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ng Syste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43초

사무자동화 교육을 위한 저작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Authoring System for OA Education)

  • 신영균;장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9-120
    • /
    • 1995
  • 본 연구는 사무자동화 교육을 위한 저작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과정에서CAI도구를 EXSYS Professional을 이용하였으며, OA 저작시스템 구축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무자동화 교육을 위한 저작 프로그램을 구현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지적 기능 향상과 학습 흥미 변화를 유도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 PDF

TV-Anytime Presentation Engine을 통합한 저작 도구의 개발 (Implementation of authoring tool integrating TV-Anytime Presentation Engine)

  • 이형진;이선임;이종설;조위덕;문영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컴퓨터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9-152
    • /
    • 2003
  •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implementation of indexing and presentation system conforming to TV-Anytime standards. This system has a metadata indexing scheme for multimedia contents, a video indexing algorithm for news and soccer videos, and an MPEG-2 TS player for nonlinear browsing. We also implement an authoring tool for the algorithms mentioned above.

  • PDF

원본 추적 모델 기반의 오픈 리소스를 지원하는 강의 교재 저작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 of E-textbook Authoring System Supporting Open Resource based on Original Contents Tracing Model)

  • 최자령;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0-658
    • /
    • 2016
  • This study proposes web-based authoring system for the lecturers who published textbooks by inserting external open resource. When lecturer publishes textbooks, the system makes it easier to utilize external resources by providing an open resource pool that the lecturer can search not only his own resources but external resources. In addition, we designed an open resource pool based on Original Contents Tracing Model to check whether the scrapped resource is changed or not in the future. Open Resource Pool allows inserting text, images and videos by searching multimedia, and stores metadata for the follow-up management. We made the system to determine the change of the resource using the metadata stored in the tracking system. Through this research, we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publish textbooks by utilizing a variety of open resources on the web and revise the book by tracing the scrapped resources.

저작도구를 이용한 수학 학습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Learning System with Authoring Tool for Mathematics Education)

  • 신우창;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1-230
    • /
    • 2007
  • 우리는 현재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도움으로 사회의 생산성과 효율성 그리고 편리성이 증진되었다.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정보기술의 도움을 받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교 교육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가 여전히 칠판과 교과서인 점을 생각해 볼 때 정보공학이 교육 분야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한 점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을 위한 학습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학습시스템은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수학교육 콘텐츠를 초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손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이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작성된 수학교육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척하여 그 활용성을 높인다.

  • PDF

교육용 플래시 콘텐츠 저작시스템의 구현 및 재사용성 분석 (Implementation of Authoring System for Educational Flash Contents and Reusability Analysis)

  • 김호성;김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7-17
    • /
    • 2005
  • 교육용 플래시 콘텐츠는 다양한 멀티미디어와 애니메이션 등의 화려한 콘텐츠로서 학습자와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고급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집중력을 고취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래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플래시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학습콘텐츠를 제작해야하는 교수자들이 직접 제작하기 힘들다. 본 논문은 교수자들이 만들기 어려운 플래시 콘텐츠를 웹상에서 원하는 형태의 틀을 선택하고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플래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플래시 콘텐츠를 재사용하는데 있어 기존의 방법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비교하고, 교수자 입장에서의 사용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보였다.

  • PDF

동적 프리젠테이션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 (A Multimedia Authoring System Supporting Dynamic Presentations)

  • 최숙영;신현산;유관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28-3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문서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실행시 동적 프리젠테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저작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시스템의 특징으로서는 미디어간의 시간 관계를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새롭게 정의함으로서 실행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미디어들의 실행 시간 변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문서 저작중 발생될 수 있는 일관성 오류를 즉시 검증하여 피드백하는 동적 저작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본 저작 시스템에서는 저작내용이 파싱 단계를 거치면서 트리 형태의 내부 구조로 표현되고 있으며, 실행 시간에 동적 프리젠테이션과 사용자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엔진이 개발되었다.

  • PDF

디지로그 북 저작을 위한 펜형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개발 (Development of Pen-type Haptic User Interface and Haptic Effect Design for Digilog Book Authoring)

  • 이준훈;하태진;류제하;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402-405
    • /
    • 2009
  • 차세대 출판문인 디지로그 북은 기존 서적과 디지털콘텐츠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오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로그 북을 제작하기 위해 디지로그 북의 저작도구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본 논문에서는 디지로그 북에 사용될 콘텐츠를 저작하는 활동에서 시각과 청각에만 의존한 작업을 보다 실감 있도록 하기 위해 펜형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디지로그 북을 저작하는 작업에서 3차원 작업공간에서 공간상에 배치되는 3차원 객체를 이동, 회전, 크기 변경 및 메뉴선택 버튼의 클릭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서 각 작업을 보다 실감 있게 하기 위한 진동 햅틱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로그 북의 저작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외형, 회로 설계, 진동패턴의 설계/내장 및 저작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이렇게 개발된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평가를 간단히 실시하였다. 디지로그 북 저작 작업에서 이렇게 개발된 햅틱 인터페이스의 촉각 효과를 시청각정보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디지로그 북 저작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실내공간구성을 위한 시각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3차원 가상현실 저작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Visual Programming Language-based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Authoring Tool to Compose Virtual Interior Space)

  • 박현수;박성준;김지인;박재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254-261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to develop a visual programming language-based 3D virtual reality authoring tool intended to compose virtual interior space.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wide spread of the Intenet have expanded the different uses of virtual reality in a number of applications ranging from interior design to building maintenance.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cyber spaces based on existing interior space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Current research, however, remains at the level of converting 3D models into virtual reality models, despite practitioners' needs for structural space models. Moreover, commercial tools to build virtual reality space have the disadvantage of targeting people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graphics. Accordingly, the 3D virtual reality authoring tool developed in this research - called the VESL system - enables virtual and structural space to be easily composed using intuitive and interactive visual interfaces, which are based on visual programming techniques. The VESL system also provides an XML based semantic description of interior space, to be used to describe interior space information. We anticipate that the virtual reality spaces composed by this system will be of considerable use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urther research issues identifi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include developing a converter/filter for transforming Internet virtual reality standard language, or VRML, and evaluating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for practical use.

프로그래밍 기법을 활용한 가상대학 컨텐츠 제작 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Authoring System for Cyber University Using Programing Skills)

  • 조세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7
    • /
    • 2001
  •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컨텐츠제작 시스템은 교육, 의학, 게임과 오락으로 대변되는 Entertainment 시장, 전자상거래로 대표되는 경제/경영 분야 등 모든 분야에서 요구되어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가상대학의 출현 및 발전, On-Line 교육 시장의 급속한 팽창 등으로 인한 교육 분야에서 그 수요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수요의 급증에 따른 컨텐츠 제작 시스템이 개발,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 시스템들은 컨텐츠 개발자의 편의성만 강조되어져 왔다. 이는 학습자들이 수동적으로 컨텐츠를 보도록 강요받아져, 자기의 의지를 전혀 반영할 수 있는 여지를 주지 못하는 방식으로, 컨텐츠의 효율적인 전달 및 평가 등에 많은 면에서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이 제안, 구현, 개발한 컨텐츠 제작 방식은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한 방식으로 개발자의 편리성보다 사용자의 학습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 구현 개발한 기법은 컨텐츠 강의자의 면대면 강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프로그램하고, 사용자(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또한 사용자(학습자)의 지속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 PDF

MPEG-4 기반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 시스템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 이인재;기명석;김욱중;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The MPEG-4 standard, which aims to provid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tool, has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communications, interactive broadcasting as well as from mixed service model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convergence. Due to the feature of object based coding, it has been considered that MPEG-4 is the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 production. This feature is suitable for creation of the content which provides multiple views of object or scene in interactive mann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multi-view visual content into two types: panoramic multi-view content and object multi-view conten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ng system for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is presented.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urther deployment of MPEG-4 content to various interactive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