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tion concentration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37초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of tempo stimuli from electroencephalography recordings using convolutional recurrent attention model

  • Lee, Gi Yong;Kim, Min-Soo;Kim, Hyoung-Gook
    • ETRI Journal
    • /
    • 제43권6호
    • /
    • pp.1081-1092
    • /
    • 2021
  • Electroencephalography (EEG) recordings taken during the perception of music tempo contain information that estimates the tempo of a music piece. If information about this tempo stimulus in EEG recordings can be extracted and classified, it can be effectively used to construct a music-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This study proposes a novel convolutional recurrent attention model (CRAM) to extract and classify features corresponding to tempo stimuli from EEG recordings of listeners who listened with concentration to the tempo of musics. The proposed CRAM is composed of six modules, namely, network inputs, two-dimensional convolutional bidirectional gated recurrent unit-based sample encoder, sample-level intuitive attention, segment encoder, segment-level intuitive attention, and softmax layer, to effectively model spatiotemporal features and improv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empo stimuli.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s performance, we conducted experiments on two benchmark datasets.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promising results, outperforming recent methods.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에 따른 유아의 운동능력과 주의 집중력의 차이 (Different of Physical Activity Using Visual Stimulation Smart Device on Children's Athletic Ability and Attention Concentration)

  • 임동호;이소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415-420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유아의 신체 및 정신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을 유아에게 적용하였고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운동능력평가에서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각자극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앉아서 윗몸 굽히기와 한 발로 중심잡기 능력이 좋아졌다. 또한 시각자극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유아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유아들의 운동능력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시각자극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체육활동이 필요하다. 즉, 정보통신기술(ICT)과 체육활동이 유아에 신체적 발달과 인지적 발달에 모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한론(傷寒論)』 변병진단체계(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갈근황연황금탕(葛根黃連黃芩湯) 투여 후 호전된 성인, 소아 ADHD 4례 (Case Series Reporting 4 Case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reated with Galgeunhwangryeonhwanggeum-tang based o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by Shanghanlun)

  • 윤효중;김민환;두인선;이성준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5-115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reports on the cases of four ADHD patients who treated with herbal medication based o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DPIDS). Methods : Two children and two adults were diagnosed with ADHD according to DSM-V, and Galgeunhwangryeonhwanggeum-tang was administered. The parents of the two children completed the Korean ADHD Rating Scale (K-ARS) before and after treatment, while the other patients used the Korean ADHD Self Rating Scale (K-ASRS). The patients' somatic symptoms and other issues were evaluated through interviews. Results : In the first case, the K-ARS scale exhibited a change from 28 to 3. The patient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ocial behavior, along with the elimination of self-injurious behavior. In the second case, the K-ARS scale showed a change from 41 to 9. The patient in the third case demonstrated improved chronic fatigue, increased attention, work efficiency, and enhanced social skills, leading to maintaining employment for over six months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after the treatments. Additionally, the patient in the fourth case demonstrated improved work concentration and relief in nocturia. Conclusions : In this study, four patients exhibited improvements in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before and after herbal treatment, leading to enhanced academic and social relationships. As the patients progressed in their health restoration, symptoms related to the genitourinary system also showed improvement.

  • PDF

마음챙김 호흡과 신체이완이 여성노인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Mindfulness Based Breathing and Body Scan for Elderly Women's Attentive Concentration)

  • 김연금;이선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3-179
    • /
    • 2015
  • 본 연구는 마음챙김 호흡과 신체이완이 여성노인의 주의집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2-channel system EEG(electroencephalogram: EEG)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김포시에 거주하는 65세이상 여성노인 60명으로 그중 30명은 실험집단으로, 3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EEG를 측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에서 2013년 7월까지 이며, 프로그램은 주 1회, 회기 당 60분씩, 총 16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에서 주의지수 우뇌(69.61/70.85, p<.024), 주의지수 비율 좌뇌(4.22/3.75, p<.037), 주의지수 비율 우뇌(4.29/3.70, p<.019)로 나타났다. 주의지수는 주의집중력 등 각성상태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따라서 마음챙김 호흡과 신체이완이 여성 노인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방법으로서 효용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뇌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뇌파와 심전도 분석을 통한 색채와 색온도가 주거공간에서의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or and Color Temperature on the Attention in the Residential Space by the Analysis of EEG and ECG)

  • 김영중;지두환;류영재;김성현;서상혁;곽승현;강진규;민병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4-130
    • /
    • 2017
  •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physiological change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and color of interior space or not and to specify the effect of the condition of illumination and color, respectively on the attention. In order to do so, White and Green were selected for colors and 4,000k, 5,000k, and 6000k were done for color temperature, and then attention was identified. Examining the results, the more color temperature increased, the more attention improved (P < 0.05), and in the case of EEG, ${\alpha}$ wave decreased while performing the task of attention (P < 0.01), and ${\beta}$ wave decreased more in Green than White in color condition, and it increased more in 4,000k than 5,000k and 6,000k (p < 0.05) in color temperature condition. To sum up, color condition didn't contribute to the attention much, in the case of color temperature, when it is 6,000k, it is judged that it helped to improve attention. It is considered that relaxation contributed to improving attention, as ${\beta}$ wave and sympathetic nerve decreased in 6,000k (p < 0.05). It is judged that the relaxation of tensions which happened due to a beta wave and the reduction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6,000k, a condition of high color temperatur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further researches, it is intended that a test will be conducted for the subjects of different ag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temperature and color stimul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m on human body would be observed in subdivided, various test conditions through various color temperature and color stimulation.

뇌파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궁 슈팅 과정에 대한 집중력 및 긴장이완 수준 평가 (Evaluation of Attention and Relaxation Levels of Archers in Shooting Process using Brain Wave Signal Analysis Algorithms)

  • 이구형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09
  • 양궁의 슈팅과정에 대하여 정신 집중력과 긴장 이완도를 뇌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평가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우수, 중급, 그리고 초급 양궁선수들이 야외 양궁장에서 근거리와 장거리 타깃을 대상으로 슈팅 훈련을 할 때 앞이마(Fp1)에 전극을 부착한 헤드밴드 형태의 휴대용 뇌파 시스템으로 뇌파를 기록하였다. 개인별로 기록된 뇌파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계산되었으며, 슈팅 과정에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의 변화 형태가 분석되었다. 개인별로 각각의 슈팅에 대한 정신집중 및 긴장이완 수준 변화는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변화 유형은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을 평가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우수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슈팅과정의 진행에 따라 동시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중급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도는 증가하는 반면 긴장 이완 수준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변화는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뿐만 아니라 훈련 시에 유익한 피드백이 되었다.

  • PDF

Role of oxytocin in improving the welfare of farm animals - A review

  • Chen, Siyu;Sato, Shusuk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49-454
    • /
    • 2017
  • 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welfare of farm animals, which have been evaluated using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However, so far, the measures have almost always been used to estimate poor welfare. In this review, firstly we focus on how oxytocin (OT) relates to positive social behavior, pleasure, and stress tolerance, and second on which management factors stimulate OT release. OT induces maternal and affiliative behaviors and has an anti-stress effect. Further, OT is produced during enjoyable events, and has positive feedback on its own release as well. Therefore, to some extent, the relationship of OT to positive normal behavior was mutually beneficial-heightened OT concentration owing to comfortable rearing conditions induces positive social behavior, which in turn may increase OT concentration. Hence, studies on animal welfar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creasing comfort and the stress tolerance,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when stress occurs in farm animals.

인지적 접근을 이용한 언어중재가 전도성 실어증자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 (The Effects of Cognitive Language Intervention in a Subject with Conduction Aphasia: Case Study)

  • 이옥분;권영주;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119-129
    • /
    • 2001
  • Language is one aspect of cognition, along with attention and concentration, learning and memory, visuospatial abilities, and executive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nguage intervention by cognitive approach on language expressive performance in a patient with conduction aphasia. This study used several tasks such as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ask, visual memory tasks, memory tasks, categorization, divergent thinking, self-monitoring and evaluate thinking.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by periodic probing of both trained and untrained familiar words in three tasks; picture naming, answering to questions and telling stories.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s both in trained and untrained word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f this aphasic patient is amenable to this intervention, and that cognitive therapy approach can be useful.

  • PDF

건-슈팅 게임을 응용한 집중력 뉴로피드백 게임 구현 (Implement Concentration Neuro-Feedback Game using Gun-Shooting Game)

  • 김형민;이대니얼주헌;박소연;김성권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85-290
    • /
    • 2020
  • 뉴로피드백(Neuro feedback)은 자신의 뇌 상태를 파악하고, 뇌 상태를 의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기술로,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겪는 사람에게 그 필요성이 대두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뉴로피드백 훈련은 정적인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며 흥미를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중력 강화를 위하여 뉴로피드백과 건-슈팅 게임을 결합하는 뉴로피드백 게임을 제안 및 구현하였다. 뇌파 측정 시스템, 게임제어기 그리고 게임소프트의 설계로 뉴로피드백 게임이 구현되었으며, 본 연구로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겪는 사람에게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의력 훈련 게임 콘텐츠에 대한 EEG 신호 분석 (Analysis of EEG Signals for Attention Training Game Contents)

  • 강성호;박정현;신성욱;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3-90
    • /
    • 2019
  • 최근 들어 노년기의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단계로서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인지기능 훈련을 통하여 치매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지기능 훈련은 여러 가지 인지능력과 관련한 게임 콘텐츠로 제작되지만, 피험자들이 인지기능 훈련에 집중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정량적 검증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제작된 주의력 훈련 게임 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화에 대한 EEG 신호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게임 콘텐츠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주의집중 지표(Concentration Index)와 휴식 상태에서의 안정을 나타내는 이완 지표(Relax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피험자들의 CI는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피험자들이 집중하여 게임 콘텐츠를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