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s Exhibit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예술 전시에 활용 가능한 AI 알고리즘 연구 : 챗봇 모델 개발 및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AI Algorithm that can be used to Arts Exhibition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Chatbot Model)

  • 최학현;윤미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69-381
    • /
    • 2021
  • AI(인공지능) 기술은 전시 기획, 현장 진행, 평가에 이르는 예술 전시 준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AI는 전시 기획과 안내 서비스 분야부터 예술 창작의 도구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와 AI 기술의 융합을 정보와 서비스 제공에 활용하는 챗봇을 중심으로 고찰해보았다. 더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네이버 클로바 챗봇 제작툴과 국립현대미술관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시 서비스용 챗봇 개발(연구설계)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모든 정보가 아닌 관람과 전시로 정보를 한정하였으며 버튼을 통해 원하는 답변을 얻는 시나리오 방식과 직접 질문을 입력하는 텍스트 Q&A 방식을 제공하는 챗봇을 개발(모델 및 평가)하였다. 엘리자(ELIZA)의 챗봇 평가 척도에 따라 여섯 가지 항목으로 챗봇을 평가해본 결과 5점 만점에 4.2점이 도출되었고 관람, 전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챗봇 개발(연구모형)을 완성했다. 개발한 챗봇에 연속적인 시나리오 답변 연결과 텍스트 Q&A형 답변 실패 및 오류 해결 및 추가 서비스 확대를 통해 실제 예술 전시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완벽한 챗봇 모델을 제작하는 것을 향후 연구 과제로 삼는다.

미술관 전시공간의 관람자 행태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Character Element of importance of Visitors in Museum Exhibition)

  • 황유경;최준혁;박무호;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1-76
    • /
    • 2002
  • The purpose of exhibition at museum is to provide the space of aesthetic interpretation of arts for visitors as well as performing the role of communications characterized by various elements. Such elements as visual, spacial and physical factors influence the visitors movement directly, o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arts and these elements would be important for design of space, on considering of promo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exhibition and visitors. Visitor's movement would be influenced by the property of the art materials, the space shape and the situations of environments, and these elements are important to plan the design of exhibition on muse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arly stage's points of factors and to standard in basic level for visitors behaviors, through surveying the visitors movement in the museum and analysing the space, 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of ar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of art materials exhibited.

  • PDF

문화예술 경험 요인이 문화예술향유에 미치는 영향 - 미술 전시회 관람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rt Experience on Consumption of Art and Culture: Focusing on Art Exhibition Visits)

  • 이아영;김범수
    • 예술경영연구
    • /
    • 제58호
    • /
    • pp.89-119
    • /
    • 2021
  • 국민의 문화예술향유가 확대됨에 따라, 문화예술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증연구는 인구통계학적 및 환경적 요인에 치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로 순수문화예술 영역 내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의 순수문화예술 향유 중 특히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에 6개년의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결과를 통해 수집된 총 56,588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다원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 간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문화예술행사,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동호회에 모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미술전시회 평균 관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년간 수집된 빅데이터를 취합 및 분석하여 개인의 문화예술경험이 미술전시회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술전시회 관련 중기 정책의 수립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업무 전담제'를 통해 살펴보는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기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New Paradigm in exhibition organiza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 최은주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3호
    • /
    • pp.67-84
    • /
    • 2005
  • Since the evaluation of its intellectual activities and abilities is done by curator's capabilities, planning exhibition is very important as the final result achieved by their own knowledge, information, and research. ARPA(Advanced Research Project on Arts) is suggested as the system which enables curators responding simultaneously to the society in the times, based on its special characteristics. If this system settles well, which means that the curators at NMCA(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play their roles as the professionals in each of their fields, the goal of consolidating the status of museum as th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 and building up competent department of curators, will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To clarify above, the curators set up the various assignments of research about the types of arts such as painting, Korean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new-media, design, craft, photogarphy, architecture, etc. And they establish the art objects classified by the regions, such as the Northern American, Southern American, European, Asian, and other Third World countries. They elaborate art objects more on the history, the work, the artist, and the issue of contemporary art. Furthermore, when the curators devote deeper study to those research subjects, they can have the opportunities to design an exhibition upon the research. Today, the museum of art is 'The Place for Communication and Encounter', it is regarded important to share the aesthetical, creative values with current artists, and to understand mutually with the spectators. It is needed to improve the curator's work,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even to advance. Because the form of 'exhibition' is the tool that reveals the identity NMCA aiming at, the motiv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realization should be leaded by the curators, who are the mainstream of the museum. ARPA is a system for identifying the exhibition like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duce synergy effect, having the researching, collecting work in liaison with planning exhibition. ARPA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exhibition through the way of developing the exhibition, passing through the stable process in the long run. So far, I have referred to a new paradigm of the exhibition design at NMCA via ARPA. Yet, there still remain missions in reality, such as analyzing the previous exhibition and reshuffling personnel and system, which should be done. When these matters settled, these plans would be suggested practically. At this point, it is the most significant that NMCA is attempting to let others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research. when the ARPA and exhibition planning is conjoined together successfully, the competent exhibition will be achieved, which can offer a meaningful exhibition to the art world, strengthen infra structure thru exchanging with public museum in the region, and eventually, establish a network with museum in foreign countries.

  • PDF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 박소라;김선영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21-1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Discourse Analysis of News Coverage about Chosun Art Exhibition in the Japanese Occupational Era)

  • 유진환;이창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4권
    • /
    • pp.5-31
    • /
    • 2011
  • 이 논문은 1922년부터 1944년까지 열렸던 조선미술전람회에 대한 신문보도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조선미술전람회는 일본의 식민지배하에 있는 조선 미술의 낙후성과 미개함을 강조하고, '지방색'만을 강조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열등한 정체성'과 일본의 '우월한 정체성'을 차별적으로 확인하게 만드는 수단이 되었다. 아울러 서양은 발전된 현재이고 동양은 과거에는 발전했으나 현재는 정체된 것으로 바라보는 오리엔탈리즘의 기본 시각이 재현되어 조선의 미술문화를 쇠락(衰落)한 지방문화쯤으로 치부하고 있다. 일제하 총독부 신문이었던, 매일신보에 대한 담론 분석결과 한편으로는 식민지 조선을 중앙(일본)의 연장선상에 있는 '지방(내지)'으로 편입하는 '동화주의적' 측면을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화된 일본과는 구분되는 미개한 일개의 '지방(외지)'으로 차별화하는 '배제주의적' 측면을 갖고 있었다. 동아일보의 경우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도, 조선 미술의 자존심을 지키려는 방식으로 기사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혼종적인 보도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 PDF

Determinants of Positive Word of Mouth for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on Web-based Virtual Reality

  • Han, Jingyi;Zhu, Zong-Yi;Kim, Hyeon-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37-147
    • /
    • 2021
  • We aims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visitors' positive word-of-mouth (WOM) in a web-based virtual reality contemporary art exhibition. We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3 realms of experience (entertainment, esthetic, escapist) on emotional arousal, how this emotional arousal affects memory and positive word-of-mouth, how memory affects positive word-of-mouth and how age moderate all of the paths. We examined a total of 297 visitors and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cusing on Chinese users of ages 20-49.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ntertainment and esthetic have an effect on emotional arousal, but escapist did not. The results also showed emotional arousal has an effect on memory and positive WOM. Memory did not affect positive word-of-mouth. Finally, age has a moderate effect on all the paths, except for the path form escape towards emotional arousal and memory to positive word-of-mouth.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exhibition research. While, it also will be helpful to segment the web-based virtual reality art exhibition visitors by dividing into 3 groups (20s, 30s, 40s) and to provide marketing and operation strategies.

Exhibition support contents creation at large exhibition museum

  • Kim, Dae-Woong;Lee, Joong-Youp;Hoshino, Koush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3호
    • /
    • pp.38-47
    • /
    • 2011
  • The present research has created and evaluated contents capable of work appreciation visitors changing their viewpoints on their will by introducing mobile exhibition exposition devices (iPad) for large exhibition museum. Various exposition contents of usually invisible parts or thos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user positions drew visitors' attentions and improved museum experience satisfaction. Utilization of digitalized exhibition information generated activeness in viewing and new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 and a visito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exhibition exposition.

가상현실에서의 컨템포러리아트 전시 구축 방법론 연구 -세컨드라이프 내 가상미술 전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Building a virtual art exhibition including various sha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in Second Life)

  • 박주희;김정화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46-1251
    • /
    • 2009
  • 세컨드라이프는 온라인 멀티유저 가상공간으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는 목소리와 텍스트를 통해 사용자간의 대화를 하며,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고, 새로운 형식의 가상물건을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 회화, 퍼포먼스, 설치 예술,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을 가상미술전시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세 컨드라이프에서 컨템포러리아트 전시를 만들 때의 기술적인 한계와 가상화된 작품과 인간과의 인식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