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Device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인 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및 맞춤제작 적용을 통한 보조기구 서비스 지원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rvice Delivery from Rental, Modification and Customized the Application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근민;이진현;김동옥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25-132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특성, 환경, 활동 영역 및 보조기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공적급여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정부주도의 장애인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맞춤제작을 통한 보조공학 전달체계 서비스의 주요한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사례 연구로 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절차 하에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보조기구 무상교부의 절차와 다른 보다 전문적인 상담, 평가 및 회의 등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후 그들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는 상용화된 보조기구를 지원하기 전에 전문기관의 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대여하여 사용하게 한 후 대상자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지원되게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한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그 결과 장애에 적합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보조기구의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활동범위는 증가하였고, 신체적 피로 및 보호자의 의존도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제한적이어서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전문기관의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해 더욱 다양한 사례의 수집으로 그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대상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에 대한 인식과 활용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ists for Assistive Technology)

  • 정동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2호
    • /
    • pp.77-84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Korean physical therapists for assistive technolog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8 physical therapists who worked in various institutions in Seoul, Kyonggi-do, and Choongchung area.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using a related article. Simpl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respondent characteristics, and for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Results: The physical therapists reported having a less-than-average level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r assistive technology. They were cognizant that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were used mainly for specific outcome such as mobility, seating and position, and ADL. Conclusion: Our findings indicate that physical therapists need more opportunities for training in assistive technology. For effective clinical applications of assistive technology, there should be continuous support, such as college education, continued education, and related seminars.

국내 뇌성마비 환자에서의 장애인보조기구 지원현황 (Current Situation of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Provision for Persons with Cerebral Palsy in Korea)

  • 김성우;전하라;신지철;차준민;육태미;김지용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0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provision system for cerebral palsy patients registered with brain disability. Methods: From 2003 to 2013, we analyzed the records of cerebral palsy patients who had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provisioned at least once in their lives based o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fants and toddlers, school age and adolescence, and adults. Results: Data on short leg plastic orthoses, ankle joint orthoses, and wheelchair were mainly analyzed. The types of ankle joint orthose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imited, $90^{\circ}$ limited, and Klenzac. Limited ankle joint orthoses was most frequently supported of the three in all age groups. Powered wheelchair and scooter were most supported to adult patients. When the re-supply duration was evaluated, the duration was suitable to the duration on guideline of regulation of re-supple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laws in adult patients but not in infants/toddlers and school age/adolescence as the actual re-supplement duration was much shorter than the reference valu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attern of assistive devices and appliances supply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of cerebral palsy patients.

2018년도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활용도 조사 (A Survey on Awareness and Availability on Items of 2018 Assistive Devices Distribu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 김정은;박제민;배수영;정남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95
    • /
    • 2018
  • 목적 : 보건복지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품목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도와 활용도를 조사하고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8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부산 경남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보조기기 인식도, 보조기기 활용도, 보조기기 인식도 및 활용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구성되었고, 총 68문항이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 중 96.2%가 보조기기는 장애인의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고, 도움이 되는 일상생활영역에 대해서는 운동성과 이동하기 영역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사용 영역이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인식도에서는 기울어진 숟가락과 두꺼운 손잡이와 식사 보조기기가 가장 높은 반면, 시각 신호표시기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품목별 활용도에서는 욕창 예방용 방석 및 커버가 가장 높았고 시각 신호표시기와 음성유도장치가 가장 낮았다. 보조기기 활용빈도에 관한 질문에는 '가끔 한다'가 67.4%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응답한 치료사가 77.3%로 가장 많았다. 보조기기 활용도 향상을 위해서는 43.2%가 기관의 재정적 지원, 32.6%가 보험수가 도입, 22.7%가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조기기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32.6%와 65.2%가 각각 '매우 필요하다.',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고, 교육유형으로는 38.9%가 전문 영역별 종사자 교육, 27.1%가 재활보조공학 관련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추후 재활보조공학에 관한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의 스마트 기기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mart Device of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홍경순;민홍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3-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정보화시대에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기기의 접근성 준수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 운영체제(IOS, Android, Windows)기반의 스마트 기기의 시각, 청각, 지체장애인 접근성 제공 현황을 조사하고 비교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장애인의 스마트 기기의 접근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어깨 근력보조를 위한 엑소수트 설계 (Design of Exo-Suit for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 전광우;김태환;김승우;김정준;정현준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0-116
    • /
    • 2023
  • In this study describes the design of Exo-suit to assist those who work in unstructured posi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various types of work, especially those performed in unstructured postures by heavy industry workers. Based on the motion capture analysis results,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a shoulder muscle-assistive Exo-suit capable of assisting a wearer who is working using shoulder muscles. In the present study, as the first step of developing a shoulder muscle-assistive Exo-suit, different working scenarios were simulated, and the corresponding motion data were estimated using motion capture devices. The obtained motion data were reflected in the design of the Exo-suit. The main structure of the shoulder muscle-assistive Exo-suit was made of a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 to obtain the weight reduction. The shoulder muscle assistive Exo-suit was designed to fully cover the range of motion for workers working in unstructured postures.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 이진현;최미나;임성빈;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1-86
    • /
    • 2010
  • 본 논문은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 설계 제작 적용 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장애인 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의 2010년 일상생활영역의 맞춤 서비스 사례 중 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1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 A는 47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양하지의 근력과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바닥에서만 생활하며 스스로 변기에 올라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대상자 A에게 이동식 좌변기와 맞춤 경사로를 설계 제작하여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경사로를 올라가서 이동식 좌변기에 스스로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B는 8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손 기능이 저하되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었다.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식사보조도구들을 1차 적용하였으나 대상자에게 적합하지 않아 대상자 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손 크기를 고려하여 맞춤으로 식사보조도구를 설계 제작하였고, 작업치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향후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A와 대상자 B는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의 적용이나 개조가 접근할 수 없는 사례였음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설계 제작되어 적용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맞춤형 보조도구의 설계 제작 서비스의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두개골 측방향 X-선 촬영에서 정확도 향상을 위한 촬영 보조 기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of Assertive Devices to Improve the Accuracy in Skull lateral X-ray Projection)

  • 장보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3-159
    • /
    • 2024
  • 일반 X-선 촬영에서 경험이 없는 비숙련자의 경우, 검사 실패의 경험을 통해 숙련되는 과정을 겪는다. 이것은 불필요한 의료 피폭 가중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치 전 비숙련 방사선사가 임상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시각적, 공간적 보조 장치를 이용한 두개골 측방향 촬영 실습을 통해, 촬영 보조장치 사용에 따른 정확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육안적 관찰과 학습에 의존해서 촬영한 경우 영상 왜곡을 나타내는 회전 이격도 7.85 ± 1.45 mm, 기울임 이격도 4.84 ± 0.5 mm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 이격도 4.4 ± 0.76 mm, 기울임 이격도 3.01 ± 0.87mm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회전과 기울임 이격도는 5.2 ± 0.69 mm, 3.33 ± 0.61 mm로 나타났다. 배치 후 작업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험적 촬영 실습에 의한 영상 왜곡은 5.4% 감소하였으나, 기울임에 의한 영상 왜곡은 1.2% 증가하였다. 시각적 보조 장치를 이용해서 실습한 경우, 경험적 촬영 실습보다 회전이격도 40.1% 기울임 이격도 30.7% 감소하였다. 공간적 보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경험적 실습 방식보다 회전 이격도 41.7%, 기울임 이격도 23.7%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숙련 방사선사의 배치 전 시각적, 공간적 촬영 보조 기구를 이용한 실습은 배치 후 검사 정확도 향상과 재촬영률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수준 및 자신감 (A Study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diatric Therapists)

  • 김경아;정동훈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ssistive technology (AT) for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PTs)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PO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T in clinic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therapists (98 PPTs and 69 POTs) who work at general hospitals, welfare center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were us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both PPTs and POTs recognize that AT benefits infa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show low confidence in using AT. Applications of AT are concentrated on wheelchairs for mobility and assistance with seating position, with orthotics/prosthetics for both purposes. POTs were found to use a wider variety of AT devices. While both PPTs and POTs frequently select/recommend devices, both groups are less involved with delivery methods, manufacture of devices, and education on AT use.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e actual conditions of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T of PPTs and POTs deeply involved with AT, and emphasize that AT training is essential for pediatric treatment by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도시 빈곤 노인의 낙상발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Fall Risk in Low-Income Elderly People in One Urban Area)

  • 최경원;이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9-59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crease of the risk for falls in low-income elders in urban area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lderly people registered in one of public health centers in one city.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 elders, assessing their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surveying relevant secondary data from the public health center record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4. Results: Stroke, diabetes, visual deficits, frequency of dizziness, use of assistive devices and moderate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The co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with other factors including depression, visual deficit, dizziness, and use of assistive devic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falls. From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falls were found to be stroke, total environmental risk scores, comorbiditiy of diabetes with visual deficits, and with depression. Conclusion: Fall prevention interventions should be multifactorial, especially for the elders with stroke or diabetes, who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s the high risk group for falls. A fall risk assessment tool for low-income elders should include both the intrinsic factors like depression, dizziness, and use of assistive devices, and the extrinsic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