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of deterioration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2초

석면 함유 천장재에 대한 석면 안정화제 내구성 평가 연구 (Research on Durability Assessment of Asbestos Stabilizer for Asbestos-containing Ceiling Materials)

  • 하주연;신현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27
    • /
    • 2020
  • Objectives: For testing asbestos stabilizer products which are used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sbestos-containing materials, durability assessment should accompany the evaluation of basic properties and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signed a testing method and constructed a database of durability performance,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for reliability studies of asbestos stabilizer. Methods: Since the ceiling materials targeted in this study are interior materials, test conditions of 95% relative humidity and 60℃ temperature we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high relative humidity in summer and seasonal indoor temperatures. Plate-shaped specimens treated with asbestos stabilizers were maintained in a thermo-hygrostat for 5, 10, and 20 days, and then the asbestos scattering prevention rate was measured by air erosion testing. Results: The scattering concentration tended to increase with time under the single humidity condition, and exceeded the indoor air quality standard of 0.01 f/cc, during the 20 days of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little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case of a complex condition with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humidity test, but the scattering concentration increased more sharply at 20 days. Conclusions: The main deterioration factor that affects the durability of asbestos stabilizer is humidity, and the deterioration is caused by a mechanism in which the stabilizer coated on the surface is re-dissolved by moisture and evaporates or the coating layer is peeled off, which is accelerated by high temperatures.

고속주행을 고려한 터널 및 사면의 계측시스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Analysis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systems for tunnels and slopes under a high velocity)

  • 정재훈;박윤제;이래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376-1381
    • /
    • 2010
  • In this study, we dealt with a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systems for tunnel and slope structures under a high velocity. Deterioration of tunnel and slope structures becomes a critical issue in regard to both safety and economic concerns. Deterioration itself is inevitable, but condition assessment technology and nondestructive evaluation techniques could provide solutions to ensure public safety by means of detecting damage before serious and expensive degradation consequences occur. We reviewed the existing monitoring and maintenance systems of slopes and tunnels and more advanced directions, especially for highways under high-speed vehicles.

  • PDF

쉴드 TBM 터널의 구조물 성능 평가 기준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criterion for structures of shield TBM tunnel)

  • 성주현;이유석;홍은수;변요셉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553-5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활발히 적용되기 시작한 쉴드 TBM 터널의 합리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성능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성능평가 기준을 분석하였고, 국내 시공된 쉴드 TBM 터널에 대한 현장조사 및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분석을 통한 변상사례를 조사하여 성능평가 항목을 균열, 누수, 파손, 박리, 층분리 및 박락, 백태, 품질상태, 철근노출, 탄산화, 단차, 볼트상태, 배수상태, 지반상태, 접속부상태, 공동구 상태로 선정하였다. 또한 다중의사결정기법인 AHP 기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성능평가에 대한 합리적인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경주국립공원 남산 지구의 탐방로 훼손 유형 및 환경피해도 평가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Type on the Trails in Mt. N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허상현;유주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431-1442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ystematically maintain and manage the trails by assess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deterioration and impact rating class of trails located in Mt. Nam District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The major trails followed 6 routes including Sambulsa-Geumobong(A), Yongjangsaji-Geumobong(B), Yongjanggol-Yiyoungjae-Gowibong(C), Cheonusa-Gowibong(D), Sangseojang-Forest road(E) and Tongiljeon-Forest road(F). The routes length of A was 2.2 km, 2.7 km of B, 3.4 km of C, 1.3 km of D, 2.0 km of E and 1.0 km of F.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 was the widest and F was the narrowest in the width and bared width of trail. In depth of erosion, B was the deepest and E was the shallowest. D was the steepest and E was the gentlest in the slope.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types of deterioration, A were 13 types, 11 types of B, C and D, 10 types of E and 6 types of F. The times of appearance of deterioration types in A were 86 times, 75 times of B, 105 times of C, 48 times of D, 47 times of E and 13 times of F. In case of the impact rating class, trail erosion was II degree, I degree of trail expansion, root exposure, trail divergence and rock exposure.

논산 개태사지석불입상의 손상도와 보호각 내부의 미기후 환경 (Deterioration and Microclimate in the Shelter for the Gaetaesajiseokbulibsang (Standing Triad Buddha Statues in Gaetaesaji Temple Site), Nonsan, Korea)

  • 김지영;박선미;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9-196
    • /
    • 2009
  • 논산 개태사지석불입상(보물 제219호)은 담회색을 띠고 부분적으로 장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는 중립 내지 조립질의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암석의 전암대자율은 평균 12.06(${\times}10^{-3}$ SI unit)으로 개태사지 배후의 천호산 ($0.19{\times}10^{-3}$ SI unit) 노두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석재의 외부 유입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석불입상은 우협시불의 박리(35.2%), 본존불의 시멘트 보수물질(21.1%) 및 먼지(25.0%)가 주요한 손상현상으로 밝혀졌다. 초음파 속도는 본존불 2850.2m/s, 좌협시불 2648.4m/s, 우협시불 2644.5m/s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산정한 일축압축강도는 우협시불이, 부위별로는 대좌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나타내어 손상도 평가 결과와 일치하였다. 석불입상이 봉안된 보호각 내부의 연평균 기온은 $13.7^{\circ}C$, 상대습도는 79.0%로, 계절에 따른 보호각 내부의 환경 변화는 근본적으로 외부의 변화를 따르나 미기후 변동이 심하지 않아 비교적 안정된 실내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석불입상의 대좌 표면에서는 봄과 여름철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겨울철에는 동결파괴가 우려된다. 이는 훼손도 평가와 초음파 탐사 결과에서 나타난 대좌의 풍화 및 강도 저하의 근본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봄과 여름철에 집중 강우 시 실내의 제습과 한겨울에 기온 강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 PDF

고속도로 방음벽 유지관리를 위한 방음벽 노후도 평가 방안 (Deterioration Evaluation Method of Noise Barriers for Managements of Highway)

  • 김상태;신일형;김경수;김다애;김흥래;임자혜;이재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4호
    • /
    • pp.387-39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방음벽을 대상으로 방음벽의 손상유형 분류 및 손상등급 체계를 마련하고 이를 반영한 방음벽 노후도 평가기법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방음벽이 방음판, 기초, 지주로 구성되어 있고 10종의 다양한 재질이 활용되고 있는 방음판은 단일 또는 혼합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방음판의 손상은 단일 또는 복합적인 손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방음벽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방음벽 노후도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음벽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을 금속재, 플라스틱재, 목재, 투명재, 콘크리트재의 재질유형으로 나누고 또한, 각 재질별 손상유형을 부식, 변색, 변형, 깨짐, 탈리로 분류하여 방음벽의 손상유형을 방음벽 구성부재와 재질에 따라 세분화하였다. 방음벽 주요부위별로 각 손상유형별 손상등급을 양호, 경미, 보통, 심함으로 구분하여 방음판, 지주, 기초의 손상등급을 평가, 이를 바탕으로 부위별 노후도를 평가하여 가중평균을 통한 방음벽 전체의 노후도를 평가하는 방식을 통해서 종합적인 방음벽 노후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단일형 또는 혼합형 방음판을 사용하는 방음벽의 노후도 평가는 물론, 손상유형이 단일형 뿐만 아니라 복합형으로 나타나는 방음벽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평가가 가능한 노후도 평가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시스템을 통하여, 현재 설치되어 있는 방음시설의 노후화 현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은 물론, 이를 토대로 방음벽의 보수 및 개량을 위한 효율적인 유지관리 계획 및 시행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원탑평리칠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및 손상도 진단을 통한 보존처리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 이찬희;김무연;조영훈;이명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4-25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중원탑평리칠층석탑(국보 제6호) 구성암석의 재질특성 및 산지추정과 손상도 정밀진단을 통한 과학적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석탑의 주요 구성암석은 자철석 계열(평균 대자율 $5.86{\times}10^{-3}$ SI unit)의 흑운모화강암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암석은 부분적으로 염기성 포획암과 페그마타이트 세맥 및 장석 반정을 함유하고 있다. 이 암석의 원산지해석 결과, 송강천 일대의 암석이 동일기원으로 판명되어 석탑 복원용 석재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석탑의 손상도 평가에서는 박리 박락(2.7~5.5%), 보수물질(3.5~9.4%), 변색(58.9%) 및 생물오염(19.3~24.4%)에 의한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안정적인 보존을 위해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존처리를 수행하였다. 전체적인 공정은 대체석 복원, 세정, 접합 및 강화처리 등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석탑의 예비조사부터 과학적 보존처리까지 매우 유기적인 보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석조문화재의 미래지향적 맞춤형 보존처리 사례를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FMEA를 이용한 건설현장 전력설비의 위험성에 대한 정성적 평가 (Qualitative Assessment for Hazard on the Electric Power Installations of a Construction Field using FMEA)

  • 김두현;이종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41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an qualitative assessment for hazard on the electric power installations of a construction field using FMEL The power installations have the mission to maintain the highest level of service reliability on the works. The more capital the electric power invest the higher service reliability they plausibly will achieve. However, because of limited resources, how effectively budgets can be allocated to achieve service reliability as high as possible. The assessment typically generates recommendations for increasing component reliability, thus improving the power installation safety. The FMEA tabulates the failure modes of components and how their failure affects the power installations being considered. Tn order to estimate the risks of a failures, the FMEA presents criticality estimation or risk priority number using the severity, occurrence, and detect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omponents of the risk priority number among components were condenser, transformer, MCCB and LA. And In case of the criticality estimation, the potential failure modes were abnormal temperature rise, insulation oil leakage, deterioration for the transformer, overcurrent for the MCCB and operation outage fir the LA.

Seismic performance of South Nias traditional timber houses: A priority ranking based condition assessment

  • Sodangi, Mahmoud;Kazmi, Zaheer Abbas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18권6호
    • /
    • pp.731-742
    • /
    • 2020
  • Due to incessant earthquakes, many historic South Nias traditional timber houses have been damaged while some still stand today. As Nias is part of an extremely active tectonic region and the buildings are getting older by day, it is essential that these unique houses are well maintained and functioning well. A post-earthquake condi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on 2 selected buildings; 'Building A' survived the seismic shakings while 'Building B' got severely damaged. The overall condition assessment of "Building A' was found out to be poor and the main structural members were not performing as intended. In 'Building B', the columns were not well anchored to the ground, no tie beams to tie the columns together, and eventually, the timber columns moved in various directions during the earthquake. The frequent earthquakes along with deterioration due to lack of proper maintenance program are responsible for the non-survival of the buildings. Thus, a process guideline for managing the maintenance of these buildings was proposed. This is necessary because managing the maintenance works could help to extend the life of the buildings and seek to avoid the need for potentially expensive and disruptive intervention works, which may damage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