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8초

미역(Undaria pinnatifida)귀의 일반성분, 유리당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 (The Content of Amino Acids, Free Sugars and Proximate Composition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제해신;반승언;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77
    • /
    • 2018
  • 미역의 뿌리부분인 미역귀에는 알긴산과 후코이단 성분이 풍부하고 고혈압과 당뇨등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후코이단은 미역과 다시마 같은 갈조류에서 추출된 천연물질로 특히 면역력을 활성화하고 항암작용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알긴산 등 유용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미역귀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여, 향후 미역귀를 활용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미역귀는 2015년 12월 완도 금일수산에서 제공받아 연구재료로 활용하였다. AOAC방법에 따라 분석한 미역귀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섬유와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료로 사용한 미역귀가 수확 후 바로 냉동보관 되어서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유리당은 미역귀 1g에 증류수를 가하여 $60^{\circ}C$에서 4시간 추출 한 후, 원심분리(3,000 rpm, 30 min)하여 $0.45{\mu}m$ membrane filter (Millipore Co., USA)로 여과한 여액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역귀의 유리당은 Galactose 1종만이 검출되었다. 미역귀의 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은 $0.45{\m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일정량 취하여 AccQ-Tag 시약을 사용하여 유도체화 시킨 후 HPLC로 분석하였다. 미역귀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threonine, valine, arginine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arginine, lysine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미역귀의 유리아미노산함량은 표고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함량이 나타났으며, 주요아미노산은 해조류의 풍미를 대표하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lanine으로 나타났다.

  • PDF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Air Dried Persimmons and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 이수원;문혜경;이원영;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는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건시 및 건시 모두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있어서 냉풍건조 곶감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회분과 가용성무질소물 함량은 냉풍건조 곶감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꽂감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반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반건시, 건시가 각각 40.12 $^{\circ}Brix$, 52.29 $^{\circ}Brix$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곶감의 색도는 L값(lightness), a값(redness) 및 b값(yellowness)에서는 냉풍건조 곶감이 전통곶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색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보여주어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반건시의 경우 조직감에 있어서 3개 시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곶감의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의 값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6개 시료구 모두 fructose와 glucose만 검출되었으며 유리 아마노산은 17종 함유되어 있었고,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alanine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다. 냉풍건조 곶감이 천일건조에 의해 생산되는 전통 곶감보다 위생적이며 건조조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균일한 품질의 우수한 곶감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및 항균활성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Carthamus Tinctorius L. Seed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 유석영;이영준;강석남;이성갑;장중영;이효구;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7-233
    • /
    • 2013
  • 본 연구는 홍화씨의 식품학적 성분 및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홍화씨의 수분함량은 $5.58{\pm}0.09%$, 조단백질 $37.16{\pm}0.85%$, 조회분 $3.52{\pm}0.04%$, 조지방 $13.69{\pm}8.98%$, 탄수화물 40.05%이었다. 홍화씨의 총 아미노산은 391.99 mg%이고, 이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122.97 mg%이었다. 홍화씨의 아미노산 중 alanine (75.43 mg%), arginine (37.93 mg%) 및 aspartic acid (33.24mg%)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홍화씨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가 3.29%이었고, linoleic acid (C18:2)는 약 79.46%의 비율을 차지하여 홍화씨의 조지방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leic acid (C18:1)도 약 10.42%를 함유하여 불포화지방산의 함유량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홍화씨의 무기질 함량 측정 결과, K 및 Ca의 함량이 1,528 및 1,005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5.52{\pm}0.99$ mg GAE/g, $78.69{\pm}0.91$ mg QE/g으로 나타났다. 홍화씨의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a coli, Candida albican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및 Clustridium perfringe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과육 및 껍질의 유용성분 및 가공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Valuable Components and Processing of Persimmon Flesh and Peel)

  • 문광덕;김종국;김준한;오상룡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1-326
    • /
    • 1995
  • 감과육과 곶감 제조시에 폐기되는 많은 양의 감껍질의 유효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감껍질은 과육부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이 크게 높았고 가용성 탄닌의 함량은 과육이 다소 높았다. 총당의 함량은 과육부의 함량이 크게 높았으며 구성당의 조성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약 절반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sucros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아미노산 함량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유리아미노산은 과육부가 껍질부보다 오히려 높았다. 감과육의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 였으며 감껍질은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palmlt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과육분말 및 껍질분말을 이용하여 당과자를 제조하였으며 $5{\sim}10%$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인정되었으며 곶감떡의 경우 감 절편(slice)제품은 $10{\sim}20%$ 첨가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 껍질은 기호도가 낮았다. 감과육분말을 이용하여 개발한 죽제품의 경우 과육 3%외에 쌀가루, 찹쌀가루, 옥수수전분, 탈지분유 등을 첨가하였을 때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껍질로서는 죽제품의 개발이 어려웠다.

  • PDF

굴을 이용한 조미 건조포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and Dried Oyster Slice)

  • 허민수;박창경;지성준;민관희;김민정;김은정;강경태;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7-92
    • /
    • 2007
  • 남해안 일대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는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조미 굴포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굴 첨가비율에 따른 조미 굴포의 일반성분, 색조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조미 굴포의 제조를 위한 굴의 최적 첨가비율은 30%로 판단되었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한 조미 굴포는 조미 수리미포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및 threonine 등이었다. 또한, 조미 굴포의 칼슘 및 인 함량은 조미 수리미포에 비해 높았으며, 조미 굴포의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 및 taste value는 각각 1,576.8 mg/100 g 및 226.05이었고 맛의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이었다.

벼 재래종 핵심 유전자원의 현미 아미노산 함량 평가 (Characterization of Amino Acid Contents in Grain of Core Collections of Korean Native Rice)

  • 박은진;강정훈;김광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9-277
    • /
    • 2008
  • 벼 재래종 핵심유전자원의 아미노산조성을 평가하여 벼 품질개량 육종과 기능성 쌀 가공품 개발을 위한 기초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래종 자원 388품종 간 현미 아미노산 함량의 변이정도는 methionine과 histidine이 매우 컸으며 나머지 아미노산도 변이계수 14.9% 이상의 변이를 보였다. 재래종 핵심유전자원 388품종의 총 아미노산 함량, 제 1제한 그인 lysine함량, 제 2제한 아미노산인 threonine함량 각각의 평균치는 현재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자포니카형 품종과 비슷하였다. 조사한 재래종 중 백곡,나 대소나, 사두초는 총 아미노산 함량, lysine함량, threonine함량이 월등히 높았고 석산조와 소두조는 아주 낮았다. 또 백곡나, 사두초 및 대소나는 tryptophan을 제외한 7가지 필수아미노산의 총 함량도 아주 높아 이 세 품종은 쌀의 아미노산조성 개량을 위한 유용한 육종소재로 판단하였다. 재래종 품종의 9가지 형태적 특성과 현미 아미노산 함량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부선색이 자색인 품종은 황백색 품종에 비해 총 아미노산 함량과 serine,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arginine 함량 모두 적은 쪽에 분포하였으며, aspartic acid는 부선색이 갈색인 품종이 아미노산 함량이 많은 쪽에 분포하였다. 또 주두색이 자색인 품종은 흰색 품종보다 lysine 함량이 많은 쪽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찰벼 품종이 메벼 품종에 비하여 ser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함량은 높은 쪽에 분포하였고, tyrosine 함량은 낮은 쪽에 분포하였다.

Kjellmaniella crassifolia와 Mytilus coruscus 조미액을 첨가한 해조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weed Kimchi Containing Kjellmaniella crassifolia and Mytilus coruscus Seasoning)

  • 김기웅;배태진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63
    • /
    • 2017
  • 해조류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개다시마와 홍합을 주원료로 한 혼합조미액 2종(KMS, MKS)을 제조하여 해조김치를 담아 $4^{\circ}C$, 70일간 발효실험을 한 결과 SK-A군이 무기질 함량이 높고 수소이온농도 저하 및 산도 상승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염도는 70일째 이후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환원당 함량은 혼합조미액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 Leuconostoc sp. 균수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았고, 적숙기를 지나면서 증가하는 Lactobacillus sp.는 대조군이 저장 20일 째부터 증가하였다. 명도는 담근 초기에서 30일까지는 대조군이 높고, 황색도는 SK-B군이 20일부터 높아져 갈변 가능성이 높았다. 경도는 SK-A군이 담금 초기와 10일째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유리 아미노산 SK-A군이 Glutamic acid 함량이 전 기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단맛계 아미노산의 함량은 SK-A군이 발효 0일, 10일, 30일째 함량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수준을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는 SK-A가 가장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개다시마를 주원료 하고 홍합을 부원료로 하여 만든 조미액 KMS를 100g 첨가하여 담근 SK-A군이 해조류를 활용한 새로운 식품으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시판 주요 건제품의 영양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mercial Dried Fish in Korea)

  • 남기호;박선영;김도엽;강상인;김연계;정은정;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09-223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utri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llowing major commercially available dried fish (MCDF) in South Korea: plain-dried fish [nogari (PD-N), Alaska pollock (PD-AP), red tongue sole (PD-RTS), and young tidepool gunnel (PD-YTG)], salt-dried fish [(yellow corvina (SD-YC) and red tilefish (SD-RT)], four types of boiled-dried anchovy of different sizes (BD-As), and freeze-dried fish [Pacific saury (FD-PS), Alaska pollock (FD-AP), and Katsuobushi]. The energy content of the MCDF ranged from 103.0 to 420.5 kcal per 100 g. The MCDF in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inerals were SD-RT and Katsuobushi in calcium; none in phosphorus, sodium, or zinc; Katsuobushi in potassium and magnesium; PD-AP, SD-YC, and SD-RT in iron, PD-AP, PD-RTS, SD-YC, and SD-RT in copper; and PD-N, PD-AP, PD-RTS, SD-YC, SD-RT, FD-PS, FD-AP and Katsuobushi in manganes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MCDF ranged from 15.85 to 71.96 g per 100 g;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The fatty acid content of the MCDF ranged from 0.81 to 2.93 g per 100 g. The MCFSP expected in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vitamins were PD-N, PD-RTS, FD-PS, FD-AP, and Katsuobushi in riboflavin; PD-N, PD-AP, PD-YTG, BD-As, FD-PS, FD-AP, and Katsuobushi in niacin; PD-N, PD-RTS, SD-YC, and BD-As in vitamin A; and PD-AP, PD-YTG, SD-YC, and FD-AP in vitamin E.

땀의 성분 분석과 잠재지문 현출에 관한 연구 (Study of sweat content analysis and latent fingerprint developing)

  • 최미정;선일식;김창성;최만식;성낙도;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0권2호
    • /
    • pp.147-154
    • /
    • 2007
  •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현출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문과 관계되는 땀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단백질은 $46{\sim}122{\mu}L/mL$로 개인차가 있고, 검출된 아미노산의 분포도 개인에 따라 그 차이가 있으며, 주로 glycine($4.7{\sim}19.0{\mu}L/mL$), threonine($1.3{\sim}26.0{\mu}L/mL$), alanine($0{\sim}13.5{\mu}L/mL$), valine($0{\sim}8.0{\mu}L/mL$) 그리고 histidine($0{\sim}13.2{\mu}L/mL$) 등이 검출되었다. 양이온의 경우 Na이 3078.6~4815.6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K이 267.3~823.9 ppm이었으며, Ca(15.4~44.7 ppm)과 Mg(4.13~8.96 ppm)으로 조사되었다. 음이온 중에는 $Cl^-$(2167~4073 ppm)와 $F^-$(454~582 ppm)가 주로 검출되었다. 미량 원소는 Rb(132~824 ppb), Zn(90~1846 ppb)와 Cu(17~415 ppb)가 주로 검출 되었으며, 그 양 역시 개인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지문 현출에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어 진다.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 최정숙;안훈희;남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85-892
    • /
    • 2002
  • 표준재배법으로 육성한 주요재배 장려품종 6종(화성, 추청, 오대, 일품, 일미, 동진)의 백미차 현미중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 섬유소 등)을 분석한 결과 1. 도정에 따른 전체적인 무기질의 변화를 보면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마그네슘의 경우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은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품종별로 살펴보면 백미의 경우 추청 품종은 칼슘이, 오대는 인과 마그네슘이, 일품은 나트륨, 칼륨, 아연이, 동진은 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미의 분석 결과에서는 화성은 철이, 추청은 나트륨이, 오대는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이, 동진은 칼륨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2. 쌀 품종별 지방산 조성은 백미의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C18:1이 ,33~41%로 그 비율이 높았고 현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은 백미의 경우 오대쌀을 제외하고 20~33%, 현미는 19~22%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34~44%, 현미가 ,39~45%이었으며 다중불포화지방 산은 백미가 24~42%, 현미가 33~40%를 함유하여 백미차 현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현미의 경우 쌀 품종별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정한 후 백미의 경우 쌀 품종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포가 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쌀 품종별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백미는 11.54~16.93 mg/g, 현미는 13.29~20.24 mg/g로 분석되었다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은 tryptophan이었으며 백미는 0.75~0.98 mgjg, 현미는 0.94~l.19 mg/g이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은 백미와 현미 모두 일미 품종에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도정률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niacin은 10~30%, 비타민 B$_1$은 15~60%, 비타민 B$_2$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50%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미는 일품이, 현미는 화성이 가장 높은 niacin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백미의 경우 일품이, 현미는 일품과 일미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B$_2$는 쌀 품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조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4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3배 높게 함유하였다. 조섬유의 경우 백미는 오대 품종이, 현미는 화성과 일품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고 반면 식이섬유는 백미의 경우 동진이, 현미의 경우 일미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 비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