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uation

검색결과 3,081건 처리시간 0.026초

Rain Attenuation over Terrestrial Microwave Links at 18 GHz as Compared with Prediction by ITU-R Model

  • Shrestha, Sujan;Lee, Jung-Jae;Kim, Sun-Woong;Choi, Dong-You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3호
    • /
    • pp.143-150
    • /
    • 2017
  • Absorption of microwave radio frequency signal by atmospheric rain is prevalent at frequencies above 10 GHz. This paper presents the studies on rain attenuation at 18 GHz for 3.2 km experimental link between Khumdang (Korea Telecom, KT station) and Icheon (National Radio Research Agency, RRA station). The received signal data for rain attenuation and rain rate were collected at 10 second intervals over a three year periods from 2013 to 2015. Out of several models, the paper present discussion and comparison of ITU-R P.530-16 model, Moupfouma model, Da Silva Mello model along with suitable rain attenuation prediction method. The limitation of research lies on the experimental system that is set up in only one location, however, the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the application of suitable 1-minute rain attenuation model for specific site. The metho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microwave engineers and researchers in making decision over the choice of most suitable rain attenuation prediction in terrestrial links.

A STUDY ON THE 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OF DOWN-WELLING IRRADIANCE AROUND THE YELLOW SEA

  • Min, Jee-Eun;Ahn, Yu-Hwan;Ryu, Joo-Hyung;Lee, Kyu-S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459-462
    • /
    • 2006
  • The 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for down-welling irradiance ($K_d$) is an important parameter for ocean studies including remote sensing applications. For the vast ocean, ocean color remote sensing is the only possible means to get the fine-scale measurements of $K_d$. To develop a technique of estimating $K_d$ from remotely sensed data, the following underwater optical parameters (absorption coefficient (a), attenuation coefficient (c), scattering coefficient (b), diffuse attenuation coefficient ($K_d$), etc.) have been studied.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the field campaign around the Yellow Sea at $8{\sim}9$ June, 2006. We obtained a set of underwater optical parameter data: down-welling irradiance ($E_d$), up-welling irradiance ($E_u$) and up-welling radiance ($L_u$) using TriOS optical sensors and a, c coefficient using Spectral Absorption and Attenuation Meter (AC-S). We then derived $K_d$ values from $E_d$ for each depth.

  • PDF

주변 흙의 특성이 물이 찬 매립된 배관에서 전파되는 기본 유도 종파 모드 감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rounding Soil Properties on the Attenuation of the First Guided Longitudinal Wave Mode Propagating in Water-filled, Buried Pipes)

  • 이주원;나원배;신성우;김재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37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th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guided longitudinal wave mode propagating in water-filled, buried steel pip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saturation and compaction on the attenuation patterns. For numerical calculation of attenuation, 10 different combinations of S-wave velocity, P-wave velocity, and soil densities were considered. From the attenuation dispersion curves, which were obtained using Disperse software, we determined that the attenuation decreases as saturation increases, whereas it increases as compaction increases. Over the frequency range from 0.2 to 0.4 MHz, the first longitudinal wave mode has attenuations that are relatively lower than for other ranges, is faster than the first flexural wave mode, and is sensitive to defects aligned in the axial direction. Hence, the first longitudinal wave mode over the mentioned frequency range would be the proper choice for long-range buried pipelines that transport water.

황사로 인한 위성통신신호 감쇠영향 예측모델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of attenuation influence of satellite communication signal by Asian dust)

  • 조승재;홍완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21-827
    • /
    • 2008
  • 본 논문은 $1{\sim}20Ghz$의 대역별 위성통신 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 황사시 측정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황사의 감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황사 물질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측 감쇠량을 제시하였다. 예측 감쇠량을 실제 우리나라 황사 강도와 가시거리와 높이 등의 파라미터를 적용한 이론치를 구하여 4년간 측정한 실측치와 비교하였고 이를 토대로 황사로 인한 감쇠를 미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 퇴적층으로부터 획득한 수직탄성파 (VSP) 자료에서의 탄성파 진폭 감쇠 (Seismic attenuation from VSP data in methane hydrate-bearing sediments)

  • 송도 윤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1호
    • /
    • pp.29-36
    • /
    • 2007
  • 최근의 탄성파 탐사들은 퇴적층에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존재할 경우 탄성파 진폭 감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중부 토카이(Tokai) 해역의 난카이 트러프 (Nankai Trough) 탐사정에서 얻은 수직탄성파자료를 이용하여 30$\sim$110 Hz 주파수 대역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층에서의 P 파 감쇠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다른 측정방법들 (스펙트럼비 (spectral ratio) 방법과 중심 주파수 이동방법 (centroid frequency shift method))을 이용하여 감쇠 측정의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감쇠 측정의 안정성을 증명하기 위해 측정 심도구간, 시추공의 불규칙 변화, 주파수 구간에 따른 감쇠 분석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탄성파 주파수 대역에서는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층에서 P 파의 큰 진폭 감쇠는 발견되지 않았다. 육안으로 보기에는 탄성파 주파수 대역에서의 최대 감쇠는 저포화도의 가스층에 발생한다. 그와는 반대로 같은 시추공에서 얻어진 음파검층의 주파수 대역 $(10{\sim}20\;kHz)$에서는 가장 높은 P 파의 진폭 감쇠가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층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 퇴적층의 진폭 감쇠가 주파수에 의존함을 보여주고 있다.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층은 탄성파 주파수 대역보다는 음파검층 주파수 대역에서 진폭 감쇠를 유발함을 알 수 있다. $30{\sim}110\;Hz$의 탄성파 주파수 대역이 메탄 하이드레이트 부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로서 메탄 하이드레이트 지역의 얇은층 들로 이루어진 층서구조의 영향을 제시하였다.

Measurement of Rain Induced Attenuation using the Beacon Signal of Koreasat-3

  • Choi, Dong-You;Park, Chang-Gyu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19-123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here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f rain-induced attenuation in the vertically polarized signal propagating at 12.2525 GHz during some rain events, which occurred in the rainy wet season of the year 2001 at Yong-in, Korea(temperate climate). The attenuation measured experimentally was compared with that obtained using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ITU-R) model, the SAM model and the Global model. In this paper, measured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ITU-R prediction.

평면 이미지 기법에서 감쇠로 인한 측정 오차에 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 Errors due to Attenuation in Plannar Image technique)

  • 전재영;김동준;고현석;윤영빈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30
    • /
    • 2002
  • In the analysis of the mass distribution and SMD(Sauter Mean Diameter), planar laser imaging technique is a convenient and useful one when compared to the mechanical pattemator or PDPA (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 But recorded signals at cameras and intensity of laser are distorted by attenuation. Using experimental datum and assumptions, we study measurement errors due to attenuation in plannar image technique.

  • PDF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의 비행시간정보를 이용한 반복적 감쇠보정 및 영상재구성 (Iterative Attenuation Correction and Image Reconstruction Using Time-Of-Fligh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이남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371-1376
    • /
    • 2016
  • In this paper, an iterative method is proposed to perform attenuation correction and image reconstruction simultaneously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y using the time-of-flight information.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an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n attenuation correction and image reconstruction.

2005년 Fukuoka 지진기록을 이용한 국내 및 일본의 지진동 감쇄 특성 평가 (Study on the Earthquake Ground Motion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Japan using 2005 Fukuoka Earthquake Records)

  • 최인길;중도정인;전영선;대조정수;연관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5-54
    • /
    • 2006
  •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Fukuoka 지진 시 국내 및 일본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운동 감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을 이용한 예측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개발된 감쇄식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동일 거리에 위치한 국내 및 일본 관측소에서 측정한 기록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의 예측값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 국내에서의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감쇄식을 200km 이상의 비교적 원거리에 대한 국내 감쇄식의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플라스틱 사출성형 복합재료의 음향방출 진폭분포에 대한 감쇠효과 (Effects of Wave Attenuation on the Acoustic Emission Amplitude Distribution of Injection-Molded Fiber/Plastic Composites)

  • 최낙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98
  • 짧은 섬유로 강화된 열가소성수지의 복합재료를 대상 재료로 하여 AE의 발생위치(AE source location)를 구하고 AE신호의 진폭분포에 미치는 감쇠 손실(attenuation loss)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검토했다. 모의 AE파를 이용하여 측정된 감쇠율은 시험편내의 섬유체적함유율의 증가에 따라 단순 선형관계식으로 예상되는 값보다 더 작았다. 시험편에서 계측된 AE진폭분포에 감쇠손실을 보정한 결과, 시험편의 게이지부에 설정된 각 구역에서 서로 유사한 수준의 진폭분포가 나타났다. 또한 보정된 AE진폭은 시험편의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크게 되었다. 따라서, AE진폭을 이용한 고분자복합재료의 손상해석에서는 AE파의 감쇠효과를 보정해야 됨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