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6초

Predictors of twin pregnancy in in vitro fertilization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cycles with day 3 double embryo transfer

  • Duy Le Nguyen;Hieu Le-Trung Hoang;Vu Ngoc-Anh Ho;Toan Duong Pham;Nam Thanh Nguyen;Van Thi-Thu Tran;Tuong Manh Ho;Lan Ngoc Vu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1호
    • /
    • pp.69-74
    • /
    • 202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win pregnancy following day 3 double embryo transfer (DET).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orporated data from 16,972 day 3 DET cycles. The participants were women aged between 18 and 45 years who underwent in vitro fertilization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VF/ICSI) at My Duc Assisted Reproduction Technique Unit (IVFMD), My Duc Hospital, located in Ho Chi Minh City, Vietnam. Results: Of the 16,972 day 3 DET cycles investigated, 8,812 (51.9%) resulted in pregnancy. Of these, 6,108 cycles led to clinical pregnancy, with 1,543 (25.3% of clinical pregnancies) being twin pregnancies. Factors associated with twin pregnancy included age under 35 years (odds ratio [OR], 1.5; 95% confidence interval [CI], 1.32 to 1.71; p<0.001) and cycles involving the transfer of at least one grade I embryo. Relative to the transfer of two grade III embryos, the risk of twin pregnancy was significantly elevated following the transfer of two grade I embryos (OR, 1.40; 95% CI, 1.16 to 1.69; p<0.001) or a combination of one grade I and one grade II embryo (OR, 1.27; 95% CI, 1.05 to 1.55; p=0.001). Conclusion: By analyzing a large number of IVF/ICSI cycles, we identified several predictors of twin pregnancy. These findings can assist medical professionals in tailoring treatment strategies for couples with infertility.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보조부화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Efficacy of Assisted Hatching by Laser in Human IVF-ET Program)

  • 이정현;한지은;김유신;원형재;조정현;곽인평;엄진희;박은아;최윤정;이동률;윤태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3호
    • /
    • pp.193-202
    • /
    • 2008
  • 목 적: 보조부화술이 적용되는 좋지 않은 예후를 보여주는 선별된 환자군을 대상으로 산성 용액을 이용한 AHA 방법과 레이저를 이용한 AHL 방법의 효용성을 비교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임신율과 착상률을 높일 수 있는 보조부화술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 2월부터 9월까지 체외수정 시술을 시행한 환자 중 보조부화술이 필요한 328주기를 대상으로 산성용액을 이용한 AHA 방법 (180주기)과 ZILOS-tk 레이저를 이용한 AHL 방법 (148주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환자의 나이가 38세 이상이거나 투명대의 두께가 $18{\mu}m$ 이상, 기저 FSH 농도가 15 mIU/ml이상, 체외수정 시술을 3번 이상 실패한 환자, 이식하는 배아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환자들로 이상에 적용요인이 있으면 시행하여 무작위로 보조부화술 방법간에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임신율과 착상률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보조부화술을 시행한 환자군에 AHL 방법과 AHA 방법간에 임신율 (42.6%, 63/148 vs. 33.3%, 60/180)과 착상률 (17.4%, 82/470 vs. 16.0%, 89/556)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나이가 많은 환자군인 Group 1은 임신율 (37.0%, 20/54 vs. 18.7%, 14/75)과 착상률 (14.4%, 23/160 vs. 7.1%, 15/210)이 AHL 방법이 AHA 방법보다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환자군이나 선별된 각 군내에 보조부화술 방법간에 환자의 임상적 특징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번 이상 체외시술에 실패한 환자군 [Group 2: 43.8% (21/48)과 31.6% (25/79)], 투명대의 두께가 $18{\mu}m$ 이상인 환자군 [Group 3: 43.8% (32/73)과 34.1% (28/82)], 이식한 배아의 질이 양호하지 않은 환자군[Group 4: 25.0% (7/28)과 14.6% (6/41)]에서는 AHL 방법이 임상결과는 좋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레이저를 이용한 AHL 방법이 나이가 많은 환자군과 3번 이상 체외수정 시술에 실패한 환자군에서 AHA방법에 비해 높은 임신율과 착상률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HL을 이용한 보조부화술이 임상적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Single Gene Disorders)

  • 이형송;김민지;강인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31-145
    • /
    • 2009
  • 착상전 유전진단은 유전질환이 이환될 가능성이 있는 부부들을 대상으로 산전진단을 통한 임신중절의 위험성 없이 정상적인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생식술의 한 방법으로 확립되었다. 단일 할구를 대상으로 하는 분자생물학 및 분자생물학적 기술의 발전은 착상전 유전진단의 정확성을 높은 수준에 이르게 하였고 whole genome amplification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단일세포로부터 여러 가지 다양한 진단을 동시에 수행 가능케 하였으며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에서의 오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PCR을 이용한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의 적용가능 유전질환은 더욱 확대될 것이며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원하는 더 많은 부부들에게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본 종설에서는 현재 단일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는 대부분의 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생검 방법과 multiplex PCR, PCR 후 진단 방법, 그리고 multiple displacement amplification 등의 분자생물학적 방법과 단일 세포 분석에서의 문제점 등을 포함한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전반에 관하여 논의할 것이다.

  • PDF

한국인 남성 불임환자에서 Y염색체내 미세결실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Microdeletions in Y Chromosome from Korean Male Infertility Patients)

  • 윤현수;이정현;서주태;김해정;이동률;전종식;조정현;김문규;이무상;노성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367-377
    • /
    • 1996
  • Genes on the long arm of Y chromosome, particularly interval 6, are believed to playa critical role in human spermatogene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sequenced-tagged site(STS)-mapping strategy for the detection of Yq microdeletion and to use this metho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men with Yq microdeletions in idiopathic, obstructive, nonobstructive azoospermia, severe OATS and in normal males. We analyzed three STS markers mapped to interval 6 within long arm of the Y chromosome from 106 nonobstructive, 30 obstructive azoospermia, 15 severe OATS patients, and normal 42 males in Korean men. By PCR, we tested leukocyte DNA, for the presences of STS markers(DAZ, sY129 and sY134) and SRY gene as internal control. And PCR results were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and were investigated by SSCP analysis for DAZ gene mutation. None of 42 normal males and 30 obstructive azoospermia had microdeletions, Of the 15 severe OATS typed with DAZ, sY129 and sY134, 3(20.0%) patients failed to amplify 1 or more STS markers, and of the 106 nonobstructive azoospermia typed with DAZ, sY129 and sY134, 12(11.3%) patients failed to amplify 1 or more STS markers. From these results, high prevalence(12.4%) of Yq deletion(DAZ, sY129, sY134) in men with nonobstructive idopathic azoospermia and severe OATS were observed in Korean infertility patients. To avoid the infertile offspring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 using ICSI or ROSI, genetic diagnosis will be needed in IVF-ET program.

  • PDF

한국어판 난임 낙인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Infertility Stigma Scale (K-ISS))

  • 김미옥;반민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82-59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translate the Infertility Stigma Scale (ISS) into Korean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Korean contex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women who underwent in vitro fertilization (IVF).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and AMOS 22.0.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using the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I-CVI) and 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averaging (S-CVI/Ave).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20 women who had experienced IVF at least once to check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tool and the time requir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us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Additionally, hypothesis-testing construct validity were tested. Cronbach's α was used to assess the reliability. Results: The Korean-ISS (K-ISS) consists of 25 items, excluding two items from the original ISS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four factors, which explained 75.6% of the total variance. The four distinct factors were infertility stigma with self-devaluation (56.8%), public stigma (8.1%), social withdrawal (6.5%), and family stigma (4.2%).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25 items in the four-factor structure were validated (χ2 /df ≤ 3, RMSEA ≤ 10). The hypothesis-testing construct validity of K-ISS against FPI (r = .58~.71, p < .001) and FQI (r = - .49~- .65, p < .001) was tested and found to be significan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K-ISS, assessed using Cronbach's α, was .97. Conclusion: The K-ISS has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it can help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stigma by measuring the stigma associated with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무력정자증 환자에서 인간 난포액과 SpermGrad를 이용한 정자처리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Human Follicular Fluid and SpermGrad for Sperm Preparation in Asthenozoospermia)

  • 정연경;이정렬;문정희;김현준;한상훈;지병철;구승엽;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53-60
    • /
    • 2006
  • 목 적: 보조생식술에서의 정자처리법으로서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불임평가 목적으로 정액검사를 시행할 때 정자무력증 (asthenozoospermia, sperm motility < 50%)을 보이는 12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검사 후 남은 정액을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과 SpermGrad를 이용한 밀도차 분리법을 적용하여 각각 처리하고 컴퓨터 정액분석기를 이용하여 정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두 군 모두에서 운동성과 빠른 운동성 정자의 비율, VCL (curvilinear velocity), ALH (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치 및 과활동성 정자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LIN (mean linearity)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SpermGrad를 이용한 밀도차분리법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81.2{\pm}4.7$ vs. $67.6{\pm}2.3$, p=0.02), 다른 변수들은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은 정자무력증을 보이는 경우 유용한 정자 처리법으로 사료된다.

Computerized Sperm Motility Analyzer를 이용한 Human Sperm의 Hyperactivated Motility의 객관적 관찰에 관한 연구 (Objective Identification of Human Sperm Hyperactivation by Computerized Sperm Motion Analysis)

  • 이희경;이찬;김현숙;김영태;김선행;구병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1-11
    • /
    • 1994
  • The occurrence and time course of capacitation, acrosomal loss, and hyperactivated motility require quantitative defini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fertile human sperm. Recently the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the quality of spermatozoa by using kinematic parameters such as curvilinear velocity(VCL), average path velocity(VAP), linearity(LIN), straightness(STR), 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ALH), and beat cross frequence(BCF) from 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 (CASA). In this study, using the Hamilton Thorn motility analyzer HTM 2030(Hamilton Thorn Research, Beverly, MA),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spermatozoa with hyperactivated motility (HA) objectively and to monitor hyperactivation of human spermatozoa during incubation in capacitating media and after treatment of calcium ionophore as compared with acrosome status. And we examined whether HA are related to the result of SPA. Semen samples obtained from 16 healthy men were prepared by swim up technique and preincubated in a capacitating media(modified BWW medium) for 5 hours and treated with calcium ionophore solution. The acrosome reaction was detected with PSA-FITC labelling of the acrosome and in vitro sperm ferilizing capacity was assessed by the zona free hamster ovum penetration assay (SPA). The incidence of hyperactivated sperm was 2.6% in fresh semen, 14.3% of the swim up population, 13.7% after 5h of incubation. Significant increase of percentage of hyperactivated sperm was observed after the incubation (p<0.05) but after treatment, no significant changes of percentage of hyperactivated sperm(l1.8%) in contrast to significant rise in the percentage of acrosome reacted cells. Correlation analysis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sperm with HA and SPA score. In conclusion, although no direc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results of SPA and HA, hyperactivation of sperm is associated with capacitation and monitoring hyperactivated sperm will be expected as a method of evaluating the functional quality of sperm such as SPA.

  • PDF

Assessment of cryopreserved sperm functions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Chikso) from different region research centers of Korea

  • Ma, Lei;Jung, Dae-Jin;Jung, Eun-Ju;Lee, Woo-Jin;Hwang, Ju-Mi;Bae, Jeong-Won;Kim, Dae-Hyun;Yi, Jun Koo;Lee, Sang Moo;Ha, Jae Jung;Kwon, Woo-Su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6-115
    • /
    • 2021
  • Sperm cryopreservation is an important method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and storing genetic resources. It plays a vital role in genetic improvement, livestock industrial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clinical practice. Consequently, the cryopreservation technique is well organized through various studies, especially o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However, the cryopreservation technique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which is one of the native cattle species in Korea, is not well organ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pplementary Table technique for the cryopreservation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For this purpose, it is important to first evaluate the quality of the currently produced cryopreserved sperm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In this study, we randomly selected 72 individual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semen samples collected from 8 different region research centers and used them to evaluate sperm functions. We focused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cryopreserved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semen following the measurement of motion kinematics, capacitation status, intracellular ATP level, sperm motility, and cell viability. Then, the values of each of the eight groups were derived from various sperm parameters of nine individual samples, including sperm motility, kinematics, cellular motility, and intracellular ATP levels, which were used to compare and evaluate sperm function. Overall, differences in various sperm parameters were observed between most of the research centers. Particularly, the deviations of motility and motion kinematics were high according to the sample. Therefor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ndard method for the cryopreservation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semen. We also suggest the need for sperm quality evaluation of the cryopreserved semen of Korean native brindled cattle before using artificial insemination to attain a high fertility rate.

골형성부전증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분자유전학적 방법의 조건 확립과 적용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of Osteogenesis Imperfecta)

  • 김민지;이형송;최혜원;임천규;조재원;김진영;송인옥;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99-110
    • /
    • 2008
  • 목 적: 착상전 유전진단은 환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출산 기회를 제공해주는 보조생식술의 하나로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골형성부전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서 뼈와 피부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의 이상으로 뼈가 잘 부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질환의 95% 이상은 COL1A1 또는 COL1A2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여 임신에 성공한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착상전 유전진단 수행 전에 환자의 단일 림프구에서 증폭성공률과 allele drop-out (ADO) rate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전 검사를 수행하였다. 각각 원인 돌연변이로 확인된 COL1A1 유전자 c.2452G>A와 c.3226G>A를 가지고 있는 골형성부전증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다. 생검한 할구로부터 원인 돌연변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nested PCR 후 HaeIII 제한효소를 이용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분석방법과 direct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을 실시하였다. 결 과: Genomic DNA를 이용하여 COL1A1 유전자 검사를 해 본 결과 각 가계의 원인 돌연변이는 c.2452G>A와 c.3226G>A임을 재확인하였으며, 단일세포를 이용한 임상전 검사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94.2%의 증폭성공률과 22.5%의 ADO rate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사례의 경우 98.1%의 증폭성공률과 1.9%의 ADO rate를 나타내었다. 착상전 유전진단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3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총 34개의 배아 중 31개의 배아에서 진단에 성공하여 91.2% (31/34)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9개의 정상 배아 중 8개의 배아 (2.7개/배아이식)를 이식하였다. 세 번째 주기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제왕절개로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두 번째 사례의 경우 2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으며, 총 19개의 배아 모두 진단에 성공하여 100.0% (19/19)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1개의 정상 배아 중 4개 (2개/배아이식)의 배아를 이식하였다. 두 번째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결 론: 착상전 유전진단을 통한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에서의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임상 결과로, 본원의 착상전 유전진단방법은 효과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써 앞으로도 더 많은 단일 유전자 이상의 유전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적용하게 될 것이며, 이는 이와 유사한 유전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유전질환의 이환 가능성이 있는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임신과 출산의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동결보존액에 Zardaverine의 첨가가 동결-융해 후 돼지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ardaverine in Freezing Extender on Kinetic Characteristics of Post-Thawed Boar Sperm)

  • 김정아;조은석;정용대;최요한;홍준기;김영신;정학재;백선영;사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51-2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동결보존액에 대한 Zardaverine (phosphodiesterase inhibitor) 첨가가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돼지정액의 동결보존은 보조 번식기술 및 유전자원 장기보존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정자세포를 동결-융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충격은 정자의 수정능력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정액샘플은 성숙한 Duroc종 수퇘지로부터 채취했으며, lactose-egg yolk 동결보존액에 다양한 농도로 Zardaverine (0, 20, 50, 75 및 100 𝜇M)을 첨가하여 정액을 동결하였다. 융해 후 정자세포의 운동학적 특성 분석은 정자운동성자동분석기(CASA;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융해 직후 정자의 운동성(MOT)은 타처리구에 비해 20 𝜇M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Curvilinear velocity (VCL)은 0 𝜇M 과 20 𝜇M 처리구가 75 𝜇M 처리구를 제외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Average path velocity (VAP)는 20 𝜇M 처리구가 100 𝜇M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Amplitude of head lateral displacement (ALH)는 20 𝜇M 처리구가 50 𝜇M과 100 𝜇M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결용 보존액에 대한 Zardaverine 첨가가 동결-융해된 돼지 정자의 운동학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