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Art Experience on Consumption of Art and Culture: Focusing on Art Exhibition Visits

문화예술 경험 요인이 문화예술향유에 미치는 영향 - 미술 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

  • 이아영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김범수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1.04.12
  • Accepted : 2021.05.24
  • Published : 2021.05.31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ople's enjoyment of pure culture and arts, especially art exhibitions. We use 56,588 sample data from the "The Survey of Cultural Enjoyment"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Cultrure, Sports and Tourism over the last 10 years and perform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Way ANOVA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s cultural experience on art exhibit visi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ven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s club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rt exhibition visits. We also identify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number of visits to art exhibitions was higher for groups who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s even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clubs. This study provides a first empirical analysis on personal factors influencing art exhibition visits in Korea and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in developing a comprehensive predictive model for cultural art visits. In addition, we give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specifically, mid-term policies related to promoting art exhibition visits as an extension of individual's engagement with pure culture and arts through big data analysis.

국민의 문화예술향유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예술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및 환경적 요인에 치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로 순수문화예술 영역 내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의 순수문화예술 향유 중 특히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에 6개년의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를 통해 수집된 총 56,58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다원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 간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년간 수집된 빅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개인의 문화예술경험이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전시회 관련 중기 정책의 수립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은자(2012), 유년기 문화활동 유형이 성인기 문화활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2(1): 93-101.
  2. 김동일(2007), 사회적 행위자로서의 미술관에 관한 사회학적 시론, 「미학 예술학 연구」, 25: 361-386.
  3. 김세훈.김형석.박만용.안이영노(2004),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4. 김승혁(2019), 문화예술활동과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51: 35-73.
  5. 김은진(201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음악 테크놀로지 기반 수업의 학습효과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태형.김미현.여관현.문동진.홍준현.이유진.진상현(2015), 서울시민의 문화향유 유형에 관한 연구: 문화환경 만족도와 문화향수 수준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1-28.
  7. 김혜인(2016), 「예술소비환경 및 특징 분석을 통한 예술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8. 나보리.나은(2019), 문화예술향유활동 만족도 연구-관람과 참여를 구분하여, 「한국예술연구」, 26: 323-346. https://doi.org/10.20976/KJAS.2019..26.014
  9. 문화체육관광부(2012), 「2012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0.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4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1.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2.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8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3.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4.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15. 류태건(2008), 7개 광역시 문화발전 비교: 지역주민들의 문화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1(1): 65-84.
  16. 류희진.허식(2018), 시기별. 활동별 문화자본에 따른 순수예술 관람수요 결정요인 분석: 전시예술과 공연예술간 비교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32(2): 87-113.
  17. 맹영임.김민.임경희.정미나(2005), 청소년 문화예술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333.
  18. 박난영(2008), 미래관객 개발을 위한 극장 무용교육 사례연구-뉴욕 심포니스페이스 극장 CAP 사례 중심으로, 「우리춤과 과학기술」, 6: 207-228.
  19. 박지현.신형덕.현은정(2019), 전시 무료입장 정책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시기대와 접근성의 차별적 영향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8(1): 33-52.
  20. 박혜련.허식(2017), 문화예술영역의 수요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예술경영연구」, 44: 69-93.
  21. 배영(2013), 여가 활동에서 문화 콘텐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클래식, 뮤지컬, 영화 관람에 대한 개인속성요인과 문화자본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4(1): 73-100. https://doi.org/10.22862/KJSR.2013.14.1.003
  22. 성연주(2018), 성인기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향유 확대: 장르별 차이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0(3): 287-310.
  23. 성제환(2012), 문화 소비자본이 문화.예술상품 수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15(1): 67-93.
  24. 신선영.윤태진(2016), 여가로서의 발레, 예술로서의 발레: 취미발레 여성수강생들의 예술실천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31(1): 71-114.
  25. 심보선.강윤주(2010), 참여형 문화예술활동의 유형 및 사회적 기능 분석: 성남시 문화클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34-171.
  26. 안지연.윤지혜.옥채원.박정민(2016), 대학생 단기 해외자원활동 경험의 의미-문화 예술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30: 119-144.
  27. 양혜원.김면.차민경.김현경.노수경(2020), 「코로나19가 문화예술분야에 미친 영향 및 정책대응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8. 이명표(2002), 한계효용이론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전문경영인연구」, 5(1): 263-288.
  29. 이샛별(2016), 관람체험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구조적 고찰, 「예술경영연구」, 40: 33-62.
  30. 이은우(2016), 문화예술 상품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문화산업연구」, 16(2): 69-78.
  31. 이용관.장구보(2012), 공연관람객 구조 비교를 통해 본 관객개발 방식, 「예술경영연구」, 21: 61-89.
  32. 이호영.장미혜(2008),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 42(1): 62-95.
  33. 정광호.최병구(2006). 문화격차 분석과 문화바우처 정책설계, 「지방정부연구」, 10(4): 63-89.
  34. 정철현.황소하(2010), 예술마케팅 기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문화향수 확대 방안, 「서울도시연구」, 11(1): 211-225.
  35. 최석호(2011), 「문화향수실태조사와 국민여가활동조사의 통합 및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6. 최영섭.김민규(2000), 한국인의 문화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일 고찰, 「문화정책논총」, 12: 229-260.
  37.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20), 「문예연감 2019」.
  38. 현은령(2012),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성공사례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10: 257-267.
  39. 홍윤미.이명우.윤기웅(2015),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17(1): 185-211.
  40. 황진영.한정민.강혜승(2016), 방문결정요인이 관람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 사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57: 352-362.
  41. Holbrook, M. B., & Hirschman, E. C.(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32-140. https://doi.org/10.1086/208906
  42. Jackson, M. R.(2008), Art and cultural participation at the heart of community life, Understanding the arts and creative sector in the United States, 92-104.
  43. Stevenson, D., Rowe, D., & McKay, K.(2010), Convergence in British cultural policy: The social, the cultural, and the economic,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40(4): 248-265. https://doi.org/10.1080/10632921.2010.500926
  44. Smith, J. K., & Wolf, L. F.(1996), Museum visitor preferences and intentions in constructing aesthetic experience, Poetics, 24(2-4): 219-238. https://doi.org/10.1016/0304-422X(95)00006-6
  45. Throsby, D.(2010), The economics of cultural poli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