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s Management

검색결과 1,362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문화재단 설립갈등과 해소방향에 관한 연구 - 문화재단 설립의 정치적 역동성과 설립방향의 다원성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Political Dynamics of the Loca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Pluralism of its Direction of Foundation)

  • 장세길
    • 예술경영연구
    • /
    • 제54호
    • /
    • pp.5-31
    • /
    • 2020
  • 이 연구는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단체와 문화예술인이 문화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현상이 불거지는 이유를 지역사회권력구조의 정치과정에서 찾아보고, 공정성과 다원성의 측면에서 문화재단 설립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재단 설립과정에서 문화단체와 문화예술인이 제기하는 부정적 인식에는 공적 지원에 의존하는 지역문화시장의 이해관계 속에서 자신의 독점적 지위나 생계기반이 깨지고 향후 지원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전라북도에서 문화재단을 설립할 때 불거진 찬반논쟁은 문화재단의 독점에 따른 배제와 소외의 우려가 권력화, 옥상옥, 전문성 결여, 독립성 훼손, 사업소 전락 등의 공론화된 담론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수의 의사가 아닌 소수의 의사에 의해 정책이 결정되면 권력구조의 불균형과 함께 권력의 집중화가 초래될 수 있다. 기존의 독점적 지위를 가졌던 몇몇 단체에 지원이 집중되면서 나타난 불균형 문제가 문화재단 설립을 통하여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크지만, 자칫 소수의 의사에 의하여 문화재단이 설립되고 운영되면 더 큰 불균형과 불평등이 나타날 수 있다. 문화재단 설립 방향에서 '공정성'과 '다원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공정성은 사업 지원에 있어 사회적 자본이나 활동 분야에 상관없이 공정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신뢰에 기반을 둔다. 이를 위하여 문화재단 임원 선정에 있어 무엇보다 공정성 확보에 집중하여야 한다. 다원성은 문화재단의 사업방향과 운영방식이 특정집단에 집중되어 행사되지 않고 다양한 집단에 분산되는 것을 말한다. 문화재단 운영 과정이 투명하고 분권적이고 참여적이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다원적 이익이 실현될 수 있는 사업방향이 마련되어야 한다.

문화예술 경험 요인이 문화예술향유에 미치는 영향 - 미술 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rt Experience on Consumption of Art and Culture: Focusing on Art Exhibition Visits)

  • 이아영;김범수
    • 예술경영연구
    • /
    • 제58호
    • /
    • pp.89-119
    • /
    • 2021
  • 국민의 문화예술향유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예술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및 환경적 요인에 치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로 순수문화예술 영역 내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의 순수문화예술 향유 중 특히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에 6개년의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를 통해 수집된 총 56,58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다원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 간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년간 수집된 빅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개인의 문화예술경험이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전시회 관련 중기 정책의 수립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통한 접근법 - (An Exploratory Study of Indifference toward Fine Arts among Korean Middle-Class through a Ground Theory Method)

  • 박민권;현은정
    • 예술경영연구
    • /
    • 제52호
    • /
    • pp.5-37
    • /
    • 2019
  • 문화 향유/소비 패턴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순수예술에 대한 무관심함 자체를 독립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현상으로 여기지 않는다. 다시 말해, 그 동안 문화예술에 대한 연구자들은 "무관심"은 독자적인 분석 카테고리로 혹은 설명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 하지 않고, 단순히 선호취향(likes)이나 향유(engagement)의 반대급부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향유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선될 기미를 보이고 있지 않은 순수예술에 대한 무관심을 그 자체로 설명되어야 하는 일종의 사회적 현상(social phenomenon)으로 규정한다. 특히, 문화예술소비에 대한 전통적 이론에서는 설명하고 있지 못한, 국내 중산층(middle-class)에서 나타나고 있는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주목한다. 국내 중산층에서 보여 지는 순수예술 무관심의 원인과 사회적 맥락을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시도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분석적 접근법을 활용했다. 중산층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15명의 순수예술 무관심층과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내용을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고학력(대학 졸업 이상) 중산층들의 순수예술에 대한 무관심은 기본적으로 예술적 취향과 향유능력의 부재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관심의 양상을 무조건적 거부 혹은 조건적 수용으로 구분하였는데, 순수예술의 효용성과 가치에 대한 개인의 선행 인식과 개인의 환경 여건에 따라, 이들이 향후 순수예술 소비/향유에 대한 의사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순수예술 무관심이 발생하게 된 배경에는 국내 대중문화 시장의 발달과 순수예술의 상징적 자본성(symbolic capital)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순수예술 무관심 현상에 대한 국내 최초의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이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를 촉발하리라 기대된다.

CollectiveAccess를 활용한 지역예술단체 디지털 아트 아카이브 구축 - J미술협회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Digital Art Archives Using CollectiveAccess for Local Arts Organization : A Case of J Art Association)

  • 박준형;박지원;한희영;정지나;김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3-331
    • /
    • 2017
  • 지역예술단체는 공연, 전시, 공모전, 축제 등 지역 내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고 지역예술가의 정보 공유의 장, 신진예술가 발굴 및 지원 등 지역의 문화예술활동을 주도하며 오랫동안 지역 사회의 예술문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지역예술단체 기록은 과거와 현재의 지역문화예술의 수준과 가치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기록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산된 지역예술단체의 기록은 이용자의 관심과 요구가 높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전시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개소프트웨어인 CollectiveAccess를 기반으로 지역예술단체 디지털 아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지역예술단체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전시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등학교 도자공예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 Plan for Education of the Ceramic Art and Crafts in the Middle School)

  • 유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09-514
    • /
    • 2014
  • 한 시대의 삶과 문화를 담고 있는 도자공예는 우리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중의 하나로써 한국의 미와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역사적 관점에서도 도자공예보다 긴 전통을 소유한 문화재는 없으며, 쓰임새도 도자공예처럼 우리 주변에 널리 분포하는 기물(器物)은 없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대부분이 도자공예에 관해 감상 작품만을 예시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도가 불가능하며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도예기법을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교과서 전통문화 수용방식의 특징은 전통문화가 교육내용의 중심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주변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고,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등학교 과정에서 도자공예의 중요성을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도자공예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이해하고 평면과 입체 표현을 통하여 조형미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이런 다양한 이해와 경험을 자신의 삶 속에서 새롭게 표현해보고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도예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외식산업의 윤리경영에 대한 종사원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n Ethics Management of Employe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 정효선;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8-69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ethics management in foodservice industry and its employees’ recognition on corporate ethics management.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42 employe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hi-squar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ployees consider the corporate ethics management to be very important and it has been much more improved in foodservice industry. However, they are still skeptical about the continuous and consistent practice of ethics management. In addition,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ethics management was regarded to be critically important to improve the value and the culture of the corporation. It also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ethics management in foodservice industry has been affected by the work environment of the whole society too. The result concluded that the taking the initiative by CEO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ntroducing the ethics management, while the propagation of ethics management requires the volition of the employees inside the corporation.

호텔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이 종사원의 만족과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up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 in the Deluxe Hotel)

  • 정효선;윤효실;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8-95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up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 at deluxe hotels.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with a survey administered to 310 employees, and adequate fit to the data was provided ($x^2=934.651$ (df=221), GFI=.816, NFI=.836, CFI=.869, RMSEA=.098).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 integration ${\beta}=.182$) showed a significant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However, personal feedback (${\beta}=-.263$), supervisory communication (${\beta}=-.260$), and organization integration (${\beta}=-.342$) had significant (-) effects on turnover intent. Employee job satisfaction (${\beta}=-.124$)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employee turnover.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문화도시 요인이 도시정체성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al City Factors on Urban Identity and City Brand Equity)

  • 유윤형;최명길;정재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3호
    • /
    • pp.89-108
    • /
    • 2021
  • The value of culture receives the attention of the world in order to solve urban problems and revitalize cities. Cultural city policies are implemented in Korea and EU to revitalize cities by utilizing cultural values. Although the cultural city policy is effective for urban regeneration, it has not been verified whether it h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urban identity and customer-based city bran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and cultural artistry, which are resources of a cultural c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urban identity, and whether urban identity affects the brand recognition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a city.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08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6 copies of them, excluding 2 copies of insincere answers. The infrastructure and cultural artistry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specificity of urban identity, social system and growth potential. Cultural specificity of urban ident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ity brand equity. In the case of the social system and growth potential of urban ident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quality, but in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brand awarenes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or cultural city policy implementation and city brand management.

식생활 관련 변인들이 실과 식생활단원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 허향련;이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9-72
    • /
    • 200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ctor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 units in the Practical Arts : factors such as gender. family and home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interest in attitude toward. and encouragement by mother in meal management. The factors were surveyed for 453 grade four elementary students (226 boys and 227 girls) and their mothers in Busan. The extent of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of interest. of attitude. and of the mother's encouragement was broken into three groups. Upon completing the 'Table Setting with Fruits'unit. the students'academic achievemen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s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irls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more frequently than the boys. Most of the children exhibited a high interest. the girls showing a higher interest than the boys. Both sexe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eal management. Mothers encouraged girls more often than boys to manage meals at home. 2.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ir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Children living in apartments and more affluent environments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were less well off and living in independent households. 3. Those who frequently participated in meal management. exhibited a high interest. and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t. achieve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showed a lower interest. less positive attitude. and only occasionally participated in it. 4. Those who were encouraged frequently to manage meals by their mother showed a tendency to score higher than those who wee encouraged only occasionally. In conclusi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in Practical Arts was affected by gender. domestic economy. type of residence. participation in meal management in the home. interest in it. attitude toward it. and encouragement in participation by the other. Thus academic achievement in food. nutrition. and meal management is dependent upon both the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Children would learn more in the 'Food and Nutrition'units when their parents set a positive and encouraging environment in the home.

  • PDF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 박소라;김선영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21-1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