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ociation of Image & Film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Time within Film Narrative -Focusing on -)

  • 이지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25-133
    • /
    • 2007
  • 현대에 등장한 영화들은 발전된 기술력으로 인해 스펙터클한 화면을 관객에게 선사하는 한편, 들뢰즈에 의해 이른바 '현대 영화'라고 불린 영화들은 고전적 내러티브에서 형식의 한 측면으로 여겨져 다소 소외되어 왔던 '시간'에 관한 통찰과 비틀기를 통해 다양한 영화적 경험과 사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애초에 사유의 결과물로 시도된 영화 속 시간성의 표현은 이후 끊임없는 자가복제를 거쳐 상투적으로 변모한지 오래다. '첫사랑의 기억'이라는 모티브를 가진 멜로영화 <사랑니>에서의 시간성 표현은 기존 영화들과 비교했을 때 독보적인 지점이 발견된다. 관습적인 시간성 표현의 원칙들을 답습하는 대신 혼란스런 시간 배열 속으로 관객을 인도한 후 결국 스토리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킨다. 본고는 <사랑니>의 시간성 표현이 영화의 내러티브에 어떻게 작용하며 결과적으로 그러한 형식이 스토리를 전달하는 데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중국과 서양 영화의 색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and Western Film Colors)

  • 우시아오훼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1-138
    • /
    • 2019
  • 영화는 흑백영화부터 컬러영화로 접어들면서 스크린영상이 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영화 속의 색채는 물상의 객관적인 모습을 원한재현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주관적인 감정을 전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색채 외에는 표현할 수 없는 예술적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고 스토리 자체가 전달하지 못하는 컨텐츠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화색채는 영화언어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었다. 영화 속에 색채는 단화면색채, 신색채, 영화전체의 색채기조 및 줄거리에 따라 만드는 여러 가지 색채체인으로 스크린에서 나타났다. 영화예술 수법은 몽타주조법을 사용해서 화면 속에 색채도 몽타주형식이 형성되며 이것이 색채몽타주라고 부른다. 대중들이 색채에 주관적인 평가가 색채언어에 대한 받아들인 수준은 각 부분적인 색조사이에 상호작용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색채의 독특한 속성은 색채가 구조상태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결정하였다. 그래야 색채의 고유한 매력을 표현할 수 있다. 영화색채가 이런 '색채구조'의 층면에 들어가야 진정한 신미가치를 가질 수 있다. 본문은 동서양감독들의 색채사유와 동서양 영화색채에 담고 있는 문화의 차이 두 가지 측면을 통해 동서양영화 색채에 대해 비교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서양감독들은 색채의 구조성을 강조하여 색조몽타주방식으로 인물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하며 주관적 색채를 부여하는 특징을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중국영화의 경우는 제5대 감독으로부터 영화색채언어의 새로운 장이 열리기 시작한다. 감정과 경치가 서로 융화하다가 '의상합일'의 영화 특징을 알렸다.

20세기 전반 동.서양의 시대색에 관한 비교 연구 -시대 복식과 현대 영화 의상에서의 재현비교를 통해- (The Study of Color Images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ulture -A Comparison between Early 20th Century Clothes and the Reinterpretation in Modern Film Costumes-)

  • 윤지영;노주현
    • 복식
    • /
    • 제56권4호
    • /
    • pp.108-123
    • /
    • 2006
  • This Study is about the color images oi clothe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nd the recreation of this color images through modern costume design in fil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early 20th century color has born reinterpreted through present film costumes and how different cultural perspectives can influence color image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30 pictures of clothing, representative of the early 20th century, as well as films which have been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 their costume design and strong cultural identity('Farewell M) 'Concubine', 'Raise the Red Lantern', 'Chicago' and 'The English Patient') were chosen and analyzed. The color image of these photographs and scenes from the movies were divided by Pantone Solid Chips and categorized by color groups such as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neutral and metallic.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lor ima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ed that the red group was used a lot in both cultures and the orange group was more often used in the West. In regards to the yellow group, goldish yellow were commonly used in the West but pale yellow was preferred in the East. The green group more used In the West but the blue group appears more in the Eas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combination, texture and technique which demonstrates different cultural color recognition and association. In the case of film color image, present color image was added to past color image. In the West, color was used as a tool for visualizing the state of characters' mind and the mood of movies' story but in the East color image was intended to make the character stand out by changing the value and chroma. By comparing the color image of clothe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and color image from film in the West and the Eas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ultural symbolic image of color. This study is one of first trials to analyze the cultural differences in rotor images and their symbolic meaning. Thus, further studies should persu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rotor image in terms of specific quantity and quality.

실험영화의 구조적 특성 -미국의 구조영화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Experimental Film -focused on American Structure film-)

  • 장민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6-65
    • /
    • 2014
  • 실험영화작가들은 필연적으로 영화가 가진 물리적인 속성과 한계 그리고 영화만의 단독적인 요소들을 자신들의 영화창작의 핵심으로 간주하였다. 관습적인 영화 규범을 거부하는 태도는 영화의 작동원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통해서도 강화되었다. 실험영화작가들은 영화의 메커니즘이 어떤 방식으로 영화의 최종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실험영화에서는 극영화의 내러티브에 상응하는 '특정한 전개 구조'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현재의 시점에서 이미지의 흐름에 주목하였다.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 내는 이미지의 연쇄 개념은 다양한 영화적 실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미국의 구조영화작가들은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을 변형시킴으로써 관습적인 극영화와는 다른 영화의 의미와 정서를 전달하는 방법들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서 관습적인 내러티브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새로운 영화전개방식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러한 구조영화의 전통은 실험영화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디지털 영화제작 환경으로 변모하고 있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용한 접근방식이다.

필름배지선량계에 의한 개인피폭선량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 Exposure Dose by Film Badge Dosimeter)

  • 정운관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37-50
    • /
    • 1994
  • X-선과 감마선의 에너지에 따른 선질특성과 선량 및 필름의 사진농도와의 관계를 이용한 필름배지선량계의 선량환산식을 실험적으로 체계화 하였고, 시간경과에 따른 잠상퇴행 특성과 방사선의 입사방향에 따른 방향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보정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선량환산식은 필름배지선량계의 기술기준인 성능판정 기준을 잘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과 영향요인 (Youth Film Festival : its Evolution History and Influence)

  • 오세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과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영화제는 어느 날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다. 이미 1980년대부터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며, 1997년부터 2001년에 이르는 시기 동안 주요 청소년영화제들이 개최되어 영화제의 기틀을 잡게 되었다. 이후 발전을 거듭하던 청소년영화제는 2008년에 이르러 온라인 상영을 실시하는 등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HD캠코더와 스마트폰의 등장 등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영상산업과 문화적 흐름에 호응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영화제의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 사회적 요인으로 시민단체의 성장, 영상기술의 발전과 대중화, IMF 구제금융시대 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문화 교육적 요인으로는 영상문화의 융성, 대학입시와 수상실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영향 속에서 청소년영화제는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한국 사회의 여러 단면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의 디지털 이미지 전환 (Digital imaging of film-based cephalograms using a digital camera)

  • 왕성진;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48-457
    • /
    • 2004
  •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필수적인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로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경우 초점거리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는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계측치의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크기와 압축비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질에 의해서도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시 가장 중요한 과정인 계측점식별에 있어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시 최소한의 왜곡을 보이는 초점거리를 결정하고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보이는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초점거리 16.4mm (35mm 필름 카메라로 환산시 79.4mm)에서 최소한의 상의 왜곡을 보였다. 초점거리가 16.4mm보다 짧은 광각(wide) 촬영시 상의 원통형 왜곡(barrel distortion)이 발생했고 16.4mm 보다 긴 망원(tele) 촬영시 상의 실패형 왜곡(pincushion distortion)이 발생했다.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직접 손으로 tracing한 필름 이미지 셋팅 수준의 정확한 계측점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디지털 카메라 셋팅은 $2272{\times}1704 pixel\;normal(1/8)$ compression 이었다. 따라서 COOLPIX4500 디지털 카메라(Nikon, Japan)를 이용하여 기존의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하는 경우 초점거리 16.4mm에서 최소한 $2272{\times}1704$ 픽셀 (pixel) 이미지 사이즈와 normal(1/8) 압축비의 셋팅을 설정하여야 한다.

The Character Design at the Age of Simulation

  • Gong, Nian;Lee, donghun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5-426
    • /
    • 2015
  • With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imation is no longer about simply describing the nature. People's imagination is elevated to new stage, which not only improve the image in the reality, but also create the absent image in the reality. To analyze according to the existence, these characters have two basic elements. The one is the character existing in the reality, we process and design it according to the artistic technique, so as to make it service for the plot and film (hereafter called documentary character). The other is the character not existing in the reality (hereafter called conceptual character), which is called simulation image by Baudrillard.

  • PDF

SF영화 <디스트릭트 9>의 리얼리즘 분석 연구 -디지털 이미지, 스타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alism in the SF Film, DISTRICT 9 -Focus on Digital Image, Style and Narrative-)

  • 이현승;윤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41-551
    • /
    • 2016
  • 영화는 '리얼'함을 추구하기 위해 테크놀러지와 더불어 스타일, 내러티브 등을 발전시켜왔다. 더욱 더 리얼해지기 위한 디지털 이미지의 투영은 '영화-현실'의 필름적 지표관계를 넘어선 다른 관점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영화 <디스트릭트 9>은 SF영화지만 리얼리즘적 요소가 강한 영화이다. 영화의 디지털 이미지는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상상의 영역을 생생하게 재현하여 사실성을 확보한다. 영화의 스타일과 내러티브 고유의 리얼리즘 전략은 디지털 이미지와 조우하여 영화적 공간이 가진 사회적 맥락을 강조하고 핍진성과 지각적 리얼리즘의 가능성을 확대시킨다. 영화 <디스트릭트 9>의 다큐멘터리 스타일이 가진 편집의 자유는 방대한 영화의 정보를 효율적인 내러티브로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었고 동시에 현실이 가진 다양성까지 포섭하여 영화의 리얼리즘에 기여한다.

디지털 극영화 화면분할(Split Screen)의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적 특성에 대하여 (The Characteristics of Spectacularity and Narrative in Digital Fiction Film Split Screen)

  • 장미화;문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93-200
    • /
    • 2017
  •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더 혁신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면서 디지털 극영화는 아날로그 극영화와는 다른 고유한 특징을 띠게 되었다. 아날로그 영화의 화면분할은 한편으로 내러티브 차원에서 극적 전개를 효율적으로 도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관객의 심리를 조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디지털 극영화에서 화면분할은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한 합성 이미지들과 정교화된 디지털 편집으로 새로운 시각적 혁신들을 선보이게 된다. 그런 맥락에서 이안의 디지털 영화 <헐크>는 주목할 만하다. <헐크>의 화면분할과 실험실 장면에서의 빠른 쇼트 이동의 구성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한 디지털적 방식으로 과거의 특수효과들을 재매개하는 것이다. 디지털 영화에서 특수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내러티브 공간은 아날로그 영화의 공간들과 확실히 다른 공간들을 만든다. 이는 디지털 내러티브의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