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tic Acid

검색결과 1,239건 처리시간 0.052초

N,N'-Dimethylethylenediamine-N,N'-di-${\alpha}$-butyric acid 의 세자리 리간드 아미노산 코발트 (III) 착물 (Trifunctional Amino Acid-Co(III) Complexes of N,N'-Dimethylethylenediamine-N,N'-di-${\alpha}$-butyric Acid)

  • 전무진;정해권;정진승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04-509
    • /
    • 1989
  • N,N'-dimethylethylenediamine-N,N'-di-${\alpha}$-butyric acid(dmedba)와 세자리 아미노산과의 코발트(III) 착물인 [Co(dmedba)(L-aa)] (L-aa = S-methyl-L-cysteine, L-methionine, L-glutamic acid, L-aspartic acid)는$ s-cis-[Co(dmedba)Cl_2]-^ 착물과 아미노산과의 반응으로부터 얻었다. 아미노산들은 [Co(dmedda)(L-dd)] 착물과 같이 아민과 카르복실그룹을 통하여 배위되었다. 이 착물들의 구조는 ^1H-NMR, IR, UV$ 스펙트럼 데이타와 원소분석으로 확인하였다.

  • PDF

갓(Brassica juncea) 추출물의 항균물질이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의 균체 성분의 조성 및 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microbial of Leaf Mustard(Brassica juncea) Extract on Compositions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 강성구;김용두;박석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0-285
    • /
    • 1995
  • To develop natural food preservatives,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leaf mustard against E. coli and S. aureus were examined in terms of compositions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the microorganisms treated with the extract. No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extract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E. coli and S. aureus at logarithmic phase was showen, but the content of palmitic and palmitoleic acid of E. coli slightly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and the content of palmitic and margaric acid of S. aureus slight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each control. Ethanol extract did not affect most of the amino acids E. coli and S. aureus at logarithmic phase ; however, some of them(proline, glycine, valine and histidine of E. coli and proline, methionine and histidine of s. aureus) were elevated and some other amino acid(aspartic acid, glutamic acid, tyrosine and arginine of E. coli and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nd lysine of Staph. aureus) found to be decreased. The amount of cell body protein leaked from E. coli and S. aureus increased to 1.02 and 0.22mg/g cell weight, respectively, as compared to controls. Similarly, the substances with absorbance at 260 nm from E. coli and s. aureus increased to 0.12 and 0.06mg/g cell weight, respectively.

  • PDF

A Novel Approach to Controlling CaCO3 Crystalline Assembly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of Poly(aspartic acid)

  • Zhou, Hongjian;Gao, Yanmin;Hwang, Sun-Gu;Lee, Dong-Yun;Park, Jung-Youn;Lee, Jae-Beo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4027-4034
    • /
    • 2011
  • $CaCO_3$ crystalline structures having novel assemblies were in situ fabricated as analogs of naturally occurring proteins and polysaccharides for biomineralization. The calcite crystal was mineralized in a poly(vinyl alcohol)-$Ca^{2+}$ complex film immersed in a $Na_2CO_3$ solution containing poly(aspartic acid). The morphology and size of the $CaCO_3$ crystals were tun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ly(aspartic acid). The mechanisms of their nucleation orientation and formation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through molecular dynamics (MD) simulations in order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olymers and the crystal at the molecular level. Both the MD results and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VA and calcite mainly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The novel approach proposed herein for the fabrication of inorganic crystalline assembly structures can be used to fabricate precise crystalline structures.

Levels of Viral Glycoprotein Provide a Measure of Modulated Chemotherapeutic Effect

  • Shin, Jaeyong;Yoon, Yeon-Sook;Pyo, Suhkne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3호
    • /
    • pp.216-220
    • /
    • 1999
  • A chemosensitivity assay with small replicate Mm5mt/cl C3H mammary tumor cell cultures was developed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viral antigen expression and release into culture fluids could be utilized as an in vitro measure of modulating drug effect. The 52,000 MW viral envelope glycoprotein (gp52) of the mouse mammary tumor virus (MMTV) was measured in culture fluids of control and drug-treated cultures while cell density was simultaneously determined by cell staining and OD 664 nm determination. While extra-cellular gp52 levels and cell density progressively increased over 72 hours for control cultures, declines in both parameters provided dual measures of effect for combination [N(phophonacetyl-L-aspartic acid)+5-fluorouracil], combination 〔N(phophonacetyl-L-aspartic acid )+5-fluoro-5'-deoxyuridine〕and single component treatment of this combination. At each treated time point, thesecombinations begin to produce a greater decline in both cell density and gp52 levels as compared to single drug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phopho-nacetyl-L-aspartic acid) in combination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ingle drug.

  • PDF

키토산과 글루탐산의 병용처리에 따른 발아현미 중의 수용성 단백질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Water Soluble protein and flee Amino Acids in Brown Rice Germinated in a Chitosan/Glutamic Acid Solution)

  • 오석흥;이인태;박기범;김병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15-519
    • /
    • 2002
  • 발아현미를 생산하기 위하여 현미를 물에 침지, 키토산을 젖산에 용해하여 침지,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 하였으며, 발아시키지 않은 현미와 아미노산 및 총 단백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토산을 50 ppm 되게 5 mM glutamic acid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alanine, ser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의 증진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증진을 보였다. 또한 total soluble protein의 함량은 발아하지 않은 현미에 비하여 발아한 현미가 모두 낮았다. 특히 CG구는 물발아나 CL 발아시 현저히 감소되던 serine의 함량을 오히려 증진시겼다. 모든 발아구에서 aspartic acid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아 과정에 의해 aspartic acid가 alanine,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등으로 전환된 것에 기인된 것이라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미발아시 키토산을 글루탐산에 용해하여 침지액으로 사용하면 유용한 아미노산인 alanine, serine 및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isoleucine, methionine 함량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어 영양성이 보강된 발아현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icotinic acid 결핍이 메추리 혈청의 여러 대사물질 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icotinic Acid Deficiency on the Levels of Various Metabolites in the Serum of Quail)

  • 이재혁;박인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3-208
    • /
    • 1991
  • Nicotinic acid 결핍시 메추리는 심각한 체중의 감소를 보였으며, 심장 및 간의 무게도 약간 감소하였다. 포도당의 농도는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콜레스테롤, 알부민 그리고 총 단백질 양의 변화는 없었다. Glutamic oxaloacetate iransaminase 와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의 활성은 증가하였으나 alkaline phosphatase와 LDH의 활성은 변화가 없었다. 혈청속의 아미노산중 tryptophan, tyro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등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arginine, histidine, lysine 등은 변화가 없었다.

  • PDF

진도산(珍島産) 구기자(枸杞子)의 아미노산조성(組成)과 유리당(遊離糖)의 분석(分析)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Aimno Acids and Free Sugars in Lycii fructus)

  • 이명열;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9-252
    • /
    • 1986
  • 구기자(枸杞子)의 총(總)아미노산조성(組成) 및 유리(遊離)당을 각각 amino acid autoanalyzer, HP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7종(種)의 총(總)아미노산이 검출(檢出)되었다. 즉 aspara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r-lalanine, hisidtine, lysine, arginine인데 이중 threonine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는 가장 적었다. 2. 총(總) essential amino acid량은 총(總)아미노산량의53.93%로 양질(良質)의 아미노산을 함유하였다. 3. Glucose, fructose, saccharose 등 3종(種)의 유리(遊離)당이 검출(檢出)되었는데 이중 fructose를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 PDF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질(脂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 (Lipid Oxidation and Proteolysis of Anchovy Pickle during Ripening)

  • 송영옥;변대석;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1982
  • 멸치젓의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肪)의 산화(酸化)와 단백질(蛋白質)의 분해(分解)가 젓갈제품중(製品中)의 양성분(兩成分)의 조성(組成)에 어떤 영향(影響)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脂肪)의 산화과정(酸化過程)은 TBA값, 카아보닐값, 과산화물(過酸化物)값으로, 그리고 단백질(蛋白質)의 분해과정(分解過程)은 단백태질소(蛋白態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 휘발성염기질소(揮發性鹽基雲素)를 각각(各各) 분석(分析)하므로서 검토(檢討)하였다. 그리고 생(生)멸치와 멸치젓갈의 청(請)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과 체단백질(體蛋白質) 구성(構成) 아미노산(酸) 및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도 측정(測定) 검토(檢討)하였다. 멸치젓갈 숙성중(熟成中) 지방(脂質)은 주(主)로 숙성(熟成) 초기(初期)에 산화(酸化)가 진행(進行)되었으며, 단백질(蛋白質) 또한 초기(初期)에 급속(急速)히 분해(分解)되었으나 숙성경과(熟成經過)와 더불어 분해속도(分解速度)가 완만(緩慢)하여졌다. 지방구성(脂肪構成) 지방산(脂肪酸)의 조성(造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생(生)멸치의 지질중(脂質中)에는 포화산(飽和酸)은 주(主)로 $C_{16:0}$산(酸)과 $C_{18:0}$산(酸) 및 $C_{14:0}$산(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들 세 포화산(飽和酸)이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8%, 그리고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22:6}$산(酸)과 $C_{18:1}$산(酸) 및 $C_{16:1}$산(酸)이 주(主)로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이들 세 불포화산(不飽和酸)은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8.7%를 차지하였다.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포화산(飽和酸)에 속(屬)하는 $C_{14:0}$산(酸)과 $C_{16:0}$산(酸)이 전(全)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40%를 차지하여 생(生)멸치일 때보다 훨씬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불포화산중(不飽和酸中) $C_{22:6}$산(酸)과 $C_{20:5}$산(酸) 및 $C_{20:1}$산(酸)은 숙성(熟成)된 젓갈시료(試料)에서는 대폭(大幅) 감소(減少)하였으며, 젓갈시료중(試料中)에 많은 불포화산(不飽和酸)은 $C_{16:1}$산(酸)과 $C_{18:1}$산(酸)으로서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약(約) 30%를 차지하였다. 생(生)멸치의 체성분(體成分)을 이루는 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alanin은 높은 함량(含量)을 보였으며, tryptophan, methionine, tyrosine, serine, phenylalanine 등(等)은 그 함량(含量)이 낮았다. 생(生)멸치중(中)의 필수(遊離)아미노산(酸)에는 histidine, alanine, leucine, lysine, arginine이 많은 양(量)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며, 91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시료중(試料中)에는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등(等)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젓갈로 숙성(熟成)시켰을 때 두드러지게 증가(增加)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aspartic acid, glycine, glutamic acid, isoleucine, valine이었고, 반면(反面)에 감소(減少)한 필수(遊離)아미노산(酸)은 histidine이었다.

  • PDF

안데스 작물 '아마란스'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 변화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Amaranthus Spe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Varieties in South Korea)

  • 홍수영;조광수;진용익;윤영호;김수정;남정환;정진철;권오근;손황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6-21
    • /
    • 2014
  • 본 연구는 강릉, 대관령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품종별로 수량, 생육특성, 항산화활성, 총페놀함량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차이를 조사하고 국내 적응이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수량은 125~465 kg $10a^{-1}$의 범위였으며 RRC 1027 품종이 가장 많았다. 천립중은 0.42~0.82 g으로 아주 작았고 특히 Kerala Red 품종이 가장 가벼웠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분석에서 지역별로는 강릉과 대관령 사이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품종별로는 유색품종인 Kerala Red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994{\sim}1,732mg\;kg^{-1}$의 범위를 보였다. 종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분석 결과 glutamic acid 30.5 mg $100g^{-1}$, aspartic acid 26.1 mg $100^{-1}$, arginine 24.3 mg $100g^{-1}$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에서 아마란스 재배는 수량 등에 서도 안정적이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등 곡물에 부족할 수 있는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새로운 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항산화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닭 우모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eratinolytic Protein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 김세종;조천휘;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6-92
    • /
    • 2010
  • 양계장 부산물 시료로부터 우모 분해세균 31균주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우모 분해세균에 대해 16S rRNA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irmicutes (21균주), ${\gamma}$-proteobacteria (4균주), Actinobacteria (4균주) 그리고 Bacteroidetes (2균주) 계통군에 속하는 다양한 세균이 확보되었다. 우모 분해세균 중 우모 분해율이 75-90% 이상인 우수균주 Chryseobacterium sp. FBF-7,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BS-4 그리고 Lysinibacillus sp. FBW-3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를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법과 Ca(OH)2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661.6 ${\mu}mol$/ml로 선발 균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과 유사하였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생성된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은 619.3 ${\mu}mol$/ml로 총 아미노산의 37%를 함유하였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한 경우, 596.9 ${\mu}mol$/ml의 필수 아미노산을 생산하여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va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그리고 proline이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cysteine 그리고 tyrosine이 화학적 추출법보다 더 높게 추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