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ng Syste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4초

MPEG-4 컨텐츠 저작 시스템 설계 및 개발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MPEG-4 Contents Authoring System)

  • 차경애;김희선;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4호
    • /
    • pp.309-316
    • /
    • 2001
  • MPEG-4 컨텐츠는 다양한 시청각 객체들로 구성되고,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여 동적인 씬 구성과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시청각 씬을 컨텐츠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 씬을 기술하는 디스크립션을 가진다. 이것은 씬을 구성하는 각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공간적인 위치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기술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씬의 시공간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MPEG-4 씬 디스크립션, 객체 디스크립터 등의 스트리밍 MPEG-4 컨텐츠로 자동 생성하는 MPEG-4 컨텐츠 저작 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개발 결과를 보인다.

  • PDF

클라우드 간의 콘텐츠 동적협업 서비스 플랫폼 기술 (Service Platform Technology of Dynamic Contents Collaboration of Clouds)

  • 홍요훈;;노정규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수집 및 저작도구를 통하여 콘텐츠를 보안 스토리지에 등록하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PC 등에서 콘텐츠를 공통의 경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작, 관리, 배포 기술을 제안하였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대량으로 생산 및 소비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IoT(사물인터넷) 기술이 확대되면서 실시간 콘텐츠와 과거 콘텐츠가 함께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콘텐츠 저작 및 협업 시스템에서 글로벌 서비스와 경쟁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업을 통해 만들어진 양질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저작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Advanced Authoring Format기반에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영상제작환경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Using Metadata based on Advanced Authoring Format)

  • 목선아;김철현;백준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4-28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T기반의 영상제작환경에서 advanced authoring format(AAF)의 메타데이터 사용을 제안한다. 영상제작시스템이 화질열화와 데이터 보관, 작업시간의 단축 등의 이유로 점차 디지털화되면서 메타데이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시스템 간에 메타데이터의 손실 없이 콘텐츠를 전송하는 능력, 즉 상호변환 가능성이 중요해 진다. 현재 방송, 영화 환경에서 editing decision list(EDL)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효율성 측면에서 좋지 못한 성능을 보인다. 이에 제안하는 AAF와 기존에 사용되는 EDL의 컷, 효과 메타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비교 실험 하였으며 그 결과 AAF가 EDL보다 더 많은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VR 콘텐츠 저작을 이용한 동적 스케줄링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Dynamic Scheduling Platform using VR Content Authoring)

  • 이영식;이덕희;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87-1192
    • /
    • 2022
  • 강원도는 대표적인 레저휴양 관광지이다. 그러나 관광정보 제공이 기존의 이미지와 텍스트 위주의 단순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관광지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사업의 연계 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360도 회전 VR 콘텐츠 저작기능을 제공하며 둘째, VR 콘텐츠를 맵 상에 등록한 후 사용자가 손쉽게 투어스케줄링을 저작하는 기능을 포함한 동적 플랫폼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제안 시스템은 예비 관광여행 고객들에게 온라인 선체험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DMB 하이브리드 데이터 서비스 Part 2: 하이브리드 서비스 저작 프레임워크 (T-DMB Hybrid Data Service Part 2: Hybrid Service Authoring Framework)

  • 임영권;김규헌;정제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60-371
    • /
    • 2011
  • T-DMB 하이브리드 데이터 서비스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장면 기술 정보와 객체 기술 정보를 방송망 이외의 전송 경로를 통해 분산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하이브리드 BIFS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T-DMB 수신기와의 역호환성을 보장하면서 새로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BIFS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 전송이 가능한 BIFS를 구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저작 프레임워크의 구현 결과와 이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소개한다. 하이브리드 서비스 저작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생성 시스템, 서비스 관리 시스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며, 통합된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저작하는 것은 물론 이를 방송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개인맞춤형 데이터로 분할하여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통해 구현된 콘텐츠는 기존 수신기와의 역호환성을 보장하면서 새로운 개인맞춤형 데이터 서비스 구현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기업 e-Learning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가이드라인 (Guidelines on Implementation of Corporate e-Learning Management Systems)

  • 나현미;장혜정;정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3-85
    • /
    • 2009
  • 본 논문은 학습관리시스템(LMS), 학습콘텐츠관리시스템(LCMS), 학습지원도구를 포함한 기업 e-Learning 시스템과 운영을 연계한 통합적 형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e-Learning 시스템 현황 및 특성을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하고, 관련된 국내 e-Learning 시스템의 다양한 질 관리 방법과 운영자, 교.강사, 학습자에게 적합한 실행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e-Learning을 새롭게 도입하거나 업그레이드 하고자 하는 교육훈련기관에게 e-Learning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체계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Collaborative Authoring based on Physics Simulation

  • ;권용무;고희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12-615
    • /
    • 2007
  • This research studies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Newton's physics law on rigid body type of objects for physics learning. With network support, collaborative interaction is enabled so that people from different places can interact with the same set of objects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he taxonomy of the interaction in different levels of collaboration is described as: distinct objects and same object, in which there are same object - sequentially, same object - concurrently - same attribute, and same object - concurrently - distinct attributes. The case studies are the interaction of users in two cases: destroying and creating a set of arranged rigid bodies. We identify a specific type of application for contents authoring with modeling systems integrated with real-time physics and implemented in VR system. In our application called Virtual Dollhouse, users can observe physics law while constructing a dollhouse using existing building blocks, under gravity effects.

  • PDF

휴대 단말기기의 3차원 그래픽 엔진 및 XML 기반 메뉴 저작 도구 구축 시스템 (The Development System of Third 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Engine and Menu Authoring Tools Based on XML at Mobile)

  • 권희춘;안병렬;김문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378-380
    • /
    • 2006
  • 국내 휴대 단말기기(Mobile Phone, PDA 및 DMB 폰 등)의 하드웨어적 컨버젼스 기술은 국제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세계 시장에서 선두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휴대 단말기기에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지는 UI(User Interface)는 상대적으로 낙후된 실정이다. 이에 따라 3차원 그래픽 UI의 구현과 휴대 단말기기의 이벤트에 반응하는 3차원 아바타 시스템 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적 컨버젼스 시대의 대비는 필수적이며, 본 논문에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3차원 UI의 구현 뿐 아니라 쉽고 빠르게 UI를 구축 할 수 있는 Authoring Tool 개발의 시급성을 인식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An Immersive Augmented-Reality-Based e-Learning System Based on Dynamic Threshold Marker Method

  • Lim, Sukhyun;Lee, Junsuk
    • ETRI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1048-1057
    • /
    • 2013
  • In recent year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ies have been the subject of great interest among many communities. In education applications, old-fashioned materials (or textbooks) are still used, despite remarkable AR developments in the industrial area. We present an AR system for education. Our system consists of an authoring tool that can be used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a viewer that plays that content, and an engine to manage the tool and viewer. In our system, a marker unit recognizes a marker printed on a plane or a cubic plane by adaptively adjusting the threshold to have an excellent recognition rate in diverse environments and acquires corresponding data of the marker. Based on the system, we test 1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increased educational benefits using our system.

지상파 DMB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BIFS 콘텐츠 저작 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BIFS Contents Authoring System for T-DMB Interactive Data Service)

  • 안상우;차지훈;문경애;정원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63-27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DMB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BIFS 콘텐츠를 쉽고 편리하게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BIFS 콘텐츠 저작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한다. 지상파 DMB에서는 대화형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MPEG-4 BIFS 규격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대화형 콘텐츠의 원활한 공급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상파 DMB 대화형 방송 서비스를 위한 BIFS 콘텐츠는 많은 수의 노드(node), 라우트 (route) 및 기술자 (descriptor) 들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지상파 DMB에서의 대화형 방송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MPEC-4 BIFS에 대한 기술적인 지식이 없는 경우에도 쉽고 편리하게 대화형 콘텐츠를 저작 할 수 있는 대화형 콘텐츠 저작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지상파DMB 대화형 콘텐츠 저작 시스템은 지상파 DMB 규격 및 MPEG-4 BIFS 규격을 준수하도록 개발되었으며, 상기 규격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쉽고 편리하게 대화형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BIFS 콘텐츠 저작 시스템은 지상파 DMB를 통한 대화형 방송 서비스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