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oconger myriast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뱀장어목(目)) 어류(魚類)의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Congridae(Anguilliformes) from Korea)

  • 이충렬;박미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2-159
    • /
    • 1994
  • 1988년 6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우리나라의 전 치안(治岸)과 제주도(濟州道)에서 채집(採集)된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Congridae 어류를 중심으로 분류학적(分類學的) 주요(主要) 계수(計數), 계측(計測) 형질(形質)과 외부(外部)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 및 골격 형질(形質)들을 면밀히 분석(分析)하여 이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위치(位置)를 재검토(再檢討)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어류(魚類)는 6속(屬) 7종(種)으로 보고되었으나 조사(調査) 결과(結果) 꾀붕장어속(屬) Anago에는 꾀붕장어 Anago anago, 갈붕장어속(屬) Ariosoma에는 먹붕장어 Ariosoma anagoides, 흰붕장어 Ariosoma shiroanago shiroanago, 붕장어속(屬) Conger에는 검붕장어 Conger japonicus, 붕장어 Conger myriaster, 은붕장어속(屬) Gnathophis에는 은붕장어 Gnathophis nystromi nystromi, 테붕장어속(屬) Rhechias에는 테붕장어 Rhechias retrotincta, 애붕장어속(屬) Uroconger에는 애붕장어 Uroconger lepturus 등(等) 모두 6속(屬) 8종(種)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기재(記載)되어 보고되어 온 종(種)중에서 Conger flavirostris는 Ariosoma anagoid로, Astroconger myriaster는 Conger myriaster로, Congrina retrotincta는 Rhechias retrotincta로, Rhynchocymba nystomi는 Gnathophis nystromi nystromi로 확인되어 종전의 7종(種) 중(中) 4종(種)의 학명(學名)이 재정리(再整理)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서식(棲息)이 보고(報告)되지 않았던 Ariosoma shiroanago shiroanago를 확인(確認)하여 한국산(韓國産) 미기록종(未記錄種)으로 보고(報告)하면서 한국명(韓國名)으로는 "흰붕장어" 라고 명명(命名)하였다. 아울러 한국산(韓國産) 붕장어과(科) 어류(科魚) 6속(屬) 8종(種)에 대한 주요 형태 형질과 계수 형질을 중심으로 각 속(屬) 및 종(種)에 대한 새로운 검색표(檢索表)를 작성 제시(提示)하고 각 속(屬) 및 종(種)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주요(主要) 형질(形質)을 기재(記載)하면서 이들의 지리적(地理的) 분포(分布)에 대하여 논의(論議)하였다.

  • PDF

해산류(海産類)중의 제(第)2급(級) 아민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istribution of Secondary Amines in Raw Marine Fishes)

  • 김광호;오영복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1권1호
    • /
    • pp.17-20
    • /
    • 1978
  • The materials carcinogenic agent, nitrosoamine, is distributed in food circumstances, and is formed when both nitrite and secondary amine are present. Nitrites are added to fishes as a color fixative or preservative and secondary amines exist in fishes. In order to find the distribution and contents of secondary amines, analysis of 19 kinds of fish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the quantity of secondary amines in 19 kinds of fish by district. The highest value was 20.29 ppm in Theragra chalocogramma and the lowest was 0.022 ppm in Ostrea denselamellosa. Six fishes below 1 ppm were Nibea imbricata, Misgurnus mizolepis, Astroconger myriaster, Evynnis Japonica, Ostrea denselamellosa and Solen gouldi. Dimethyl amine only was identified and diethylamine or diphenylamine was not detected in all kinds of 19 fishes.

  • PDF

어류의 주광성에 관한 연구 -쥐치, 붕장어, 붕어- (PHOTOTAXIS OF FILEFISH, CONGER EEL AND CRUCIAN CARP)

  • 양용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3
    • /
    • 1980
  • 빛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붕장어 Astroconger myriaster, 붕어 Carassius cerassius에 빛의 세기가 서로 다른 여섯가지 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야에 각각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실험수조내에서의 광자극에 대한 구간별분포는 세 어종이 모두 양단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대체로 U자형이 되었다. 2. 쥐치는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광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모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평균수중조도는 0.7 lx(0.5-1.1 lx)로서 주야간에 같았다.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 붕장어는 수중조도가 어떤 값보다 높아지면 광원에서 멀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고, 집어율이 최대가 되 는 평균수중조도는 주간에 1.9 lx(1.2-2.9 1x), 야간에 5.2 1x(3.2-7.7 1x)로서 야간에 더 높았다. 집어율은 조명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 하였다. 4. 붕어는 어느 실험광원하에서도 제 VI 구간에 많이 모였고, 강한 광원일수록 제 VI 구간에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보였다. 야간에는 16.2 lx 정도에서 집어율이 약간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대체로 주야간 다같이 수중조도에 따른 집어율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조명시간 중 집어율이 일정한 증감추세를 보인지 않고, 불안정하게 변동했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1.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1.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the Bamboo and Plastic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7
    • /
    • 1987
  • 현재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의 붕장어 유입성능과 구성재료에 따른 차이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조실험을 통해 이들 통발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붕장어의 색이행동은 주로 후각에 의존하며, 시각감도는 매우 나쁜 것 같았다. 2)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다. 3) 붕장어의 입롱은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나고, 입롱이 일어나면 통발에의 접촉수가 증가하며,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4) 통발에 접근한 붕장어의 대부분은 미끼가 있는 부분으로 향하여 그곳의 통발외벽을 계속적으로 쪼았고, 입구를 접촉하는 것은 매우 우연적이었다. 5) 붕장어가 통발의 입구를 접촉했을 때는 강한 주촉성을 보이지 않고, 입구를 접촉한 총 회수 중에서 $40\%$ 정도는 입롱을 시도하지 않은 채 도피하였다. 6) 붕장어가 입롱을 시도한 총 회수 중에서 $20\%$는 완전 입롱하였고 나머지 $80\%$는 입롱시도후 도피하였는데, 이러한 불리한 입롱은 주로 입구깔때기의 길이가 긴 것에 기인하는 것 같았다. 7) 통발을 수조바닥에 수평으로 놓은 경우는 미끼의 위치가 통발의 입구쪽에서 꽁무니쪽으로 갈수록 붕장어 유입성능이 나빴다. 8) 통발속에 미끼를 방치하고 통발의 꽁무니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통발을 수평으로 하여 미끼를 입구쪽에 고정한 경우와 붕장어 유입성능에 대차가 없었으나, 통발의 입구쪽을 들어 $30^{\circ}$로 경사시킨 경우는 유입성능이 매우 나빴다. 9)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을 비교하면, 붕장어의 입롱이 플라스틱통발에서 수분 정도 늦어질 뿐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5. 붕장어통발의 개량실험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5. An Experiment for Modifying the Pot for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15-322
    • /
    • 1990
  • 본 실험에서는 붕장어통발의 가장 바람직한 형 및 구조를 알아내기 위해, 튜브형 그물통발, 사각주형 그물통발, 사각판형 그물통발 및 파이프형 통발을 사용하여 수단에서 그들의 붕장어 유입성능을 비교하고, 이들 중 유입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사각판형 그물통발과 파이프형 통발을 골라 해상에서 대통발 및 플라스틱통발과 어획비교 실험을 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붕장어 유입성능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좋고, 다음이 사각판형 그물 통발이며, 사각주형그물통발, 튜브형 그물통발로 갈수록 나빴다. 2) 파이프형 통발은 길이 50cm 짜리와 60cm 짜리 사이에 유입성능의 차가 없었고, 둘 다 붕장어의 입롱이 쉽게 빨리 일어나므로 통발접촉 마리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은 채 빨리 감소해가며, 통발투하 후 30분 이내에 접촉이 종료되었다. 3) 길이가 50cm되는 사각판형 그물통발에서는 그 높이와 입구 직경의 최소유효치가 각각 5cm로 나타났다. 4) 붕장어의 어획은 파이프형 통발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사각판형 그물통발이었으며, 대통발과 플라스틱통발에서는 서로간에 유의차가 없이 다같이 적었다.

  • PDF

소아에서 반복성 복통을 동반한 위 아니사키스증 1례 (A Case of Gastric Anisakiasis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in a Child)

  • 권재훈;엄지현;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74-77
    • /
    • 2004
  • 저자들은 내원 2개월 전 붕장어 회를 먹은 후 하루에 수차례 나타나는 반복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0년 1개월 된 여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된 위아니사키스증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통발어구의 어획기구 및 개량에 관한 연구 3. 그물통발유에 대한 붕장어의 행동 (Fishing Mechanism of Pots and their Modification 3. Behavior of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to Net Pots)

  • 김대안;고관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8-244
    • /
    • 1990
  • 본 실험에서는 민꽃게 대상의 그물통발들을 붕장어에 그대로 적용하여 수조실험을 행한 결과, 붕장어의 대통발 행동에 관한 다음의 몇 가지 특성을 얻었다. 1) 붕장어의 통발접촉수는 통발 투하후 급격히 증가하여 주로 30분 이내에 최대치를 보였다가 차차 감소하였고, 입롱도 통발 투하후 30분 이내에 주로 일어났으며, 입롱이 일어나면 접촉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고, 입롱이 빨리 일어날수록 최대접촉수도 빨리 나타났다. 또한 이들 결과는 전보의 대통발$\cdot$플라스틱통발에 대한 조사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2) 통발에 접촉한 붕장어는 미끼냄새가 나는 곳을 향하여 주로 통발의 하부를 파고 들었으며, 통발과 수조바닥사이를 파고들어 미끼를 구 할려는 것도 전체 접촉수의 $10\~35\%$나 되었다. 3) 붕장어의 입롱과 출롱은 입구가 하부에 난 통발일수록 쉬웠다. 4) 통발의 평면형상이 원형인 것은 통발내외에서 붕장어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많았으나 그것을 지나쳐버리는 일이 많았고, 사각형인 것은 입구 또는 출구에 도달하는 기회는 적었으나 그곳에 도달하면 쉽게 입롱 또는 출롱 하였다. 5) 붕장어의 완전한 입롱은 꼬리의 입구통과로 결정되었고,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는 입구로부터 미끼까지의 거리가 짧은 통발에서 많았다. 6) 입구끝이 통발내로 휘어져 들어간 것은 입롱한 붕장어의 출구발견을 어렵게 하였고, 통발천의 하부에 구석이 만들어진 경우는 통발내의 붕장어가 그곳을 계속적으로 쪼으면서 정체되는 행동을 보였다. 7) 입구끝에 혀그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입롱시도후 도피한 개체수가 많아지고 입롱도 나빠지나, 일단 입롱한 것은 전혀 출롱치 못하였다.

  • PDF

수산식품(水産食品)의 가공(加工) 및 보관중(保藏中)의 핵산(核酸) 관련물질(關聯物質)의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3. 붕장어 천일건조중(天日乾燥中)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의 변화(變化)- (Degradation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ea Food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3 . Degradation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Conger-eel Astroconger myriaster Muscle during Drying-)

  • 이응호;한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4
    • /
    • 1972
  • 붕장어의 선어(鮮魚) 및 천일건조중(天日乾燥中)의 산가용성(酸可溶性)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붕장어에는 IMP함량(含量)이 월등하게 많았고, ATP, ADP, AMP 및 inosine, hypoxanthine은 양(量)이 적었다. 2. 천일건조중(天日乾燥中) ATP, ADP, AMP는 거의 완전(完全)히 소실(消失)되었고, 생원료중(生原料中)에 가장 많았던 IMP$(16{\mu}moles/g,\;dry\;base)$도 1/16로 감소(減少)하였다. 한편 inosine은 12배로 hypoxanthine은 약 3배로 증가(增加)하였다. 3. flavor quality 면으로 판단한다면 천일건조중(天日乾燥中)은 붕장어 가공법(加工法)으로서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이 못된다고 볼 수 있다.

  • PDF

동결저장 및 빙장한 잉어 및 붕장어의 어묵원료적성 (Fish Jelly Forming Ability of Frozen and Ice Stored Common Carp and Conger Eel)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51
    • /
    • 1985
  • 빙장 및 동결저장한 잉어와 붕장어의 어묵 가공원료로서의 적성에 대하여 실험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값, VBN, 생균수, pH및 관능검사 결과로 미루어 보아 어묵가공원료로서의 빙장한계는 잉어인 경우 약 16일이었고 붕장어는 약 13 일이었다. 또한 $-30^{\circ}C$, 3개월 동결저장중에는 양시료 모두 그 원료의 품질이 양호한 편이었다. 2. 저온저장에 대한 내성은 잉어가 붕장어보다 다소 강한 편이었다. 3. 제품의 품질특성시험으로서 겔강도, 절곡시험, 보수력, 색조, texture의 측정결과와 관능검사결과로 미루어 보아 빙장시료중 잉어는 빙장 10 일까지 제품품질이 우수하였고 빙장 16 일까지 어묵원료로서 이용 가능하다고 인정되었으며 붕장어인 경우, 빙장 8일까지 제품이 우수하였고 빙장 13일까지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동결저장한 시료로 만든 어묵제품은 양시료 모두 원료 저장 3개월까지 어묵제품 품질이 양호하였으며, 3개월간 동결저장한 원료의 어묵제품 품질은 잉어인 경우 빙장 $3{\sim}4$일째의 것과, 붕장어는 빙장 $4{\sim}6$ 일째의 것과 그 품질이 각각 서로 유사하였다.

  • PDF

천연산(天然産) 잉어 및 붕장어의 계절에 따른 어묵원료적성(原料適性) (Seasonal Variation in Gel Forming Ability of Wild Common Carp and Conger Eel)

  • 박은경;신종우;박경희;양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
    • /
    • 1987
  • 1984년(年) 5월(月)부터 1985뚜 4월(月)까지 1년간(年間) 천연산(天然産) 잉어 및 붕장어의 계절에 따른 어묵 원료적성(原料適性)을 실험한 결과. 잉어는 일반성분(一般成分)의 계절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년중(年中) 어묵의 품질이 모두 양호하였다. 붕장어는 수분과 조지방의 년중(年中) 변화복(變化福)이 각각 $61.0{\sim}76.6%$, $5.4{\sim}20.8%$로써 변화가 컸고 $9{\sim}2$월(月)의 것은 $3{\sim}8$월(月)의 것보다 수분은 적고 지방함량은 많았으며 이 시기(時期)에 어획(漁獲)한것으로 만든 어묵 가공제품(加工製品)은 다른 때의 것보다 품질이 우수하였다. 단백질, 회 및 탄수욕물 함량은 년중(年中)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