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h solution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3초

하수슬러지 소각재 추출액의 pH 조절 및 재사용에 따른 최적의 인(P) 회수 조건 산정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Phosphorus Recovery Conditions from Sewage Sludge Ash by pH Control and Reuse of Extracts)

  • 류기;임성현;윤석표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3호
    • /
    • pp.15-26
    • /
    • 2020
  • 하수슬러지 소각재에서 인(P)을 회수하기 위해 소각재를 황산 용액으로 추출한 후, 알칼리 물질로 pH를 높이면서 회수되는 인(P)과 불순물인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여 최적의 인(P) 회수 조건을 실험하였으며, 이때 산추출액을 재사용하거나, 소각재를 입자크기 별로 구분하였을 때 인(P) 회수효율을 비교하였다. 하수슬러지 소각재로부터 인(P)을 회수하기 위한 조건은 1N 황산 용액으로 L/S비 10, 추출시간 30분으로 하는 것이 최적이었다. 인(P)을 회수하기 위한 적정 pH는 알칼리 물질 첨가량, 회수되는 침전물 내의 중금속 함량 등을 고려하였을 때 pH 5 이전에 생성되는 침전물에서 인(P)을 회수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각재 추출액의 재사용율(100, 50%)에 따라 인(P)의 회수율을 각각 14, 21% 증가시켰으나, Zn 함량이 각각 33, 21%, Cu의 함량이 각각 35, 20% 증가되었다.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입자크기별로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특정 크기 구간의 소각재 만을 인(P) 추출하는데 따른 장점은 없었다. EDTA와 양이온 교환수지 등을 통한 추출액 중의 중금속 제거 효과는 크지 않았다.

Effect of magnesium sulphate solution on compressive strength and sorptivity of blended concrete

  • Jena, Trilochan;Panda, Kishor C.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3호
    • /
    • pp.267-278
    • /
    • 2020
  • This paper reports on the result o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carried out to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sorptivity properties of blended cement concrete exposed to 5% and 10% MgSO4 solution using fly ash (FA) and silpozz. Usually in sulphate environment the minimum grade of concrete is M30 and the mix design is done for target mean strength of 39 MPa. Silpozz is manufactured by burning of agro-waste rice husk in designed furnace in between 600° to 700℃ which is one of the main agricultural residues obtained from the outer covering of rice grains during the milling process. There are four mix series taken with control mix. The control mix made 0% replacement of FA and silpozz with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The first mix series made 0% FA and 10-30% replacement of silpozz with OPC. The second mix series made with 10% FA and 10-40% replacement of silpozz with OPC. The third mix series made 20% FA and 10-30% replacement of silpozz with OPC and the fourth mix series made 30% FA and 10-20% silpozz replaced with OPC. The samples (cubes) are prepared and cured in normal water and 5% and 10% MgSO4 solution for 7, 28 and 90 days. The studied parameters are compressive strength and strength deterioration factor (SDF) for 7, 28 and 90 days. The water absorption and sorptivity tests have been done after 28 days of normal water and magnesium sulphate solution curing. The investigation reflects that the blended cement concrete incorporating FA and silpozz showing better resistance against MgSO4 solution when compared to normal water curing (NWC) samples.

화력발전소 배출 바닥재의 불포화대와 포화대 침투과정과 물리화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iltration Process and Physicochemical Influence in the Unsaturated and the Saturated Zone of the Bottom Ashes from Thermal Power Plant)

  • 박병학;전원탁;하승욱;김용철;최한나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1호
    • /
    • pp.97-109
    • /
    • 2022
  • 화력발전소 연소부산물로 형성된 바닥재와 바이오차는 건식 매립 시 강수와 혼합되어 토양 하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강수와 혼합된 바닥재 성분이 토양 및 지하수 환경에 미칠 수 있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아이스 칼럼 및 침투실험을 통해 미립자인 바닥재는 대부분 증류수에 용해되어 토출구로 배수되나, 바이오차(숯가루)는 매질에 여과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칼럼 실험 용출액의 이온 분석(Al, As, Cu, Cd, Cr, Pb, Fe, Mn, Ca, K, Si, F, NO3, SO4) 결과, 숯가루 충진 칼럼은 K가 상당히 높은 농도(0.5 cm 충진 시 19.8 mg·L-1, 1 cm 충진 시 126 mg·L-1)로 검출되었으나 시간에 따라 점차 농도가 감소하였다. Al과 Ca는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시간에 따라 농도가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바닥재 충진 칼럼은 실험 초기부터 Ca와 SO4가 고농도로 검출되었으며 24시간 동안 각각 30 mg·L-1, 67 mg·L-1가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투수성이 좋고 포화대가 지표에 가까운 토양의 경우 오랜 시간 강수가 지속된다면, 상당량의 바닥재는 강수와 혼합되어 지하수면 아래로 침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바이오차는 불포화대에서 걸러지며, 포화대에 도달하여도 지하수에 녹지 않아 직접적인 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 바닥재와 바이오차의 침투에 의한 토양 및 지하수 환경의 교란은 자연적 완충작용에 의해 보완되나, 실제 매립지는 대용량 고농도의 매질과 반응이 이뤄지므로 일반화를 위해서는 더욱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중에너지광자선의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정량적 골무기물함량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one Mineral Contents with Dual-Energ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 최태진;윤선민;김옥배;이성문;서수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3-158
    • /
    • 1997
  • 목적 : 이중광자에너지 전산화단층촬영의 정량적골무기물함량(Dual-Energ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DEQCT)의 실험상수를 구하고, DEQCT에 의한 골무기물함량과 동물척추 해면골의 무기물함량과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직의 CT 번호는 주어진 방사선에너지와 조직상분에 따른 방사선 감약계수의 함수로 얻게 되며, 빙사선감약은 에너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 연구는 CT에서 사용되고 있는 80과 $120kV_p$ X선에서 각 조직의 질량감약계수를 구하여 실험적으로 DEQCT에 의한 골무기물함량을 결정하였다. DEQCT에서 골무기물함량결정에 이용되는 실험상수들은 골등가물질의 표준시료 $K_2HPO_4$ 용액과 연부조직의 물 및 지방등가물질로 무수알코올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골무기물함량 비교는 실험적 상수결정에 의한 DEQCT와 제작회사의 DEQCT를 사용하여 각각 구하였으며, 동물척추해면골 시편의 재의 질량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 $80kV_p$에서 골둥가물질의 질량흡수계수는 0.5608, 물 0.2409과 지방등가 조직에서 $0.2206cm^2/g$을 얻었으며, $120kV_p$의 방사선에서는 0.3273, 0.2046 및 $0.1971cm^2/g$을 각각 얻었다. 골등가물질 $K_2HPO_4$ 표준시료를 80과 $120kV_p$ X선으로 스켄한 CT 번호를 이용하여 실험상수 $K_1$는 0.3232, $K_2$는 0.2450를 각각 얻펐다. 이중광자에너지에 의한 골무기물함량측정결과는 동물척추해면골 시편의 재의 질량을 골무기물함량으로 정한 값과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하였으며 상관계수 r=0.998을 보였다. 한편, 동물척추골시편의 골무기물에 대하여 CT에 탑재된 DEQCT에 의한 골무기함량의 비교 결과는 상관계수 r=0.996 을 보여 상호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중광자에너지 전산화단층영상장친에 대한 조직등가물질의 실험적 질량감약계수에 의한 골무기물함량과 제작사의 DEQCT에 의한 정량적 골무기물함량이 실험적 골무기물함량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한국인 인유의 칼슘 및 인 함량의 변화 (Longitudinal Changes in Calcium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of Korean Human Milk)

  • 윤태헌;태원찬;이정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3호
    • /
    • pp.206-218
    • /
    • 1991
  •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한국인 인유의 수분, 총고형분, 회분, 칼슘, 인, 칼슘/인의 비 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유(분만후 0∼5일), 이행유(분만 후 6∼10일), 성숙유(분만 후 25∼35일째 및 분만 후 55∼70일째) 단계로 나누어 longitudinal로 추적·조사하였으며, 시유 및 조제분유와의 비교도 행하였다. 수분과 총고형분은 분만 후 22∼35일에서만 초유에 비하석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회분은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칼슘 및 인은 초유단계에 비하여 이행유, 성숙유단계 모두 유의하게 높았는데 칼슘은 분만 후 55∼7O일까지, 인은 분만후 25∼35일까지 계속 증가의 경향을 보여준 것이 특이하였다. 칼슘/인의 비는 초유단계에서 2.28, 이행유단계에서 1.76, 분만 후 25∼35일에서 1.68 그리고 분만 후 55∼70일에서 1.95였는데 이행유 이후 단계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회분, 칼슘, 인, 칼슘/인의 비에서 초산부와 경산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성숙유의 총고형분 함량을 시판 국산 조제분유의 조유농도로해서 계산하여 본 바 회분과 칼슘/인의 비는 인유의 그것에 비슷하였으나 칼슘과 인은 높은 수준이었다.

  • PDF

잔골재 대체재로서 바텀애쉬를 이용한 초속경 그라우트재의 수밀성 및 내구특성 (Watertightness and Durability Properties of Ultra Rapid Hardening Grout using Bottom-ash)

  • 이건철;오동욱;조병영;김영근;조정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02-1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로서 재활용율이 낮은 바텀애쉬와 혼화재를 이용하는 에코개념의 터널 보수용 초속경 그라우트 모르타르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공 환경조건의 온도하에서 초속경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수밀성 및 내구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수밀성으로 투수량 및 물흡수계수는 석탄회를 이용하는 시리즈 II의 경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도조건별로는 $20^{\circ}C$ 양생조건이 $5^{\circ}C$ 양생조건 보다 투수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범위 모든 시료는 KS F 4042(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투수량 기준인 20g 이내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구성으로 중성화 저항성은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치환 사용에 따른 단위시멘트량 감소로 약간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알칼리성 및 내산성 결과는 시리즈 I의 경우 수산화칼슘용액에 침지후의 압축강도가 침지전의 압축강도에 비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리즈 II의 경우 강도저하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circ}C$ 양생조건의 경우 C 타입의 시멘트를 제외하고는 28일 재령의 압축강도와 동등한 값을 나타내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버텀애쉬를 치환 사용한 경우 내알칼리성 및 내산성이 큰 것 알 수 있었다.

  • PDF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레미콘 적용 시험 (Application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in Manufacture of Ready-Mixed Concrete)

  • 양완희;황지순;이세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4
    • /
    • 2017
  • 시멘트 산업은 대표적인 탄소 배출 산업으로서, 콘크리트에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다량 사용할 경우 시멘트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초기강도의 저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대체량 증대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를 다량 활용한 포틀랜드 혼합 시멘트에 적절한 알칼리 활성화를 통해 혼합 시멘트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안은 시멘트 산업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보고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하고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2.0% 사용한 결합재를 적용하여 레미콘(Ready-Mixed Concrete) 제조 시설에서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그 기초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으로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고 응결 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있었으나, 블리딩이 감소하고 조기 강도가 개선되었으며, 탄산화 저항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 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압건조, 희석침전, 분무건조 방식으로 제조된 무회분석탄의 특성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f AFC Precipitated Using Vacuum Drying, Dilution Precipitation and Spray Drying)

  • 권호중;최호경;조완택;김상도;유지호;전동혁;임영준;임정환;이시훈;이영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2호
    • /
    • pp.234-23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용매추출 공정 중 최종 건조 과정에서 회수방식을 달리하여 무회분석탄을 제조한 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구조를 비교하였다. 무회분석탄 제조에는 아역청탄 등급의 Kideco coal과 극성용매인 N-methyl-2-pyrrolidone(NMP)를 사용하였으며, 회수방식으로는 감압건조, 희석침전, 분무건조 방식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무회분석탄의 물성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공업분석, 원소분석, 발열량분석을 실시하였고, 화학적 구조를 알아보고자 FT-IR, NMR 분석을 하였다. 공업분석을 통해 무회분석탄의 회분함량이 원탄에 비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FT-IR 분석 결과 감압건조로 회수한 샘플은 추출용매의 피크가 나타나는 반면 희석침전방식으로 제조한 무회분석탄에는 추출용매 피크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희석침전방식을 사용할 경우 다른 회수방식에 비해 저온공정이 가능하였고, 추출용매로부터 무회분석탄을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었다.

고함수율 수침고목재의 동결 건조를 위한 PEG 전처리 농도 및 용매 설정 (Determination of PEG Concentration and Solvent Selection for Freeze-Drying of Highly-Degraded Waterlogged Woods)

  • 김수철;박원규;이용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0-47
    • /
    • 2000
  • 아주 많이 분해된 고함수율 수침고목재(평택 토탄층 출토 물푸레나무, 약 5,700 BP)의 동결 건조를 위한 PEG (#3350) 전처리 조건을 규명하고자, PEG 농도와 용매 종류에 따른 치수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함침 처리 중 시간별로 조사한 중량 변화율을 보았을 때, 물과 t-부탄올 용매 모두 저농도에서는 PEG가 짧은 시간내에 침투, 확산하며 고농도에서는 저농도에서 보다 중량이 완만히 증가하여 함침 시간이 길게 요구되었다. t-부탄올 용매가 물보다 PEG 침투량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동결 건조후 치수 안정성은 저농도 PEG 수용액으로 전처리하는 것이 우수하였다. 고농도 (60%-70%) PEG 처리 (t-부탄올 용매)의 경우는 치수안정성이 떨어졌는데 이는 고농도에서는 PEG가 동결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과잉 침투된 PEG가 건조후 수분을 다시 흡수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고농도 (70%) PEG 수용액 처리 후 자연건조한 것은 함몰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 아주 많이 분해된 고함수율 수침고목재의 경우는 t-부탄올 용매가 필요 없이 저농도 PEG 수용액 (40%정도)으로 전처리하는 것이 동결 건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Evaluation of Acid Digestion Procedures to Estimate Mineral Contents in Materials from Animal Trials

  • Palma, M.N.N.;Rocha, G.C.;Valadares Filho, S.C.;Detmann, 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624-1628
    • /
    • 2015
  • Rigorously standardized laboratory protocols are essential for meaningful comparison of data from multiple sites. Considering that interactions of minerals with organic matrice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nature, there could be peculiar demands for each material with respect to digestion procedure. Acid digestion procedures were evaluated using different nitric to perchloric acid ratios and one- or two-step digestion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phosphorus, magnesium, and zinc in samples of carcass, bone, excreta, concentrate, forage, and feces. Six procedures were evaluated: ratio of nitric to perchloric acid at 2:1, 3:1, and 4:1 v/v in a one- or two-step digestion. There were no direct or interaction effects (p>0.01) of nitric to perchloric acid ratio or number of digestion steps on magnesium and zinc contents. Calcium and phosphorus contents presented a significant (p<0.01) interaction between sample type and nitric to perchloric acid ratio. Digestion solution of 2:1 v/v provided greater (p<0.01) recovery of calcium and phosphorus from bone samples than 3:1 and 4:1 v/v ratio. Different acid ratios did not affect (p>0.01) calcium or phosphorus contents in carcass, excreta, concentrate, forage, and feces. Number of digestion steps did not affect mineral content (p>0.01). Estimated concentration of calcium, phosphorus, magnesium, and zinc in carcass, excreta, concentrated, forage, and feces samples can be performed using digestion solution of nitric to perchloric acid 4:1 v/v in a one-step digestion. However, samples of bones demand a stronger digestion solution to analyze the mineral contents, which is represented by an increased proportion of perchloric acid, being recommended a digestion solution of nitric to perchloric acid 2:1 v/v in a one-step diges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