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spor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균 Mycosphaerella nawae의 자낭포자 및 분생포자에 감염된 이병엽 상에서 위자낭각 형성과정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seudothecial Development of Mycosphaerella nawae on Persimmon Leaves Infected by Ascospore and Conidi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08-412
    • /
    • 1998
  • In order to illustrate the role of conidia of Mycosphaerella nawae as a secondary inoculum in nature, pseudothecial development on persimmon leaves was investigated microscopically. The fungal ascospores have been believed as the primary or only inoculum source in nature, however, pseudothecia were readily formed on persimmon leaves infected naturally and artificially by conidia. The pseudothecia of M. nawae were found to form in the tissues of infected leaves while the leaves were still hanging on the trees. The size of pseudothecia were approximately 51.0~122.4$\times$51.0~112.2 ${\mu}{\textrm}{m}$ (82.8 $\times$72.5 ${\mu}{\textrm}{m}$in average), the shapes were spherical, ovoid or occidental pear type. The sizes of asci were approximately 30.6~61.2$\times$8.2~10.2 ${\mu}{\textrm}{m}$(46.6$\times$9.4 ${\mu}{\textrm}{m}$ in average) and the shapes were cylinder or banana. The ascospores were mostly spindle type, and the sizes were 10.2~12.2$\times$3.1~4.1 ${\mu}{\textrm}{m}$ (11.4$\times$3.2 ${\mu}{\textrm}{m}$ in average)-like. The pseudothecial formation was initiated before defoli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thecia, ascus and ascospores on the infected leaves were fully illustr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conidia of M. nawae induce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as much as ascospores, and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of the disease epidemics in nature.

  • PDF

Kretzschmaria quercicola sp. nov., an Undescribed Fungus from Living Oak in Mt. Daeryong, Korea

  • Yun, Ji Ho;Jo, Jong Won;Lee, Jin Heung;Han, Sang Kuk;Kim, Dae Ho;Lee, Jong Kyu
    • Mycobiology
    • /
    • 제44권2호
    • /
    • pp.112-116
    • /
    • 2016
  • We encountered an unfamiliar ascomycete fruiting body, f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Kretzschmaria, which features in a stipitate ascigerous stroma with carbonaceous interior and disintegrating perithecia. In this study, we report and characterize a new species of the decaying fungus. Compared to other species, one of the notable features of this specimen (TPML150908-046) is its stromatal size (up to 15 cm). Although TPML150908-046 is morphologically similar to K. milleri and K. sandvicensis, it differs sharply from both species in apical ring size (TPML150908-046, $6.5{\sim}10.5{\mu}m$; K. milleri, $11{\sim}16{\mu}m$) and ascospore width (TPML150908-046, $10.5{\sim}17{\mu}m$; K. sandvicensis, $8.5~11.5{\mu}m$). Phylogenetic trees based on ${\beta}$-tubulin, ITS, and RPB2 sequences showed that our collection clustered with K. sandvicensis, with the respective similarities for these sequences being 95.6%, 91.3%, and 97.7%, signifying it as another species. With these results, we report it as a new species, which we call Kretzschmaria quercicola sp. nov.

효모세포의 당과 아미노산의 운반에 관한 연구 -I. 생장시기와 포자형성기의 포도당 운반- (Sugar and Amino Acid Transport in Yeast I. Glucose Transport during the Sporulation Stage with Reference to the Vegetative Stage.)

  • 민경희;권영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2-130
    • /
    • 1978
  • Saccharomyces cerevisiae J170, matant를 사용하여 YEP 배지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여 생장이 왕성한 영양시기의 효모세포를 얻었다. 이 세포를 sporulation medium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면 약 80%의 ascospore를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포자행성시기와 생장시기를 택하여 D-$^{14}C$-glucose 운반에 관하여 바교 검도한 결과는 다음파 같다. haploid인 포자형성시나 diploid인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는 pH6.0에서 최대이었다. 이 두 시기의 포도당 운반은 2, 4-dinitrophenol에 의하여 저해되었으므로 포자형성기의 포도당운반도 역시 egergy를 요구하는 능동수송파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정도는 포자형성기 보다 높았으며 이때에 fructose나 galactose와 포도당흡수의 관계는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효모세포의 당 성분은 ribose, mannose, $\alpha$, $\beta$-glucose로 되어 있으며 특히 포자형성기의 mannose 함량은 영양세포 때보다 현저히 적었다.

  • PDF

효모의 미토콘드리아와 M-DNA (On the Mitochmria of Yeast and M-DNA)

  • 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5
    • /
    • 1971
  • saccharomyces cerevisiae J170, mutant를 사용하여 YEP 배지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여 생장이 왕성한 영양시기의 효모세포를 얻었다. 이 세포를 sporulation medium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0시간 진탕 배양하면 약 80%의 ascospore를 형성함을 볼 수 있었다. 포자형성시기와 생장시기를 택하여 D-C-glucose 운반에 관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aploid인 포자형성시나 diploid인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는 PH6.0에서 최대이었다. 이 두 시기는 포도당 운반은 2,4-dinitrophenol에 의하여 저해되었으므로 포자형성기의 포도당운반도 역시 energy를 요구하는 능동수송과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아. 생장시기의 포도당 흡수정도는 포자형성기 보다 높았으며 이때에 fructose나 galactose와 포도당흡수의 관계는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효모세포의 당 성분은 ribose, mannose, $\alpha$,$eta$-glucose로 되어 있으며 특히 포자형성기의 mannose 함량은 영양세포 때보다 현저히 적었다.

  • PDF

균상재배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Hypocrea속 균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y characteristics of genus Hypocrea isolated at oyster mushrooms of the shelf cultivation)

  • 이찬중;문지원;정종천;공원식;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73
    • /
    • 2015
  • Hypocrea속 병해는 전남 해남 및 고흥지역에 심하게 발생하여 재배농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병원균은 자낭균에 속하며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후기에는 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며, 0.5~2.0 cm 크기의 자실체들이 다수가 뭉쳐 기형적인 형태를 형성하며, 자실체가 형성된 부위에서는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다. 자낭각은 자실체의 표면 바로 아랫부분에 매몰부분에 형성하고. 그 안에 다수의 자낭을 형성한다. 자낭이 어린 상태에서는 자낭포자가 8개로 보이나 성숙되면서 16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수집균주의 배양온도별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를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은 $15^{\circ}C$에서 H-1과 H-12균주가 가장 빨랐지만, $20^{\circ}C$$25^{\circ}C$에서 H-8, H-9, H-13, H-14 등 4 균주는 매우 느린 생육을 보였다. 자실체는 $20^{\circ}C$$25^{\circ}C$에서 발생하였지만, $15^{\circ}C$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집균주 중 H-2, H-3, H-6, H-13, H-14 등 5 균주가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영양원의 C/N율에 따른 균사생장 및 자실체 형성정도는 H3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asparagine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3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고, H14 균주의 경우 질소원 $NH_2SO_4$와 cystin을 첨가한 처리한 구에서는 C/N율 100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자실체는 histidine과 asparagine 처리구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histidine-70과 asparagine-100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 병은 균사생장기간에는 발병여부가 확인되지 않고, 하온후 균상표면에 버섯과 비슷한 병원균 자실체가 발생한다. 병원균 자실체는 버섯의 자실체보다 딱딱하고, 초기에는 유백색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색으로 변색된다.

양송이 괴균병균(塊菌病菌)의 방제(防除) 및 생장요인(生長要因)에 관한 연구(硏究)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Diehlomyces microsporus and Chemical Control of Truffle Disease in Cultivation of Agaricus bisporus)

  • 김광포;차동열;정후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괴균병균(塊菌病菌)의 영양원(營養源) 최적온도(最適溫度) 및 pH 사멸온도방제약제(死滅溫度防除藥劑)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지(培地) 중(中)에서 괴균병균(塊菌病菌)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양송이 종균(種菌) 추출배지(抽出培地)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미강(米糠) 추출배지(抽出培地0에서 가장 좋았다. 2.각종(各種) 영양원중(營養源中) 탄소원(炭素原)으로 L-asparagin이나 ammonium nitrate, 탄소원(炭素源)으로 glucose나 fructose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3.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5{\sim}28^{\circ}C$였고 최적(最適) pH는 5.5내외(內外)였다. 4. 사멸온도(死滅溫度)는 균사(菌絲)가 $40^{\circ}C$에서 120분(分), 또는 $60^{\circ}C$에서 60분(分) 이상(以上), 자양포자(子襄胞子)가 $60^{\circ}C$에서 240분(分) 또는 $80^{\circ}C$에서 120분(分) 이상(以上) 열처리시(熱處理時) 완전(完全) 사멸(死滅)되었다. 5. 본(本) 병(病)은 종균(種菌) 재식시(栽植時)나 복토전(覆土前) 퇴비(堆肥)에 접종(接種) 했을 때 피해(避害)가 컸다. 6. basamid나 vapam약제(藥劑)를 퇴비(堆肥) 입상시(入床時) $100{\sim}150 ppm$ppm으로 처리(處理)한 후(後) 후발효(後醱酵)를 실시(實施)하므로서 괴균병(塊菌病)을 방제(防除)할 수 있었다.

  • PDF

답리작 상치 시설재배지에서의 균핵병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Lettuce Drop Disease Occurring under Controlled Cultivation Conditions in Drained Paddy Fields)

  • 신동범;이준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52-260
    • /
    • 1987
  • 답후작으로 시설재배되는 상치에 발생한 균핵병의 발생생태에 대하여 조사연구한 결과, 상치 균핵병은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발생하였는데, 특히 유묘기에 피해가 심하였다. 후병지$(30\times30\times5cm)$내의 균핵수는 유묘기에 22.0개, 수확기에는 5.3개가 검출되었다. 이상치 균핵병 (S. sclerotiorum)의 균사생장적온은 $25^{\circ}C$였고, $15^{\circ}C$이하의 온도에서는 $20^{\circ}C$이상의 온도에서보다 균핵의 형성수는 적었으나 큰 균핵을 형성하였고 건물중도 높았다. 토양깊이 및 시기별로 균핵을 매몰하였을 때 3월, 4월 9월의 매몰구에서는 토양깊이 3cm구까지 자양반을 형성하였으나, 6월, 12월의 매몰구에서는 90일간의 조사기간내에는 자 반을 형성하지 않았다. 그리고 중력수만 제거한 토양과 담수토양내에서 균핵을 $25^{\circ}C$$30^{\circ}C$로 5주간 처리하였을 때 $100\%$의 균핵이 사멸하였다. 고압멸균된 상치 식물체절편과 함께 균핵을 상치에 접종하였을 때 균핵의 균사형성에 의한 감염이 일어났으며, 포장주위식물에 대한 병원성 조사에서는 조사식물 9과 31종중 화본료 식물을 제외한 8과 25종의 식물에 병원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답리작으로 시설재배되는 상치에 발생한 균핵병의 전염원은 포장주위의 기주식물에 형성된 균핵이라고 생각된다.

  • PDF

교배육종에 의한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도원홍초'의 품종특성 (Varietal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Cordyceps militaris 'Dowonhongcho')

  • 이병주;이미애;김용균;이광원;최영상;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5
  •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는 다양한 생리적 및 약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약용버섯으로 인정받으며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교배를 위해 자낭포자를 분리한 후 균사생장, 균사밀도, 자실체 및 자낭각 형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하였고, 그 중에서 우수한 특성의 균주를 이용하여 교배와 선발과정을 거쳐 신품종 '도원홍초'를 육성하였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SDAY배지 및 $10{\sim}25^{\circ}C$ 온도조건에서 균사 생장이 양호하였다. 신품종의 자실체는 곤봉형이고 밝은 주황색을 띠었으며 코디세핀 함량은 0.34% 였고 자좌의 평균길이는 6.1 cm였다. '예당 3호'와 비교할 때, 새로운 품종 '도원홍초'의 수량은 9% 증수되었고 자실체의 경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균사생장 적온은 $22{\sim}25^{\circ}C$였고, 버섯 발생 적온은 $18{\sim}22^{\circ}C$였으며 접종에서부터 자실체 발생까지의 기간은 45일이 소요되었다. 신품종 '도원홍초'는 동충하초 인공재배 및 산업적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으로부터 Cryptococcus sp. CS-2의 분리 및 균주가 분비하는 Polygalacturon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yptococcus sp. CS-2 Secreting Polygalacturonase from Soil)

  • 강희경;문명님;임채영;양영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8-163
    • /
    • 1999
  • 제주도 밀감 과수원의 토양으로부터 polygalacturonase 고생산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strain CS-2 의 생리화학적인 실험을 수행한 결과 분리균주는 Diazonium bule B color test 와 urease test에서 양성반응, acetic acid, citrate acid 생성 시험, gelatin 분해시험, fat 분해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났고, 탄소원의 조사에서 galactose를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없었고, 질소원은 모두 이용할 수 없었다. 또한 $30^{\circ}C$ 에서는 성장하는 반면, $35^{\circ}C$ 이상에서는 성장을 하지 못하였고 50% 이상의 glucose 농도, 0.01% cyclohexamide 그리고 1% acetic acid에서 성장을 하지 못하였다. 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 관찰 결과, 크기는 $1.3{\times}2.9$$\mu$m인 타원형으로 관찰되었다, ,multiple budding을 하며 ascospore는 존재하는 반면 pseudomycelium과 true mycelium 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Cryptococcus 속의 특징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분리된 Cryptococcus sp. CS-2 의 polygalacturonase 는 유도적으로 합성되어 catabolic repression 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3일 배양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고유 활성도는 2.50~2.55 units/mg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polygalacturonase를 SDS-PAGE, activity staining 그리고 단일 탄소원에 따른 단백질 양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자량 측정한 결과 약 46KDa으로 나타났다.

  • PDF

유충노랑곰보동충하초(Cordyceps staphylindaecola)의 불완전세대와 자실체 형성 (Asexual Stage and Fruit Formation of Cordyceps staphylinidaecola)

  • 성재모;홍성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3
  • Beauveria속균은 2000년 9월 1일부터 2002년 8월 31일까지 총 151개 표본이 채집되었고 분리된 균주는 25개다. 분리된 균주는 대부분 Beauveria bassian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춘천시 삼악산에서 채집한 유충노랑곰보 동충하초의 특성은 기주를 균사에 의하여 쌓여있으며 자좌는 기주로부터 하나 내지 4개가 나오며 분생포자도 같이 형성되었다. 밝은 노란색의 자좌는 45 mm 이고 머리는 $17mm{\times}4mm$ 이고 자루 28mm 이지만 경계는 뚜렷하지 않았다. 자낭각은 머리에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고 묻힌형이고 크기는 $530{\sim}550{\times}290{\sim}300{\mu}m$이었고 자낭은 $400{\sim}450{\times}4{\sim}5{\mu}m$이었다. 자낭포자는 실 모양이고 2차 포자로 분열한 후 바로 둥근 2차 포자를 형성하였다. Cordyceps staphyl- indaecola의 불완전 세대는 형태적인 특징인 분생자경은 rachis로 분생포자세포는 정단으로 생장하였으며 작은 목에서부터 원형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크기는 $2.6{\sim}3.4{\times}1.2{\sim}1.9{\mu}m$로 Beauveria bassiana로 동정하였다. 균사생육에 가장 적합한 배지는 HM이었고 기본 액체배지로는 HM, MCM 배지에서 우수한 건조 균체량을 나타내었다. 11일간 배양하여 $25^{\circ}C$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과 밀도를 나타냈으며 $pH6.5{\sim}pH8.5$까지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현미와 번데기 배지에서 균사가 배지의 표면을 채우는 데 일주일이 걸리며 15일이나 18일이 되면 밝은 균사집합체에서 분생자병속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40일 후에는 분생자병속에 분생포자가 형성되기도 하나 간혹 자낭각이 형성되는 자좌도 있었다. 배양에서 형성된 자실체와 자연에서 채집한 자실체는 형태적으로 비슷하나 인공적으로 머리부분에서 자낭각이 형성하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