어 시나리오를 통합해서 저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리전장과 사이버전장은 업무영역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효율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무체계 정보를 이용하여 시나리오 저작에 필요한 자료를 사전에 작성하고, 선작업된 자료를 이용하여 통합시나리오를 저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시나리오 저작도구의 설계에 반영하여 개발하고 있으며, 제안 방법을 입증하기 위해 대화력전 분야의 통합시나리오 저작을 수행하였다. 향후, 제안한 방법을 반영한 시나리오 저작도구를 활용하면 임무영향 분석을 위한 통합시나리오를 짧은 시간에 쉽게 저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래픽 정보의 XML구조화를 위한 저작도구의 구현 (A Study on the Design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Authoring Tool for XML Structurization of Graphical Information)

  • 김규태;정회경;이수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2-69
    • /
    • 2002
  • 그래픽 정보는 간단명료하고 직관적으로 정보 전달/저장할 수 있는 매체로서 모든 분야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정보 전달/저장 매체이다. 그러나, 그래픽 이미지 정보 자체만으로는 각 영역의 의미와 연관 관계가 추상적이며 사람에 따라 달리 해석할 요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서 그림에 설명을 다는 방식의 부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래픽 이미지의 각 영역에 차세대 웹 언어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1]을 이용하여 의미를 부여하고, 각 영역간의 관계를 구조화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정보를 표현하며 특정 영역에 관련 링크정보를 지정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정보 구조화 도구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저작도구는 래스터(raster) 방식의 그래픽 파일인 BMP파일과 벡터 방식의 그래픽 파일의 국제 표준인 CGM[2]파일로 이루어진 그래픽 정보에 각 영역의 의미를 지정하고 영역간의 관계를 구조화 하여 XML파일로 저장하는 저자기능과 구조화된 그래픽정보를 이용하여 핫스팟(hot spot) 링크를 찾아 보여주는 브라우징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동저작 프로토타입 시스템 (a Prototype System for collaborative Authoring Over a Network)

  • 김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009-102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동저작을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설계원칙과 구조를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주석 달기와 주석 확인을 위해서 광범위한 문서공간에서의 네비게이션 기능, 문서 locking 과 작업기록을 포함한 작업그룹 모니터 링 및 관리를 위한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설계된 프로토타입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그룹 사호작용, 그룹지원, 문서구조화의 구현 시험을 위한 testbed로 제공 될 수 있으며, 프로토타입의 개발배경과 문제점도 지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