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ribution styl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여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귀인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ribution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전희정;이순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77-587
    • /
    • 2019
  • 이 연구는 여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귀인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5명의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검사와 진로준비행동 및 귀인성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자기명확성이 부족할수록 또 진로정보가 부족할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소극적이였다. 둘째, 귀인성향 중 내적이고 통제가능한 노력에 귀인할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적극적이였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자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에 주는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자녀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lescent’s Self-Efficacy)

  • 신향숙;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89-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on adoescent’s self-efficacy. The subjexts of this study were 625 students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as survey method. Factor analysis, MANOVA and cluster analysis for data analysis and Scheffe test for post-hoc analysis were employed. The ma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dolesc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erceive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In case that adolescents perceived their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the degree of self-control, self-confidence and attribu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ases such as non-interferential or impulsive communication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showed higher preference of difficult task than those who perceived it as non-interferential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and non-interferential showed higher attribution than those who perceived it as impulsive styl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dolescent’s self-efficacy according to perceived mo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In case that adolescents perceive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the degree of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cases such as non-interferential and impulsive communication style. The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mother’s communication style as reasonable showed higher self-confidence than those who perceived as impulsive style.

  • PDF

미세먼지 피해 예방 행동 증진에 대한 연구: 귀인과 위험 지각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ing Preventive Behavior against Fine Dust: Focusing on Attribution Style and Risk Perception)

  • 문광수;오상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8-11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styles of attribution to fine dust on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s and preventive behaviors was examin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930 Korean people from a variety of ages and region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external and internal attribution to fine d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knowledge and dread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risk perception (knowledge and drea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attribution to fine dust and preventive behavior. However, internal attribution showed only a direct effect on protection behavior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attribution style of individual economic success)

  • 김윤식;양해술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41-552
    • /
    • 2012
  • 본 연구는 귀인이론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개인의 경제적 성공과 관련하여 어떠한 귀인양식을 보이는지 고찰하는 실증연구이다. 먼저 귀인이론의 이론적 고찰 및 귀인양식 관련 선행연구 분석에 의한 논거를 토대로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양식 고찰'이라는 연구논제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논제를 실증적 방법으로 고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38명(연령대/성별 할당표본추출)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개인의 경제적 성공 관련 귀인요인에 대해, 보유자산 10억원 미만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72.1%, 노력 18.0%로 나타나고, 보유자산 30억원 이상 사람들은 태생적 환경조건 12.0%, 노력 48.0%로 나타났다. 이러한 귀인양식을 Weiner(1979)가 주장한 귀인이론의 원인지각 측면에서 해석해 보면, 개인의 경제적 성공을 성취하는 원인에 대해 보유자산이 적은 사람은 태생적 환경조건 탓으로 돌리고, 보유자산이 많은 사람은 노력 덕분이라고 믿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 PDF

북한이탈주민의 귀인 양식: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ttribution Styl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 Research through Comparison with South Korean People)

  • 채정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3호
    • /
    • pp.1-22
    • /
    • 2006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귀인 양식을 좀 더 정확하게 밝히기 위해 만화형 귀인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북한이탈주민 61명과 남한주민을 68명을 포함하여 총 129명이었다. 연구 결과, 양측 주민들 간의 귀인 양식 면에서 유사한 점과 상이한 점이 동시에 드러났다. 즉, 양측 주민이 여러 가지 시나리오 형태에 대해 대체로 내부 귀인을 많이 하였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북한이탈주민에 비해 남한주민이 내부 귀인 경향을 많이 보였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통제가능 통제불가능 귀인 차원에서도 유사하게 드러났다. 하지만 안정-불안정 귀인 차원에서는 남한주민은 안정 귀인을, 북한이탈주민은 불안정 귀인을 주로 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상의 차이는 다양한 속성의 시나리오에서 상당히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시나리오의 주인공이 남한출신인가 북한출신인가에 따라서 양측 주민 간의 귀인 양식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개인의 검증된 능력과 속성에 대해서도 이주(migration)와 같이 상황이 달라지면 그 능력과 속성의 영향력이 낮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와 귀인 양식의 관련성이 남한주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귀인성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ttribution Style on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o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 박진우;황순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6호
    • /
    • pp.607-618
    • /
    • 2017
  • 본 연구는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에서 귀인성향이 주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B시의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을 함께하고 있는 비장애 중학생 380명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이들에게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정을 위해 Cronbachs'${\alpha}$ 값을 이용하였으며, 각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이용하여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귀인성향의 매개효과를 .05의 통계적 유의수준(p)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 귀인성향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과 내적귀인 간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적귀인은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귀인은 비장애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에 나타난 차연적 이미지들의 특성 고찰 (The Observation on the Intrinsic Attribute of 'la Différant Images' Expressed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 박신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80-688
    • /
    • 2014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intrinsic attribution of 'la diff$\acute{e}$rance images' which are core propositions of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what are the definition of 'changeability of fashion', 'la diff$\acute{e}$rance' and 'supplement' and what are the relationships?, how the la diff$\acute{e}$rance images which are intrinsic of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exist? and what is intrinsic attribution of 'ultimate la diff$\acute{e}$rant image', 'immediate la diff$\acute{e}$rant image' and 'la diff$\acute{e}$rant image of the trace'? The researchers de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vid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In conclusion, the 'supplement' phenomenon and 'la diff$\acute{e}$rant images' shown in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covers up the gap between the structural layers through the play led by supplement logic in the subconscious place of la diff$\acute{e}$rance of dialectical frame. They produce styles that have current value and become generalized la diff$\acute{e}$rant images of trace through the play of 'la dissemination.' These images repeat their individual play to reproduce a new different 'la diff$\acute{e}$rant images' and complete the aesthetics of harmony in the state of 'reservation,' 'deferment' and 'postponement'. The images are ready to make history and they create 'ultimate la diff$\acute{e}$rant images' from the demand of different period, and tries to combine with 'supplement' within 'the gap of la diff$\acute{e}$rance.' This process endlessly repeats in the dialectical frame through the la diff$\acute{e}$rant' play led by time and space, and it continuously produces new style that is required by different time and space.

Identifying Mobile Owner based on Authorship Attribution using WhatsApp Conversation

  • Almezaini, Badr Mohammd;Khan, Muhammad Asi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317-323
    • /
    • 2021
  • Social media is increasingly becoming a part of our daily life for communicating each other. There are various tools and applications for communication and therefore, identity theft is a common issue among users of such application. A new style of identity theft occurs when cybercriminals break into WhatsApp account, pretend as real friends and demand money or blackmail emotionally. In order to prevent from such issues, data mining can be used for text classification (TC) in analysis authorship attribution (AA) to recognize original sender of the message. Arabic is one of the most spoken languages around the world with different variants. In this research, we built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mining and analyzing the Arabic messages to identify the author of the messages in Saudi dialect. Many points would be addressed regarding authorship attribution mining and analysis: collect Arabic messages in the Saudi dialect, filtration of the messages' tokens. The classification would use a cross-validation technique and different machine-learning algorithms (Naïve Baye, Support Vector Machine). Results of average accuracy for Naïve Baye and Support Vector Machine have been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 have been presented.

미국청년 복식에 나타난 반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대학 복식에 나타난 인도스타일을 중심으로- (The Countercultural Influence on American Youth Fashion - Indian Styles Appeared in American College Fashion -)

  • 김혜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236-1246
    • /
    • 1997
  • 본 연구는 1960년대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온 동양문화의 도입, 특히, 인도문화가 청년문화 전반에 끼친 영향과 더 나아가 이러한 환경변화가 미국대학복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60년대 미국청년문화에 나타난 인도 문화의 영향은 철학, 종교 대중음악 등 다방면에서 보여졌으며, 또한 복식의 형태에도 반영되었다. 복식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에만 그쳤던 이러한 복식의 현상을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Washington, D.C.와 San Francisco/Berkeley 지역에 위치한 7개의 대학교에서 1960년 부터 1975년 사이에 발행한 대학신문에서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체계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사회과학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Content Analysis Method를 이용하였다. Content Analysis Method는 예비연구(preliminary study)의 결과를 기초로 인도 복식의 영향을 받은 미국대학복식의 형태를 크게 의복(clothes), 장신구(accessories), 직물(fabrics) 등의 3개 category로 분류하여, 다시 13개의 subcategory(kurta, midriff top, Nehru jacket/suit, Indian shirt/blouse/smock/dress, sari, Indian jewelry, Indian sandal, Indian urn, Indian bedspread. Indian embroidery, Indian print, madras, tie-dye)로 세분하였다. 복식의 형태에 의한 분류외에도, 대학신문의 광고나 기사에 실린 내용을 인도복식이 미친 엮향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Attribution information을 3 category(originated, attributed, connotated)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더불어, 같은 문헌에 나타난 인도에서 도입된 4개의 주된 종교(Transcendental Meditation, Hare Krishna, Yoga. Divine Light Mission)의 빈도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3개의 가인도복식스타일(Indian style)의 Frequency(빈도), Attribution, Duration(기간)의 내응을 포함하는 표로 요약되었다. 또한, 연도별로 Indian style이 나타난 빈도의 Duration(기간)의 내용을 포함하는 표로 요약되었다. 또한, 연도별로 Indian style이 나타난 빈도의 합계와 연도를 축으로 하는 막대그래프를 작성하고 이 그래프에 Attribution Category의 내용도 함께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학복식에 나타난 인도의 영향은 여성복식과 남성복식에 있어서 서로 유사점과 차이점이 보이는데, 인도의 영향이 여성복식에 있어서 그 빈도가 더 높고, 종류가 더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여성복식에 있어서는 12가지의 다양한 인도복식스타일이 나타났으며, 그중 가장 많이 보이는 스타일은 Indian Shirt/Blouse/Smock/ Dress이며, 그 뒤를 이어 Madras, Indian lowery등을 볼 수 있다. 남성복식애 나타난 7가지의 스타일 중에는 Madras가 가장 빈도가 높으며 그외의 스타일들은 그 빈도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다. 인도의 영향의 정도 (Attribution Categories) 있어서는 여성과 남성복식 모두에 있어서 인도에서 직접 수입된(originated) item이 각각 전체의 90%와 81%를 차지하여, 인도복식의 영향은 받았으나 미국내에서 제작된(attributed and connotated) item 보다 휠씬 더 많은 수를 보였다. 인도복식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지는 시기(Peak period)는 여성과 남성복식에 있어 모두 1968년에서 1971년 사이로 공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청년 문화에 전반적으로 나타났던 반문화적 현상과 동일한 시기로서, 이는 사회 현상이 복식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시기의 대학신문에 나타난 인도에서 도입된 4 개의 종교 역시 1960년대 후반 부터 그 빈도가 증가하여 1970년에 리고의 빈도가나타낭으로서 앞의 결과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shington,D.C.와 San Francisco/Berkeley 지역의 대학신문만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나 앞으로는 새로운 연구 자료의 발굴과 연구대상을 타 지역으로 확대시키므로서 미국내 전체의 청년복식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위험 운전상황에서 운전자의 문화성향에 따른 귀인양식의 차이: 운전 시뮬레이션 연구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Attribution Style in Dangerous Driving Situations: A Driving Simulation Study)

  •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367-3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된 위험 운전상황에서 운전자의 문화성향(개인주의 문화성향과 집단주의 문화성향)에 따른 귀인양식(상대운전자의 운전태도를 포함한 성향 귀인 또는 도로여건 등을 포함한 상황귀인)에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의 문화성향은 Singelis 등(1995)의 문화성향 척도를 사용하여 분류하였고, 위험 운전상황은 상대운전자에 의한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와 급정거 상황으로 나누어 제시하되, 각각의 위험 운전상황은 상대운전자의 의도가 분명히 드러나는 조건과 도로여건 등과 같은 상황변인이 강조되는 방식으로 시나리오 조건을 다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급정거: 상황강조' 시나리오 조건을 제외한 모든 시나리오 조건에서 실험참가자들의 귀인점수는 상황귀인 점수보다는 성향귀인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실험참가자들의 문화성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문화성향의 유형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즉, '끼어들기: 성향강조' 시나리오 조건을 제외한 모든 시나리오 조건들에서 개인주의 문화성향 집단의 경우에는 시나리오 유형과 상관없이 상대운전자의 성향요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강했던 반면, 집단주의 문화성향의 집단의 경우 상황요인에 대한 귀인점수가 높아져 성향귀인 점수와 상황귀인 점수 사이에서의 차이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의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