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31초

참당귀의 무기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 특성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Components, Free Sugar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in Angelica gigas Nakai)

  • 길현영;성은수;심재만;최선강;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54-459
    • /
    • 2015
  • Background : The major compounds of Angelica species are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nodakenin, umbelliferone and ${\beta}$-sitosterol, which act anti-inflammatories, reduce pains, protect the liver and enhance the immune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s, minerals, metals, sugars and overall amino acid composition in Angelica gigas Nakai. Methods and Results : Powder of Angelica roots smaller than 30 mesh were used. Physic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carbohydrates (62.0%), crude proteins (13.9%), moisture (11.4%), crude fats (7.3%) and ash (5.4%). Results showed that potassium was present in the highest amount (1,859 ppm), followed by magnesium (214.5 ppm), calcium (147.3 ppm) and sodium (6.0 ppm). Free sugar profiles showed the presence of sucrose (29.3 g/100 g). The total amino acids concentrations was 9,752 mg/100 g, the most common and dominant amino acids were arginine (2,181 mg/100 g), glutamic acid (1,212 mg/100 g) and aspartic acid (834 mg/100 g). The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s was 1,476 mg/100 g, in which the most common amino acid were arginine (932 mg/100 g), glutamic acid (127 mg/100 g), and ${\gamma}$-aminobutyric acid (80.4 mg/100 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A. gigas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acid (443.9 mg/100 g) and palmitic acid (181.3 mg/100 g) according to gas chromatograph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Angelica roo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foods and medicines, and in the preparation of cosmetics.

Effect of Customized Fertilizer Application and Soil Properties on Amino Acids Composition in Rice Grain

  • Sung, Jwakyung;Lee, Yejin;Chun, Hyenjung;Ha, Sangkeun;Sonn, Yeonkyu;Lee, Jong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64-468
    • /
    • 2015
  • Our government has performed to support the nation-wide application of customized fertilizer based on soil-testing results and crop nutrient balance in order to promote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nd to respond the global environment guide-line since 2010.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selected local paddy fields (Hwaseong-si, Uiseong-gun and Miryang-si) with different soil chemical properties in 2012. The contents of amino acids measured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fertilization, and glutam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followed by aspartic acid, leucine and alanine. However, valine, isoleusine, tyrosine and lysin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rtiliz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in N, expressed as a crude protein, and amino acids dose was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sites (p<0.001), treatments (p<0.01 to 0.001) and interaction of both factors (p<0.01 to 0.001). In our experiment the following order of carbon skeleton backbones to produce amino acids was observed irrespective of experiment sites and fertilization: ${\alpha}$-ketoglutarate > oxalate > pyruvate > 3-phosphoglycerate > phosphoenolpyruvate. In conclusion, customized fertilizer had no difference in amino acid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NPK practice which was higher than in no fertilization, and also the normal paddy represented slightly higher amino acids compared to the reclaimed. Further study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s required to investigate what is main factor to amino acids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들깨잎의 성분연구 -유리 Amino산의 분석- (Studies on the Constitutents of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B_{RITTON}$ -Identification of Free Amino Acids-)

  • 김태희
    • 생약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73-175
    • /
    • 1971
  • By means of the two-dimensional thin-layer chromatography, free amino acid components of the leaves of $Perilla\;frutescens\;B_{RITTON}$ have been examined and twelve spots have been detected by the coloration with ninbydrin reagent. These were found to be aspartic acid, asparagine, alan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threonine, histidine, cystine, and glycine, tentatively.

  • PDF

녹두나물 성장과정중의 실소화합물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Nitrogen Compouds and Free Amino Acid of Mung-bean Sprout)

  • 김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1981
  • The changes of various nitrogenfractions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growing stag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and true protein nitrogen were decreased with growth. 2) Free amino acid increased with sprout-growth.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 were about 74.4%(combined Ser, Asp, Arg, Val) after 4 day sprout. It is belived that serine, aspartic acid, arginine and valine play an important role as taste compounds in mungbean sprout. 3) 16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essential amino acids in human nutrition except tryptophan and cystin were quantified.

  • PDF

채취시기 및 품종에 따른 구기순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조성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tions of Gugiseun (Lycuim chinense Miller) Depending on Variety and Harvest Time)

  • 노재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1-217
    • /
    • 1996
  • 구기자 나무재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구기순을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른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순의 일반성분을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지질, 조단백질, 총당 함량은 청양 재래종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조단백질, 총당환원당은 6월20일에 가장 높게 함유되었다. 2. 무기성분 함량은 청양재래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P_2O_5$, $K_2O$, CaO, MgO, Cu, Mn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채취시기별로는 5월10일 체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3.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총 지방산의 5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지방산 함량의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로는 5월10일에 채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4. 아미노산은 19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glutamic acid는 $10.05%\sim10.94%$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순으로 함유되었다. 그리고 아미노산중에서 serine, arginine, methionine, eystine-2, isoleucine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glutamic acid, tryptophane은 채취시기가 빠를수록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께묵뿌리의 화학성분과 건조방법에 따른 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Hololeion maximowiczii Root and Change by Drying Methods)

  • 최동연;김영희;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1-425
    • /
    • 1993
  • 께묵뿌리를 사용하여 건조처리별로 일반성분 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유리당함량은 sucrose가 $27.7{\sim}29.3mg/g$로 가장 많았고 fructose는 $0.8{\sim}3.04mg$으로 적게 함유되었으며 glucose와 xylose은 흔적정도로 나타났다. 건조처리별로는 sucrose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ructose는 증숙건조에서 감소되었다. 3. 지방산조성을 보면 9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가 $54.9{\sim}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palmitic, linolen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3종류의 지방산함량이 총지방산의 $88{\sim}90%$를 차지하였다. 건조처리별로는 냉동건조구보다 열풍 및 증숙건조구에서 저비점지방산들이 약간 감소되었다. 4. 총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arginine이 $33.6{\sim}41.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 Lys>Glu>Gly>Asp>Val>His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조성은 Arg>His>Lys>Asp>Ser>Glu>Ile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건조처리별로는 총아미노산중 glycine과 glutamic이 증숙건조에서 약간 감소할 뿐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기성분에서는 Ca 함량이 $1927{\sim}2379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K $1159{\sim}1259ppm\;Mg\;760{\sim}777ppm$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건조처리별로는 별다른 함량변화가 없었다.

  • PDF

간장으로 염지한 꽃게장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Blue crabs Preserved in Soy Sauce)

  • 이범수;이진철;정동식;양호철;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14-719
    • /
    • 2001
  • 생꽃게의 영양학적 조성에 대한 조사와 간장에 침지한 후 꽃게장의 영양학적 및 화학적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수분함량은 생꽃게보다 꽃게장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고 회분함량은 꽃게장이 생꽃게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생꽃게의 식염함량이 1.50%인데 반해 꽃게장은 7.89%로 염장 후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도 염장 후 증가하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꽃게에서는 소량으로 검출되었지만 염장후에는 그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fructose가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진일보의 연구가 필요하다. 생꽃게와 꽃게장의 아미노산의 함량은 전반적으로 염장후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유리아미노산은 염장후 증가하였다. 생꽃게와 꽃게장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rginine 및 aspartic acid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proline 및 alanine이었다. 지방산함량은 염장 후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EPA 및 DHA이었다.

  • PDF

옥수수전분 제조공정의 부산물인 maize germ의 지질 및 아미노산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Maize Germs Separated in the Manufacture of Cornstarch)

  • 조성환;김재욱;최종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1986
  • 옥수수전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의 산업적 이용과 공장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옥수수를 파쇄하고 비중의 차로 전분부와 분리하여 모아지는 배아함유 폐기물의 조성분을 분석 정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 조단백질이 25.3%, 조지방이 19.2%로 나타났으며 시료 100g당 열량은 512kca1로 우수하였다. 2. 무기성품의 함량은 Ca, P이 비교적 낮았으며, K, Mg, Zn, M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유지의 화학적 특성으로는 요오드가는 44.0 검화가 292.3, 산가 1.5, 과산화가 3.3이었으며 종자나 배아의 지방질 특성과 비슷하였다. 4.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지질은 대부분 중성지질 이었으며 다음으로 당지질, 인지질 순이었다. 5. 전지질,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60{\sim}62.5%)$, oleic$(20{\sim}22.5%)$ 및 palmitic acid$(10{\sim}13.5%)$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훨씬 많았다. 6. 질소화합물은 불용성 단백태질소함량이 32.5%로 가장 많고, 수용성 단백태질소 12.7% 및 peptide태 질소화합물은 3.3%로 적은 함량을 보였다. 7. 단백질의 주요 amino산은 glutamic, glycine, alanine 및 aspartic acid등 이었으며 곡류에 결핍되기 쉬운 lysine을 포함한 필수아미노산도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8. SDS-disc electrophoresis 결과 $5{\sim}6$개의 단백질 band를 확인하였으며, $14,500{\sim}24,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기속젓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및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조성(組成) (Compositions in Amino Acids and Nucleotides of Fermented Entrails of Yellow Corvina)

  • 정승용;성낙주;이영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5-290
    • /
    • 1984
  • 특유(特有)한 풍미(風味)를 가진 조기속젓의 맛성분(成分)을 알기 위해 조기속젓 숙성중(熟成中)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을 보면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alanine, glutamic acid, serine, lysine, leucine이며,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arginine, aspartic acid, cystine이었고 tyrosine은 흔적량에 불과(不過)하였다. 젓갈 숙성중(熟成中)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있었으나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고 원료(原料)에 많았던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젓갈 제품(製品)에도 많았다. 조기속젓 숙성중(熟成中) ATP, ADP, AMP 및 IMP는 감소(減少)하고 hypoxanthine은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30일후(日後)에는 $21.82\;{\mu}mnle/g$으로서 원료(原料)에 비하여 5배(倍)나 증가(增加)하였다. 엑스분질소(分窒素)에 대한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의 비율은 30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이 약(約) 71%로서 가장 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들로 볼 때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valine, leuc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hypoxanthine 등의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등이 조기속젓의 맛에 중요(重要)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의 아미노산과 유용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and Effective Components from Viola mandshurica)

  • 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99-705
    • /
    • 2008
  • 본 연구는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화지정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기원식물인 제비꽃과 한방재료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화지정 꽃의 환원당과 유리당이 각각 10,485.11 mg%와 118.85 mg%로 가장 많았으며, 수용성 단백질과 폴리페놀의 함량도 각각 1,259.26 mg%와 2366.67 mg%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중국산 잎에서 2,370.75 mg%이었으며, 잎은 1,844.43 mg%을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잎(5,345.21 mg%) > 뿌리(4,692.24 mg%) > 꽃(3,807.87 mg%) > 중국산 잎 (3,613.81 mg%)의 순으로 특히 뿌리에는 arginine의 함량이 전체의 55 %이상 차지하였으며 모든 부위에서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잎에서 9,058.80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lpha$-aminoadipic acid는 모든 부위에서 50% 이상을 함유하였으며 특히 잎에서는 아미노산 유도체(7,124.23 mg%) 중 약 80%를 차지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중국산 잎이 5,917.57 mg%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 Ca와 Mg의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특히 잎과 꽃의 95%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잎이 중국산 잎보다는 환원당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무기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수용성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였으며,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뿌리와 꽃에서도 유용한 유용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므로 음료나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한방약용자원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