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gment Realit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77초

증강현실 보드게임 프레임워크 (Augmented Reality Board Game Framework)

  • 김진국;이종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9-64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의 실시간 멀티유저 보드게임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프레임웍을 제안한다. 최근 휴대폰, PDA, UMPC 등 모바일기기의 컴퓨팅 능력 향상 및 무선 네트워킹 기술의 발달로 증강현실 기반의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환경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게임 환경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게임 유저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콘텐츠 수는 부족한 실정으로 양질의 증강현실 게임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개발 지원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기존 게임 콘텐츠 개발자도 기술 장벽 없이 신속하게 증강현실 기반 게임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콘텐츠 개발자가 내부 프로세스 구조를 몰라도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마커 인식 서비스를 통해 가상객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증강 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또한 보드게임에 활용될 수 있는 전문적인 기능과 다양한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보드게임 요소들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완성도 높은 증강현실 보드게임 개발이 가능하다.

  • PDF

가상현실 게임에 나타난 시각적 촉각성과 공간의 환영성 (A Study on Visual Tactility and Spatial Illusion in Virtual Reality Games)

  • 박진옥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6
    • /
    • 2018
  • 본 연구는 근대적 시공간 개념이 물리적 공간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고 있는 현재는 그 범위가 가상의 공간으로까지 확대 되었다. 이러한 가상현실의 공간적 특징을 시각적 촉각성과 환영성을 바탕으로 현실과 같은 상호작용의 가능성에 대해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현재 가상현실 콘텐츠 중 활용도가 높은 게임의 공간에 대한 환영성과 상호작용성의 몰입 관계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는 가상현실의 상호작용은 시공간이 융합된 공간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환영성은 원본이 없는 실재의 현실적 위치에 있다.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 대한 매체 투영 방법과 함께 가상공간에 대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영상문법으로 콘텐츠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증강현실 게임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배경객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Background Object Using Deep Learning in Augmented Reality Game)

  • 김한호;이동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8-43
    • /
    • 2021
  • 증강현실기술을 사용하는 증강현실 게임이 늘어남에 따라 사용자들의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증강현실 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 기술에는 MARKER, MARKERLESS, GPS등을 활용한 게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게임은 배경과 다른 오브젝트를 증강할 수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현실의 중요한 요소인 배경에서 객체를 분석하여 증강현실 게임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증강현실 게임에서 배경을 분석하기 위해 UNITY엔진에서 TensorFlow Lite를 활용하여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배경 객체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배경에서 분석된 객체의 종류에 맞춰 게임에 증강되는 오브젝트를 배치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활용하여 배경에 맞는 오브젝트를 증강하여 향상된 증강현실 게임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Generating Depth map for 3D Space Structure Recovery

  • Ban, Kyeong-Jin;Kim, Jong-Chan;Kim, Eung-Kon;Kim, Chee-Y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855-1862
    • /
    • 2010
  • In virtual reality, there are increasing qualitative development in service technologies for realtime interaction system development, 3- dimensional contents, 3D TV and augment reality services. These services experience difficulties to generate depth value that is essential to recover 3D space to form solidity on existing contents. Hence, research for the generation of effective depth-map using 2D is necessary. This thesis will describe a shortcoming of an existing depth-map generation for the recovery of 3D space using 2D image and will propose an enhanced depth-map generation algorithm that complements a shortcoming of existing algorithms and utilizes the definition of depth direction based on the vanishing point within image.

Development of Scent Display and Its Authoring Tool

  • Kim, Jeong Do;Choi, Ji Hoon;Lim, Seung Ju;Park, Sung Dae;Kim, Jung Ju;Ahn, Chung Hyun
    • ETRI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88-9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authoring tool and a corresponding device for an olfactory display that can augment the immersion and reality in broadcasting services. The developed authoring tool allows an olfactory display to be properly synchronized with the existing video service by applying the standardized format using ISO/IEC 23005 (MPEG-V) and the corresponding developed scent display device. To propose the proper data format for the olfactory display, we have analyzed both the multimodal combination and the cross-modality related to the olfactory displa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erived a set of olfactory parameters for the olfactory display that are related to emotion. The analyzed parameters related to emotion in an olfactory display are synchronization, scent intensity, scent persistence, and hedonic tone. These parameters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the olfactory display can be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media to augment emotion. In addition, we developed a 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generate many kinds of scents and that satisfies design conditions for olfactory parameters that are for use with broadcasting services.

The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ambulatory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Review of the latest trend

  • Lee, Gyu Chang;Choi, Won J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5
    • /
    • 2012
  • Objective: Dual-task walking deficits impact functional daily life, which often requires walking while performing simultaneous tasks such as talking, thinking or carrying an object.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atest trend of dual-task training's influence on ambulatory abilities of a stroke patient. Design: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Thi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Pubmed and Sciencedirect with the follwing key words: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 hemiplegia, gait, rehabilitation, exercise. 7 studies were chosen in findings by search tool. 3 studies were case study, 3 studies were cross 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and 1 study w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ults: It was found that stroke patients have difficulties in doing 2 motor tasks simultaneously and when they do 2 tasks, one is done in a naturally preferred activity areas. Moreover, when simply applying dual-tasks, the walking speed decreased. Meanwhile, when applying them through training, the speed increased. This showed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task-implementation abilities after dual-task training using task-integration models. Conclusions: In the beginning of the 2000s, dual-tasks were implemented by simply combining walking and cognition or exercise task,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ubjects with stroke have difficulty performing dual task. However, the latest trend is to let patients do the dual-task training by combining it with virtual reality. Therefore, dual task training could be performed in a safe in the environment such as virtual reality or augment reality.

  • PDF

증강현실기술이 적용된 3D 인형놀이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e dimensional paper doll development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김태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97-302
    • /
    • 2014
  • 증강현실이란 실세계의 오브젝트에 가상의 오브젝트를 증강시키는 기술로 현실세계에 디지털 정보를 시각화 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증강현실은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실시간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사용자와 컴퓨터간 상호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전달은 물론 지각능력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여주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RML로 모델링된 3차원 객체를 프로그래밍을 통해 3차원 데이터가 증강되는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가상물체들의 조합을 통해 3차원 아바타 및 다양한 가상의 의상들을 증강시키는 응용기술을 제안하였다. 게다가, 사용자가 직접 마커를 움직여 컴퓨터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 시킬 수 있었다.

비디오 객체 정의에 의한 동적 증강 정보 저작 (Authoring of Dynamic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Using Video Object Definition)

  • 남양희;이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8
    • /
    • 2013
  • 증강현실에서 움직이는 가상 모델을 증강물로 활용하려면 대개 별도의 모델링이나 애니메이션 도구 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매우 전문적이고 복잡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과정 없이 동적 가상 객체를 증강 환경에 삽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디오 객체 기반 저작 방법을 제시한다. 그랩컷과 그로컷을 통합 적용하여 대상물의 초기 영역을 분리한 후, 스냅컷을 이용해 프레임간 경계선 변화를 자동 추적하여 동작이 담긴 연속 프레임을 실사 비디오에 증강하는 방식이다. 실험결과로, 몇 단계의 메뉴 선택과 경계선 오류 정정 스케치만으로 특정 비디오 객체 컷아웃 및 증강 객체 저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HMD용 발향장치 설계와 적용 (Application and Design of Scent Display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

  • 백민호;김민구;금동위;김정도
    • 센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7
    • /
    • 2019
  • Studies to augment emotion and immersion in multimedia content through olfactory stimulation are being increasingly conducted in the past two decades, and a variety of scen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Most of the scent devices are very large and heavy; consequently, they are installed on a table rather than being attached to the Head-mounted Display (HMD). Even if such devices are mounted on the HMD,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scent density because of the size limitation, and it is not easy to be immersed in the experience because of the noise caused by the scent device. In order for an actual virtual reality or an augmented reality system to work efficiently with the scent device, three conditions - noiseless, a compact design, and concentration control- must be satisfied. In this study, we design a scent device that satisfies these three conditions. By using a miniature piezoelectric pump, a small size scent device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MD, and hardly any noise is generated. Moreov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the scent by controlling the piezoelectric pump using amplitude and frequency.

발향장치를 이용한 가상현실에서의 향 미디어 서비스 (Study on Scent Media Service in Virtual Reality)

  • 유옥환;김민구;김정도
    • 센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4-420
    • /
    • 2018
  • To augment emotion and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cal research based on scent display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results of extensive studies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interface head mounted displays (HMDs) with scent devices, and the possibility of VR applications of this development was identified via several demonstrations in actual VR environments. Despite all these efforts, more practical methods and conditions for scent display in VR environments are yet to be developed. To efficiently interface VR and scent, this study proposes three ways to set the position for scent display and scent conditions. The first is scent display using local positioning in the VR engine, the second is scent display using the relative distance and orientation between user and object in VR environments, and the third is scent display using time sett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scent devices using a piezo actuator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and successfully conducted demonstrations and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