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ias amurensi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불가사리 부타놀 분획의 항알러지 활성 (Anti-allergic Activity of Butanol Fraction of Asterias amurensis)

  • 양주혜;나민균;장현욱
    • 약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5-300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utanol fraction of Asterias amurensis (BFA) on the anti-allergic activity. BFA inhibited both cyclooxygenase-2 dependent prostaglandin $D_2$ and 5-lipoxygenase dependent leukotriene $C_4$ gen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174.6 and 22.2 ${\mu}g$/ml, respectively. In addition, BFA also inhibited the degranul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BFA inhibited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i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FA may be useful in regulating mast cell-mediated allergic diseases.

통영해역에 서식하는 아므르불가사리의 분포 특성과 서식처에 따른 먹이 선호도 비교 (Distribution Pattern and Feeding Preference of Asterias amurensis (Echinodermata: Asteriidae) in Tongyeong, Korea)

  • 백상규;박흥식;윤성규;이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9-477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stributional patterns of Asterias amurensis in Tongyeong,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The density of the sea star was estimated at 10 chosen sites in the inner and the outer parts of the Tongyeong coast from December 2000. The mean density of the species in this area was $2.4ind./m^{2}$. The seasonal surveys conducted at 3 arbitrary chosen sites (i.e., sea cage, reef and soft sediment) also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the species at the sea cage site $(density:\;3.6\;ind./m^{2};\;biomass:\;250.7\;gwwt/m^{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the reef site $(density:\;1.7\;ind./m^{2};\;biomass:\;63.5\;gwwt/m^{2})$ and the soft sediment site $(density:\;0.4\;ind./m^{2};\;biomass:\;18.9\;gwwt/m^{2})$. Densities were higher at sea cages areas than at reefs and soft bottom sites. At sea cage site, A. amurensis population exhibited a strong aggregated distributional pattern. In contrast, at reef and soft bottom sites, A. amurensis population showed a random distributional pattern. The spatial difference in prey species and its abundance was the primary factor determin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ea star in its behavior characteristics. Experiments on the feeding preference indicated that A. amurensis had a strong selectivity on its prey, but this selectivity varied between populations living in different sites. In particular, A. amurensis populations at the reef site showed a strong selectivity on various sessile and mobile animals living in reef areas, suggesting that these animal groups may play a role as "windows for the survival of A. amuren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of A. amurensis in Tongyeo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abundance of prey species and the bottom composition.

유용 양식패류에 대한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와 벨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의 수온별 포식 특성 (Predation of Asterias amurensis and Asterina pectinifera on Valuable Bivalves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

  • 강경호;김재민;오승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17-20
    • /
    • 2000
  • 유용 양식패류에 대한 아무르불가사리와 별불가사리의 수온별 포식특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각 수온별 불가사리의 활력 측정시간은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222.0$\pm$5.57초였고, 14$^{\circ}C$에서 64.3$\pm$5.51초로 회복시간이 가장 빨랐으며, 22$^{\circ}C$에서 214.7$\pm$6.11초, 26$^{\circ}C$에서는 418.7$\pm$7.09초로 고수온에서는 급격하게 활력이 떨어졌다. 그러나 별불가사리 경우는 22$^{\circ}C$에서 62.3$\pm$8.33초로 회복시간이 가장 짧아 활력이 가장 왕성하였고, 26$^{\circ}C$에서도 97.7$\pm$7.37초로 비교적 고수온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별 불가사리의 포식률 실험 결과, 수온구간별로 10일간 불가사리 1마리당 포식한 피조개의 마리수는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2.2$\pm$0.73마리, 1$0^{\circ}C$ 3.6$\pm$0.42마리, 14$^{\circ}C$ 7.2$\pm$1.32마리, 18$^{\circ}C$ 5.2$\pm$1.84마리, 22$\pm$ 3.4$\pm$0.44마리 그리고, 26$^{\circ}C$에서는 0.8$\pm$0.12마리 였다. 한편 별불가사리의 경우 6$^{\circ}C$에서 1.6$\pm$0.22마리, 1$0^{\circ}C$ 2.0$\pm$0.48마리, 14$^{\circ}C$ 2.5$\pm$0.84마리, 18$^{\circ}C$ 3.0$\pm$ 0.84마리, 22$^{\circ}C$ 6.8$\pm$1.53마리 그리고, 26$^{\circ}C$에서는 3.9$\pm$0.84마리로 비교적 고수온에 강한 적응력을 보였다. 유용 양식패류 3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먹이선택성 실험결과, 아무르불가사리의 경우, 피조개를 49.0$\pm$2.61%, 바지락 29.0$\pm$3.84% 그리고, 고막은 22.3$\pm$3.21% 포식하였고, 별불가사리의 경우 피조개를 46.5$\pm$6.62% 포식한 반면, 바지락과 고막 모두 26.5$\pm$2.45% 포식함으로써 두 종 모두 피조개에 대한 포식률이 가장 좋았다.

  • PDF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정자를 이용한 생물검정의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s for the Bioassay Using Sperms of a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Chang-Hoon Lee;Jin-Woo Cho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8권2호
    • /
    • pp.77-87
    • /
    • 2003
  • 성게의 정자를 이용한 생물검정은 해양환경의 독성평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산 성게류의 경우 산란기가 3~11월로 겨울에는 생물검정 실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겨울에 산란이 가능한 아무르불가사리(Arterias amurensis)를 생물검정용으로 개발하였다. 불가사리류의 생식과 발생과정은 성게류와 유사하므로 성게류를 이용한 실험 방법을 아무르불가사리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검정 실험 결과의 유효성은 실험조건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들 즉. 수정막의 발달 시간, 정자와 알의 비율, 정자의 활력이 유지되는 시간, 정자의 노출 시간, 그리고 시료의 염분 범위 등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수정막의 발달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최소 시간은 60분이었고, 시료에 주입할 정자와 알의 비율은 3,000이상일 때 수정률이 높게 유지되었다(70%이상). 정자의 활력은 해수에 희석한 후 3시간 이상이 경과하면 급격히 감소하였다. 정자의 노출시간은 20~60분의 범위에서 구리에 대한 $EC_{50}$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변동계수: 17%).실험에 적절한 시료의 염분 범위는 26~38 psu이었다. 아무르불가사리 정자의 민감도는, 일반적으로 해양환경 평가에 흔히 사용되는 생물들의 민감도 범위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아무르불가사리의 정자는 해양환경 평가를 위한 생물검정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Starfish smooth muscle relaxing activity of SALMFamide isotype peptide and its analog derived from starfish, Asterias rubens

  • Anastasia Kubarova;Hye-Jin Go;Hye Young Oh;Nam Gyu Par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11호
    • /
    • pp.572-578
    • /
    • 2022
  • An organism's physiological processes and behaviors are regulated by neuropeptides and hormone peptides. The first neuropeptide identified from echinoderms is SALMFamide. The two most well-studied SALMFamide neuropeptides are S1 and S2, which possess myoactivity on apical muscle, tube feet, and the cardiac stomach of starfishes. However, neuropeptide candidates identified from SALMFamide's precursor protein sequence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bioactivity of SALMFamide neuropeptides from the starfish Asterias rubens using various starfish muscle preparations. In this study, the bioactivity of the L-type SALMFamide neuropeptides from the starfish A. rubens, AYHTGLPFamide (SALMFa-A) and the derivative AYHSALMFamide (SALMFa-B) was investigated. The neuropeptides were applied on Asterias amurensis apical muscle, tube feet, which revealed that the neuropeptides exhibit relaxing activity on apical muscle but no activity on tube feet. The native SALMFa-A peptide had lower relaxing activity on the apical muscle compared to the derivative peptide SALMFa-B. The relaxing activity of two neuropeptides also was compared with those on the apical muscle of Patiria pectinifera, which revealed relaxing activity as well as SALMFamide-S1 and S2 neuropeptides. Moreover, the investigation of SALMFa-A and SALMFa-B peptides' bioactivity on P. pectinifera cardiac stomach muscle also showed slight relaxing activity.

16S rDNA염기서열에 의한 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장내에서 분리된 종속영양세균 군집의 다양성 (The Diversity of Hete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Intestine of Starfish(Asterias amurensis) by Analysis of 16S rDNA Sequence)

  • 최강국;이오형;이건형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07-312
    • /
    • 2003
  • 본 연구는 2000년 7월에 전남 장흥군에서 채집한 불가사리의 장내에 존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다양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불가사리 장내에 존재하는 균체수를 측정하였으며, 순수 분리된 균주를 대상으로 16S rDNA 증폭기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불가사리 장내에 분포하는 종속영양세균의 균체수는 8.65${\pm}$0.65${\times}10^3\;dfu\;g^{-1}$이었다. 29 균주의 세균이 순수 분리되었으며, 그 중 그람양성 세균은 분리된 균주의 59% (17균주)를 차지하였다. 불가사리 장내에서 분리된 균주는 Bacillus속, Microbacterium 속, 그리고 Marinobacter 속 등이 우점이었으며, 이외에도 Staphylococcus 속, Psychrobacter 속, Paracoccus 속, Erythrobacter 속, Zoogloea 속, Kocuria 속과 Arthrobacter 속 등이 포함되었다. 분리된 균주 가운데 Bacillus 속에 속하는 8균주 중 3균주는 type strain과 97% 이상의 유사도를 보인 반면, 5 균주는 유사도가 90%로 비교적 낮은 유사도를 보여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신종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아무르불가사리, Asterias amurensi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North Pacific Seastar, Asterias amurensis(Echinodermata: Asteroidea))

  • 김현주;유명숙;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33-39
    • /
    • 2006
  • 아무므불가사리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2003년 1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경상남도 고성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생식소 숙도지수 (GSI)의 월별변화, 생식소 발달과정 및 생식소 발달 단계별 난경 변화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암컷과 수컷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암컷은 $3.88{\pm}3.04$, 수컷은 $0.87{\pm}0.57$의 값으로 3월에 연중 최대값을 가지다가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GSI의 월별 변화와 생식소 발달의 조직학적 관찰을 근거로 생식 주기는 회복기($6{\sim}9$월), 성장기($10{\sim}1$월), 성숙기($2{\sim}3$월), 방출기($3{\sim}4$월), 퇴화 및 흡수기($4{\sim}5$월)의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되었다. 아무르불가사리의 난발달 양상은 동시발달형이고 년 1회 산란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아무르불가사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 고혜진;조미정;김태영;홍용기;김군도;이병우;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1-497
    • /
    • 2014
  •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의 6가지의 조직 추출물들을 사용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활성 및 평활근에 대한 수축과 이완반응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였다. 1% (v/v) 초산용액을 사용하여 동결 건조한 샘플들을 추출하여 각각의 활성측정에 사용한 결과, 껍질을 제외한 모든 조직 추출물들은 E. coli D31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근육 및 장관 추출물들은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의 DRM에 대해 수축반응을 나타냈다. 한편,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식도에 대한 수축반응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조직 추출물들에서 검출되었다. 특히, 간 추출물의 수축활성은 다른 조직의 추출물의 활성에 비해 더 높았다. 뿐만 아니라 간, 근육 및 소화관 추출물은 졸복(Takifugu pardalis)의 장관에 대해서 수축반응을 나타냈다. 별불가사리의 DRM에 대한 이완반응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조직 추출물들에서 활성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은 장관, 간 및 껍질의 추출물들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무르불가사리는 새로운 생체기능 조절물질의 발견에 대한 가능성을 지닌 자원이라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들은 제시한다.

Immune Enhancement Effect of Asterias amurensis Fatty Acids through NF-κB and MAPK Pathways on RAW 264.7 Cells

  • Monmai, Chaiwat;Go, Seok Hyeon;Shin, Il-shik;You, SangGuan;Lee, Hyungjae;Kang, SeokBeom;Park, Woo 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349-356
    • /
    • 2018
  • Asterias amurensis is a marine organism that causes damage to the fishing industry worldwide; however, it has been considered a promising source of functional componen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une-enhancing effects of fatty acids from three organs of A. amurensis on murine macrophages (RAW 264.7 cells). A. amurensis fatty acids boosted production of immune-associated fac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in RAW 264.7 cells. A. amurensis fatty acids also enhanced the expression of critical immune-associated genes, including iNOS, $TNF-{\alpha}$, $IL-1{\beta}$, and IL-6, as well as COX-2.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A. amurensis fatty acids stimulated the $NF-{\kappa}B$ and MAPK pathways by phosphorylation of $NF-{\kappa}B$ p-65, p38, ERK1/2, and JNK. A. amurensis fatty acids from different tissues resulted in different levels of $NF-{\kappa}B$ and MAPK phosphorylation in RAW 264.7 cells. The results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how A. amurensis fatty acids boost immunity in a physiological system, as a potential functional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