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ian Library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4초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and General Sit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aiwan)

  • 우윤희;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3-379
    • /
    • 2014
  • 이 연구는 대만의 공공도서관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01년 대만문고를 일본 거류민이 설립함으로써 시작된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는 대만총독부도서관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광복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천도 이후 침체를 겪다가 1979년 '문화건설계획' 이후 양적으로 늘어나고, 1987년 계엄령 해제로 출판물이 증가하면서 질적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급격히 발전한 대만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통해 공립공공 도서관이 발전의 주축이 되고 있다는 점, 국가도서관뿐만 아니라 주요 공공도서관 관장이 도서관전문가라는 점, 현장에서의 연구가 활발하다는 점, 도서관의 독서진흥활동이 성인독자, 노인독자 등 연령대를 폭넓게하여 이루어진다는 점,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녹색도서관건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발견하였다.

아시아지역 도서관계의 국제교류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Libraries and Librarians in Asia)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341-363
    • /
    • 1994
  •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one is a description of the establishment, organization, activities and an evaluation of the fou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Asian libraries and librarians: Asian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AFLA), Congress of Southeast Asian Librarians (CONSAL), Conference of Directors of National Libraries of Asia and Oceania(CDNLAO) and Association of Parliamentary Librarians of Asia and the Pacific(APLAP). The other is an investigation of status quo of the mutual exchange in libraria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It is suggested that some ways towar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s between Asian libraries and librarians be explored.

  • PDF

Screening Peptides Binding Specifically to Colorectal Cancer Cells from a Phage Random Peptide Library

  • Wang, Jun-Jiang;Liu, Ying;Zheng, Yang;Liao, Kang-Xiong;Lin, Feng;Wu, Cheng-Tang;Cai, Guan-Fu;Yao, Xue-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377-38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creen for polypeptides binding specifically to LoVo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using a phage-displayed peptide library as a targeting vector for colorectal cancer therapy. Human normal colorectal mucous epithelial cells were applied as absorber cells for subtraction biopanning with a c7c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Positive phage clones were identifi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fluorescence detection; amino acid sequences were deduced by DNA sequencing. After 3 rounds of screening, 5 of 20 phage clones screened positive, showing specific binding to LoVo cells and a conserved RPM motif. Specific peptides against colorectal cancer cells could be obtained from a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and may be used as potential vectors for targeting 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A Comparative Research of Library Law i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Processes

  • 류현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3-124
    • /
    • 2017
  • Korea and Japan have been influenced by one another through various points in their respective histories. During ancient times and throughout the Middle Ages, many aspects of culture and modern civilisation were conveyed from China to Japan via Korea. This trend chang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as Japan opened its ports to foreign trade, completely reforming its own society before Korea followed suit. The aspects of modern civilisation and culture were thus subsequently conveyed to Korea from Japan. Not unlike Western cultures of the time, Japan also engaged in a pursuit of imperialism that resulted in its subjugation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fter Korea regained its independence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Koreans rebuilt their country largely on the basis of the social system Japan had left behind. 70 years later, differences from the Japanese model may nevertheless be observed in various areas. Library legislation is no exception. This paper provides a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library laws. The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processes of library legislation of both countries reveals how differences in legislation developed and provides an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se differences.

ICT 리터러시 교육 활용 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As a Place of ICT Literacy Training)

  • 장윤금;정행순;이혜영;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3-294
    • /
    • 2016
  • 본 연구는 한-ASEAN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일환으로 ASEAN(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회원국에서 공공도서관이 정보소외계층인 여성들에게 ICT 리터러시 교육 및 활용 공간으로서 적합한지 알아보고, 향후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ASEAN 회원국 공공도서관 여성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ASEAN 회원국 10개국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8.8%가 공공도서관이 ICT 교육장소로 적합하며, 접근이 편리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 목적에 대하여 27.5%가 정보검색과 이메일 등 ICT를 이용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 및 정보전문가와의 인터뷰 결과 효율적인 ICT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서는 인터넷과 컴퓨터 기반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ICT 리터러시 교육 담당자를 위한 기술 교육과 관련 기관과의 협력, 재정 확충 및 세부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아시아 인터넷 공공 도서관(Internet Public Library Asia)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Internet Public Library Asia)

  • 이원숙;일본명;일본명;일본명;일본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7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인터넷의 보급에 의해 변화되어진 전통적인 공공 도서관 서비스를 몇가지의 예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 과정에서 아시아지역에서 발신되어진 양질의 정보 자원을 아시아어로 소개하는 다언어 서브젝트 게이트웨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깨달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로 쓰여져 있는 정보 자원중 공공 도서관의 이용자들에서 유용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자료를 웹으로부터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 자원에 관한 소개를 전술한 3개 언어와 영어로 기술하는 Internet Public Library Asia의 구축을 진행해왔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 스키마는DC(Dublin Core Metadata Element Set)$^{1)}$와 IEEE LOM$^{2)}$을 기본으로 만들어졌고, 다언어 메타 데이터는 각각의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메타 데이터 작성자들에 의하여 협동으로 작성되어졌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메타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용자 인터페이스도 다언어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검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메타 데이터의 기술에는 XML을 사용하였고, 기술되어진 메타 데이터는 PostgreSQL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였다. 다언어 이용자 인터페이스의 실현에는 XSLT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 PDF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Cultural Resource in ACIA)

  • 이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19-340
    • /
    • 2015
  • 이 연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정보원의 수집대상 문화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목적과 수집정책 방향을 알아보고 문화자원의 특성과 범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현재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HRAF 분류체계, UNESCO 문화지표, 민속아카이브의 분류검색,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콘텐츠목차 등 4개의 분류체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시아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 분류체계의 주제 전개는 문화적, 사회적, 자연적 영역 순으로 전개하였고, 주류는 16개의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주요 개발도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10개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Korea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Major Developing Countries: Focused on 10 Asian and African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5-86
    • /
    • 2018
  • 이 연구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주요 10개 개발도상국가의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표목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관련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해당 국가도서관 자료의 0.1%도 되지 않는다. 베트남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모두 3,000권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일본관련 자료는 한국관련 자료에 비해 대체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란과 베트남 국가도서관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국가도서관이 한국어 자료를 로마자로 번자 표기하고 있으며, 한국어 자료에 대해 원어 표기를 하지 않아 한국어 검색이 불가능하다. 셋째, 한국관련 레코드는 대체로 사회과학과 역사 지리 분야가 55~7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는 '역사'와 '경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는 대부분이 가라데와 구분하고 있지만 4개 국가도서관에서는 태권도를 가라데로 인식하고 있다. 독도는 7개 국가도서관이 한국이라는 지리 한정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으며, 동해는 7개 국가도서관이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압록강, 두만강, 백두산 관련 레코드는 거의 검색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