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omic bromid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2초

벤질할라이드의 할로겐交煥反應 (第 1 報) 鹽化 및 臭化 벤질과 鹽素 및 臭素이온과의 反應速度 (Halogen Exchange Reactions of Benzyl Halides (Part I) Kinetics of Reactions of Chloride and Bromide Ions with Benzyl Chloride and Bromide)

  • 정경훈;허연;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8-151
    • /
    • 1965
  • Benzyl chloride 및 bromide와 chloride 및 bromide ion 간의 반응을 90% ethanol 용액에서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하였다. 반 정량적인 결과의 해석은 bond-formation 이 bond-breaking보다 더 중요하고 또 결합형성 과정에서는 형성으로 얻은 energy보다는 nucleophile의 electron affinity의 증가로 인한 차이가 더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거품제염을 위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CTAB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의 거품안정성 및 분리특성 평가 (Effect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on Foam Stability and SiO2Separation for Decontamination Foam Application)

  • 최만수;김승은;윤인호;정종헌;최왕규;문제권;김선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2
    • /
    • 2018
  • 원자력 시설 내 방사능을 포함하는 물질의 제염을 위한 방법 중 거품제염은 2차폐기기물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여러가지 조건을 달리하여 합성하였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는 거품제염제의 거품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거품안정성이 향상된 이유는 제염제 내에 공기와 용액간의 계면에서 실리카 나노입자와 계면활성제의 반응으로 생각된다. 또한, CTAB는 실리카나노입자의 분리특성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실리카 나노입자 분리시, CTAB의 탄화수소기에 의한 소수성과 전하중성화에 의해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현상을 향상시켰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소금물중의 무기음이온들의 분리정량 (Determination of Some Inorganic Anions in Saline Water by Ion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ion)

  • 한선호;박양순;박순달;조기수;엄태윤
    • 분석과학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1999
  • 자외선검출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소금물 중에 함유하는 몇 가지 음이온의 분리정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분리관은 음이온교환수지(Dionex, AS7)를 사용하였고 용리액으로서는 sodium chloride/sodium phosphate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단계적용리법을 적용하므로서 최적분리가 가능하였으며 8가지 음이온(iodate, bromate, nitrite, bromide, nitrate, chromate, iodide와 thiocyanate)이 40분내에 분리되었다. 여러 가지 농도의 NaCl용액(0.0 M-1.0 M)속에 존재하는 음이온들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NaCl의 농도가 진할수록 bromate, nitrite, bromide와 nitrate의 피크의 모양이 점점 넓어졌으나 chromate, iodide와 thiocyanate는 1.0 M NaCl 용액의 농도까지 피크모양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또한 여러 가지 농도의 NaCl용액에서 음이온들의 검량곡선은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으며, $50{\mu}L$ 시료용액에서 검출한계는 $10-720{\mu}g/L$ 이었다. 바닷물중의 bromide, nitrate와 iodide의 측정에 이방법을 적용하였다.

  • PDF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of drinking water sources in a rural location

  • Rajamohan, R.;Ebenezer, Vinitha;Rajesh, Puspalata;Venugopalan, V.P.;Natesan, Usha;Murugesan, V.;Narasimhan, S.V.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권3호
    • /
    • pp.181-189
    • /
    • 2012
  • Trihalomethanes, produced as a result of chlorination of drinking water, are considered a potential health hazard. The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THMFP) of a raw water source may indicate the maximum trihalomethanes (THMs) that are likely to be produced when chlorine reacts with natural organic matter (NOM) present in the water.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HMFP in seven different drinking water sources in the vicinity of Kalpakkam, a rural township, on the east coast of India. Water from seven stations were analysed for THMFP. THMFP was compared with surrogate parameters such as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ultraviolet absorbance ($UV_{254}$) and bromide. The data showed that THMFP was high in water from open wells as compared to closed bore wells, possibly due to more photosynthetic activity. Proximity to sea, and consequently the levels of bromide,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d THM formation. THM surrogate parameters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THMFP.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알킬사슬에 따른 오염 점토 내 Cs 탈착 특성 연구 (Effect of Alkyl Length of Cationic Surfactants on Desorption of Cs From Contaminated Clay)

  • 김보현;박찬우;양희만;서범경;박소진;이근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점토 내 Cs을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알킬사슬의 길이에 따른 Cs의 탈착특성을 연구하였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Alk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를 사용하였고, 소수성 알킬사슬은 octyl-, dodecyl-, cetyl- 으로 변화시켰다. 소수성 알킬사슬이 길어질수록 montmorillonite 내 계면활성제의 흡착량이 증가하였고, 계면활성제의 층간 흡착으로 층간거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의 탈착률도 알킬사슬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었고 cetyl 그룹을 갖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최대 $992{\pm}2.9%$의 Cs 제거율을 나타냈다.

Protective Effect of Acetylbenzoylaconine Against Gamma-radiation

  • Moon, Philip 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83-86
    • /
    • 1973
  • Acetylbenzoylaconine, 2-aminoethylisothiouronium bromide hydrobromide (AET), $\beta$-mercaptoethylamine HCI (MEA), L-thiazolidine-4-carboxylic acid (thioproline)의 Co-60 감마선에 대한 방어효과를 5-6주된 백색마우스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백색마우스에 대한 acetylbenzoylaconine의 독성실험 결과 LD$_{50}$은 2.5mg/kg이었다. 위의 4종 실험약제를 백색마우스 복강내에 주사한 후 Co-60 감마선 800 rad를 전신조사하고 30일간 계속 관찰하여 실험군들에 대한 생존계수를 계산하였다. 이 생존계수치로 방사선장해에 대한 방어계수를 계산한 결과 acetylbenzoylaconine AET, MEA, thioproline에 대해 각각 2.24, 2.95, 2.78, 1.23 으로, acetylbenzoylaconine은 백색마우스를 Co-60 감마선장해로 부터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알았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사과의 검역해충 및 물리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Quarantine Pest and Physical Quality of Apples)

  • 강호진;권용정;변명우;김현구;정헌식;최종욱;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783-790
    • /
    • 2003
  • 사과의 검역해충과 품질에 대한 감마선 조사와 methyl bromide(MeBr) 훈증 처리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후지품종을 대상으로 검역대상 해충을 동정하고, 수확직후의 시료(1차 시료)와 수확 추 40일간 저온(0{\pm}1^{\circ}C,\;85{\pm}2%\;RH)$에서 저장된 시료(2차 시료)로 구분하여 감마선 조사(0, 0.5, 1, 2, 3 kGy)와 MeBr 훈증 처리를 행한 다음 $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해충의 방제효과와 사과의 물리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사과 시료에서는 검역대상 해충인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사과응애(Panonychus ulmi Koch)가 동정되었다. 이상의 해충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는 선량에 비례하여 지효성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나 비교적 높은 선량이 요구되었으며, MeBr 훈증은 처리 직후부터 완전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살충처리 사과의 물리적 품질인자로서 부패, 위축, 중량, 경도 및 색도 변화는 2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구와 훈증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검역처리 시기는 수확 직후(1차 시료)보다는 저온 저장 후(2차 시료) 처리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었다. 훈증처리에 비해 1 kGy 이하의 저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사과의 물리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약하여 검역처리 방안으로써 이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된 팥과 녹두의 수침에 따른 용출 특성 (Water-Soluble Components of Small Red Bean and Mung Bean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 노미정;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4-189
    • /
    • 2001
  • 팥과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을 위한 감마선과 methyl bromide(MeBr) 훈증 처리가 두류의 수침 시 용출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팥과 녹두를 $20^{\circ}C$에서 16시간 침지시킨 후 용출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녹두에 비해 팥이 두드러졌다. 그리하여 5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살충선량인 2.5 kGy 범위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MeBr 처리된 팥의 고형분 함량은 7.5 kGy 조사구와 유사한 수준의 변화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대조구와 거의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용출액의 pH는 처리구에 따라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의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두 시료에서 명도(L)의 감소와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증가현상이 점차 나타났으며, 훈증처리 시료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매우 심하여 전반적 색차(${\Delta}E$)가 팥은 10 kGy, 녹두는 30 kGy 이상 조사된 시료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침에 따른 유리아미노산의 용출은 팥의 경우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이, 녹두의 경우asparagine, glutamic acid, proline, valine 등이 용출 비율이 높았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MeBr 훈증 처리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 용출액의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선량과 매우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Evaluation of TlBr semiconductor detector in gamma camera imaging: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 Youngjin Lee;Chanrok Par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2호
    • /
    • pp.4652-4659
    • /
    • 2022
  • Among the detector materials available at room temperature, thallium bromide (TlBr), which has a relatively high atomic number and density, is widely used for gamma camera imaging.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lBr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by modeling detectors of various compound typ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The Geant4 application for tomographic emission was used for simulation, and detectors based on cadmium zinc telluride and cadmium telluride materials were selected as a comparison group. A pixel-matched parallel-hole collimator with proven excellent performance was modeled, and phantoms used for quality control in nuclear medicine were used. The signal-to-noise ratio (SNR), contrast to noise ratio (CNR), sensitivity, and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The SNR, CNR, sensitivity, and FWHM for the TlBr detector material were approximately 1.05, 1.04, 1.41, and 1.02 times,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detector materials. The SNR, CNR and sensi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detector thickness, but the spatial resolution in terms of FWHM decreased. Thus, w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and possibility of using the TlBr detector material in comparison with commercial detector materials.

Photoelectron Imaging Spectroscopy for (2+1) Resonance-Enhanced Multiphoton Ionization of Atomic Bromine

  • Kim, Yong-Shin;Jung, Young-Jae;Kang, Wee-Kyung;Jung, Kyu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189-194
    • /
    • 2002
  • Two-photon resonant third photon ionization of atomic bromine $(4p^5\;^2P_{3/2}\;and\;^2P_{1/2})$ has been studied using a photoelectron imaging spectroscopy in the wavelength region 250 - 278 nm. The technique has yielded simultaneously both relative branching ratios to the three levels of $Br^+(^3P_2,\;^3P_{0.1}\;and^1D_2)$ with $4p^4$ configuration and the angular distributions of outgoing photoelectrons. The product branching ratios reveal a strong propensity to populate particular levels in many cases. Several pathways have been documented for selective formation of $Br^+(^3P_2)$ and $Br^+(^3P_{0.1})$ ions. In general, the final ion level distributions are dominat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ion core configuration of a resonant excited state. Some deviations from this simple picture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interaction of resonant states and the autoionization in the continuum. The photoelectron angular distributions are qualitatively similar for all transitions, with a positive $A_2$ anisotropy coefficient of 1.0-2.0 and negligible $A_4$ in most cases, which suggests that the angular distribution is mainly determined by the single-photon ionization process of a resonant excited state induced from the third photon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