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uncu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3초

화이트 칼라소재의 알도즈 환원효소 억제작용 탐색 (Screening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white-color natural products)

  • 목소연;신현철;이상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69-7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naturally occurring aldose reductase (AR) inhibitors from white-color natural products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Chionanthus retusa, Cosmos bipinnatus, Hibiscus syriacus, Hydrangea paniculata, Magnolia denudata, Prunus padus, Robinia pseudo-accacia, Rhododendron mucronulatum for. albiflorum, Spiraea blumei, and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The MeOH extract of white-color natural products were tested on rat lens AR inhibition in vitro. Among them, the MeOH extract of R. mucronulatum for. albiflorum showed highest inhibition on AR ($IC_{50}$ value, 1.07 ${\mu}g/m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 mucronulatum for. albiflorum, a white-color natural product, could be a useful resource in the development of a novel AR inhibitory agent against diabetic complications.

청정해역 울릉도자생약초를 이용한 화장품 약리활성 연구 (Cosmeceutical effect from native medicinal plants of blue belt Ulleung islands)

  • 배해병;김진철;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7-73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anti-wrinkle activities of Ulleung islands plants for application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s Methods : We were experimented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wrinkle activities. Results : I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most Ulleung islands plants i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hydrogen peroxide($H_2O_2$)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All experiment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the Ulleung islands plants ingredients were gradually increased as wel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Ulleung islands plants can be used in natural ingredient in food or cosmetic industry.

눈개승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 윤진숙;신승용;우용시앙;황주영;조재호;하용근;김진기;박민정;이선호;김태훈;김태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3-399
    • /
    • 2012
  • 본 연구는 눈개승마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눈개승마의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이 122 ${\mu}g/g$, 36 ${\mu}g/g$이고 물 추출물이 87 ${\mu}g/g$, 26 ${\mu}g/g$으로 나타났다. 눈개승마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DPPH 활성에 대한 $RC_{50}$ 값은 각각 395 ${\mu}g$와 4,682 ${\mu}g/mL$이였고 ABTS 활성에 대한 $RC_{50}$ 값은 227 ${\mu}g/mL$과 336 ${\mu}g/mL$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2 mg/mL에서 1.58을 보였고 물 추출물에서는 2 mg/mL에서 0.88로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수렴효과는 10,000 ${\mu}g/mL$에서 각각 91.27, 16.35%로 나타났다. 또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한 실험에서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을 100 ${\mu}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생존율이 10% 정도 개선되었으며, 세포내 콜라겐 생합성량은 33% 정도가 증가하였다. 반면 콜라겐 분해와 관련 된 MMP-1의 발현은 동일농도에서 16.8%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눈개승마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주름개선을 효과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천연화장품 소재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우스 악성흑색종세포에서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runcus dioicus Extracts from Ullung Island in Murine Melanoma Cells)

  • 김동희;안봉전;김세기;박태순;박근혜;손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285
    • /
    • 2011
  •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은 멜라닌 합성과정의 기전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tyrosinase 저해제 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발효 전 추출물의 경우 33%, 발효 후 추출물의 경우 45% 저해율을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확인 결과 울릉도 곰취, 미역취, 삼나물 발효 전 추출물이 41%, 발효 후 추출물은 56.5%의 활성 저해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발효 후 추출물이 발효를 하지 않은 추출물보다 미백 효과가 더 뛰어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백 관련 전사 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발효 전 후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tyrosinase, TRP-1과 TRP-2의 단백질 생합성을 두 추출물 모두 억제하였지만, 특히 발효 후 추출물의 경우 단백질 발현량이 더 감소하였다. Tyrosinase, TRP-1과 TRP-2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는 MIT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MITF는 melanin생성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울릉도 발효 후 추출물이 melanin 생성과 관련된 중요한 세 가지 단백질의 생합성을 전사단계에 서 조절 전사인자인 MITF의 작용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울릉도 발효 후 추출물이 MITF의 단백질 발현을 울릉도 발효 전 추출물보다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백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 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하위 신호전달 과정을 억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발효 후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연구를 뒷받침 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외대잔대(Adenophora racemosa J.Lee & S.Lee) 개체군의 classification과 ordination 분석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 지윤의;문병철;이아영;윤태숙;송호경;추병길;김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6-9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distributed in Jeombongsan, Seoraksan, Odaesan and Dutasan in Gangwon-do, Korea. From August 2007 until September 2009, $2m{\times}2m$ quadrate was established in native area of Adenophora racemosa in order to record a dominants and coverage, and soil factors at 22 sites. It was found that the altitude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Angelica gigas population was 800 m or more.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Rhododendron mucronulatum dominant population, Geranium var. hirsutum dominant population, Caret siderosticta dominant population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dominant population. In the site of study,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soil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ex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were ranged from 5.0~7.1, 0.06~0.65dS/m, 0.96~8.94%, 12.3~32.8mg/kg, 0.12~0.89cmol+/kg, 0.34~10.08cmol+/kg, 0.1~l.4cmol+/kg, 0.02~0.29cmol+/kg and 0~8.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CCA,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high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dominant population was situated on low available potassium and high slope degree, Geranium var. hirsutum dominant population was high altitud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 magnesium, and Carex siderosticta dominant population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were distributed on high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백두산 천지와 소천지주변의 희귀식물과 특정식물종 연구 (Studies on Specific Plants and Rare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 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62
    • /
    • 2006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was listed 120 taxa; 31 families, 81 genera, 97 species, 1 subspecies, 21 varieties and 1 form. About endangered wild plants, 2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are in class II. 12 taxa were lis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isporum ovale, Lilium davuricum, Saxifraga punctata, Rosa marretii, Cnidium tachiroei, Bupleurum euphorbioides, Halenia corniculata, Gentiana jamesii, Pedicularis verticillata, etc. 10 taxa were listed as Korean endemic plants; Lilium amabil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Oxytropis anertii for. alba,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Cardamine resedifolia var. morii, Homopteryx nakaiana, Saussurea alpicola, Ligularia jamesii, etc.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7 taxa; 3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Pedicularis verticillata) in class V, 15 taxa (Lycopodium annotinum, Alnus maximowiczii, Saxifraga punctata, Petasites saxatile, etc.) in class IV, 5 taxa (Spiraea salicifolia, Sanguisorba hakusanensis, Acer ukurunduense,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Cacalia adenostyloides) in class III, 18 taxa (Lycopodium chinense, Disporum ovale, Ceo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Betula ermani,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ilipendula multijuga, Geranium eriostemon, Cnidium tachiroei, Ligularia stenocephala, etc.) in class II, 6 taxa (Pinus koraiensis, Cimicifuga simplex,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Senecio nemorensis, Cacalia hastata subsp. orientalis, Cirsium pendulum) in class I. Peculiar flora around Chunji is thought to be mad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temperature and rainfall that influence the plants' growth.

Heat Processing of Edible Plants Grown in Korea Has Differential Effects on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Bovine Brain Homogenate

  • Oh, Sang-Hee;Sok, Dai-Eun;Lee, Kun-Jong;Kim, Mee-R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378-385
    • /
    • 2002
  • Oxidant radicals are implicated as a causal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neurobiological disorders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bovine brain tissue. Fifty five kinds of edible plants grown in Korea were dried either by freeze-drying or hot-air drying (7$0^{\circ}C$), and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by measuring TBARS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in brain homogenates subjected to Fe$^{+2}$_mediated lipid peroxidation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botanical extracts. Heat-drying decreas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ost plant extracts by 10~81%, compared with freeze-drying. However, Aruncus americanus, Ligularia stenocephala, Artemisia princceps var. orientalis, Petasites japonicus and Aster scaber showed very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regardless of processing, with or without heat treatment. The $IC_{50}$/ values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se edible plants were in the range of 0.093~0.379 mg/$m\ell$,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0.79 mg/$m\ell$). Thermal processing of some edible plants enhanced their antioxidant activity.

삼나물 에탄올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흰쥐의 당뇨증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Goat's Beard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 신종욱;이상일;우미희;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39-948
    • /
    • 2008
  • 삼나물 에탄올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쥐의 당뇨증상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C), 당뇨군(DM), 당뇨유발 후 식이에 삼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0.3%를 첨가한 식이군(SA), 당뇨유발 후 식이에 삼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0.6% 첨가한 식이군(SB)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하였다. SA군과 SB군은 NC군에는 미치지 못하였으나, 당뇨로 인해 초래되는 병리적 증상인 체중 감소, 식이섭취량 및 음용수 섭취량의 증가, 식이효율저하, 간장 및 신장 무게의 증가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당뇨쥐의 혈당은 DM군에 비하여 $17.9{\sim}27.2%$를 감소시켰으며 fructosamine의 함량은 $25.6{\sim}32.6%$를 감소시켰다. 또한, 당뇨로 인하여 증가된 alanine aminotransferase(ALT)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활성을 각각 25.6 및 30.3% 감소시켰다. SA 및 SB군은 DM군에 비하여 혈청 중성지질은 $42.37{\sim}55.51%$ 감소, total cholesterol 함량은 $26.85{\sim}30.44%$ 감소, HDL-cholesterol 함량은 $13.01{\sim}17.35%$ 증가, LDL-cholesterol 함량은 $37.29{\sim}39.11%$가 감소하였다. SA 및 SB군의 xanthine oxidoreductase의 total type, O type 및 O/T(%)은 DM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조직 glutathione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 lipid perox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Superoxide dismut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 DM군에 비하여 각각 $56.84{\sim}94.90%$$57.14{\sim}68.92%$를 증가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 삼나물 에탄을 추출물은 STZ로 유도한 당뇨쥐의 고혈당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ROS 생성계를 억제하고 ROS 소거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당뇨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모데미풀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Habitats)

  • 장수길;천경식;정지희;김진수;유기억
    • 환경생물
    • /
    • 제27권3호
    • /
    • pp.314-322
    • /
    • 2009
  • 특산속 식물인 모데미풀의 자생지 식생을 비롯해 환경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데미풀의 자생지는 770~1,440m에 위치하고, 경사는 $0{\sim}20^{\circ}$로 완만하였으며, 주로 계곡부 북사면에 불연속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111종류였다.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27.05%로 가장 높았으며, 모데미풀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분류군으로는 박새 (5.67%), 현호색 (5.32%), 눈개승마 (4.35%), 벌깨덩굴(4.06%), 홀아비바람꽃(3.91%) 등으로 나타났다. 자생지 상층 수목 중 교목층은 층층나무, 가래나무,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아교목층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이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관목층은 물참대와 귀룽나무가 우점하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16이었고,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12와 0.81로 나타났다.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평균 26.41%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7.83%로 나타났고, pH는 5.83으로 확인되었다. 환경특성과 식생 및 토양 분석 결과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는 경사와 pH, 경사와 유기물함량, 우점도와 중요치, 종다양도와 종풍부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우점도와 종다양도, 종다양도와 중요치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차광처리에 따른 산채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 vegetables by shading treatment)

  • 안송희;문정섭;이용문;양진호;김동원;김주;김희준;안민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18
  • 산채는 주로 산지에서 자생하는 것을 채취하거나 자생지와 비슷한 환경의 임간에서 재배하여 수확을 한다. 본 시험은 차광처리를 통해 산지가 아닌 노지에서 산채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상작목은 개미취(Aster tataricus),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datus var. matsumurana), 산마늘(Allium microdictyon),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이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시험장(표고 500m) 포장에서 2017년 4월에 종묘를 정식하여 약 2년간 재배하였다. 고온기인 5월부터 9월까지 35%, 55%, 75%, 95% 차광정도를 달리하여 설치 한 후 시설 내의 기온, 상대습도 등 환경조건 및 재배작물의 고사율, 출현율,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시설 내부의 평균 기온은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다소 낮아졌으며, 상대습도는 점차 높아졌다. 차광정도별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 어수리, 우산나물의 경우는 차광비율에 상관없이 각각 3.6%, 5.7%, 9.8%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단풍취와 산마늘의 경우 차광 비율에 따른 편차가 크지는 않았지만 최대 고사율이 각각 20.0%, 36.8%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눈개승마 75% 차광에서 50.0%, 박쥐나물 35% 차광에서 100% 고사율을 보여 적정 차광비율 선정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정식 2년차 4월 평균 출현율은 개미취 100%, 눈개승마 86.2%, 단풍취 84.3%, 박쥐나물 77.9%, 산마늘 97.5%, 어수리 88.9%, 우산나물 96.3%이었다. 다만 단풍취, 박쥐나물은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출현율이 높아졌고, 어수리는 차광정도가 높아질수록 다소 출현율이 낮아졌다. 또한 생육특성 조사 결과 초장은 단풍취를 제외하고 차광처리별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엽장과 엽폭은 산마늘을 제외한 작목들은 차광이 강할수록 커지는 경향이었다. SPAD 값은 개미취와 산마늘은 처리구역별 차이가 없었으나, 나머지 작물은 차광이 높아질수록 SPAD 값도 커졌다. 시험결과 표고 500m지역에서 개미취, 산마늘, 어수리, 우산나물은 차광수준에 따른 생육의 차이가 크지 않거나 차광이 낮아도 생육이 비교적 양호하였다. 그러나 단풍취와 박쥐나물은 차광정도에 따라 생육의 차이가 분명하였으며, 차광이 높아질수록 생육이 좋아졌다. 이를 바탕으로 산채류 노지재배를 위해서는 연차 간 작목별 생육특성, 수량성, 상품율, 경제적 분석 등의 추가적인 조사가 이루어져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