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cular disc of TMJ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81초

자성백서의 난소절제시 악관절 변화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THE HISTOLOGIC STUDY OF THE RAT TEMPOROMANDIBULAR JOINT CHANGE FOLLOWING OVARIECTOMY)

  • 정회수;김경욱;이재훈;김창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20-130
    • /
    • 1999
  • This investigation studied the effect of ovariectomy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of rat. Forty female Sprauge-Dawley strain white rats, each weighing about 200grams were us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group was performed ovariectomy, and the other was performed sham operation. Both group were killed at the intervals of 3 days, 1, 2, 4, and 8 weeks postoperatively, paraffin section were stained with H&E, MT and histomorphometric study of the TMJ was performed in a synchronous manner with an sham operated control group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t 4 weeks after ovariectomy, an adhesion between the inferior surface of the articular disc and the condyle was observed in the central portion. At 8 weeks after ovariectomy, a focal thickening of the bone (osteophyte) was observed in anterior portion and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the trabecular bone in the posterior region. 2. The thickness of cartilage zone was increased at 2 weeks postopratively in the central portion, and decreased at 4 weeks postopratively in the posterior portion. The thickness of transitional zone was decreased at 1 week postoperatively in the anterior and proliferating zone was decreased postoperatively. The thickness of articular zone was decreased at 3 days postopratively in the anterior portion, and decreased at 1 week postoperatively in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above finding, we could conclue that estrogen deficiency in rats causes alteration of TMJ in marked early stage.

  • PDF

중령에 따른 측두하악관절내 탄력섬유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Histological Study on Age Changes of the Elastic Fibers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 Icr Mouse)

  • Jin-Pyo Lee;Jung-Pyo Ho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9권1호
    • /
    • pp.125-136
    • /
    • 1994
  • Observation of elastic fiber's change of mouse TMJ due to several round factor, principally external stimulations, their influence on the TMJ structure's change and the analize of the consecutive evolution of the disease in most important. So, the author believe that the factor of TMJ feature is the elastic feature's change and it's the principal factor of the TMJ disease. For observation of the increase and disposition of elastic fiber that to regulate the elastic feature of tissue and allow it existence. For this propose, observation with histologic methods on 20mouse ICR of 3 days, 1 week, 2 weeks, 3 weeks and 4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the early stage, the condyle of TMJ is originated from cartilage mass, and it's calcification is endochondral. 2. In the early stage, the disc is relatively thin and immature, but in the later stage the fiber is dense and the disposition is most functional. 3. Observation of the early stage, the elastic fiber is a thin fiber that to across antero- posterior direction, but in the later stage elastic fiber are developed, the disposition that in the early stage was perpendicular to articular surface, now in parallel. 4. The elastic fiber was observated most clearly in the retrodiscal tissue. 5. In conclusion, the elastic fiber is observed like a thin fiber 1 week from born, but the fiber to increase the weight and it dispose functionally, and 4 week from born, it can realize the normal function.

  • PDF

턱관절 질환 치료 시 Sodium Hyaluronate의 효과 (EFFECT OF SODIUM HYALURONATE IN TREATING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 문철웅;김수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62-267
    • /
    • 2006
  • The term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s used to describe a group of conditions that involve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sticatory muscles, and associated structures. Many modalities have been proposed for treat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cluding medication, physical therapy,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s with or without manual repositioning, surgery, and arthrocentesi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re treated in a step-wise manner. Initially, conservative treatment is used. Depending on the response, more aggressive interventions may be necessary. This usually takes the form of arthrocentesis. Arthrocentesis is used in the treatment of not only acute, closed, and locked TMJs but also various othe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ecently,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after arthrocentesis was shown to have long-term palliative effects on TMJ symptoms. Synovial fluid consists of plasma and glycosaminoglycan, including hyaluronic acid derived from synovial cells. Sodium hyaluronate, the sodium salt of hyaluronic acid, is a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 and a major component of synovial fluid. This highly viscous substance has analgesic properties, lubricant effects,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it causes cartilage formation and plays a role in the nutrition of avascular parts of the disc and condylar cartilage. We conclude that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is effective for treat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관절 주변인대 질환의 초음파영상 (Ultrasounds Image on the Disorders of the Ligaments Surrounding Temporomandibular Joints)

  • 홍수민;임영관;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87-394
    • /
    • 2008
  • 목적 :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고가의 자기공명영상 진단을 대신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진단방법으로 고해상도 초음파 영상을 도입하는데 있어서 그 정확성과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측두하악장애의 임상적 증상 중 과두걸림, crepitation과 함께 통증을 호소하는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고해상도 초음파 촬영을 시행하였고, 고해상도를 가진 초음파촬영시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사선 사진인 측두하악관절의 횡두개 촬영을 Accurad X-200으로, 그리고 Dental CT를 촬영하였으며, 이를 임상소견과 더불어 비교항목으로 선택하였다. 고해상도 초음파의 진단학적 가지 평가를 위하여 통계학적으로 감수성, 특이성, 양성예상치, 음성예상치 및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 고해상도의 초음파 영상은 골관절염성 변화를 진단하는데 67.5%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관절원판의 위치변화를 진단하는데 92.5%를 보였으나, 관절 주변조직인 관절낭, 관절원판 후조직 그리고 주변 인대의 이상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55%를 나타내었다. 결론 : 향후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적절한 기기의 발전과 고주파수의 transducer 등이 개발되고 시술자의 훈련과 경험이 쌓이게 되면 매우 우수한 그리고 비침습적이고 접근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진단학적인 검사방법으로서 일반적인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서 하악골의 기능적 전방위가 악관절 원판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K OF RAT FOLLOWING POSTURAL HYPERPROPULSOR)

  • 장병천;경희문;성재현;배용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7-932
    • /
    • 1994
  • 백서에 있어서 기능적 전방위 장치가 악관절 원판에 미치는 변화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4주령 부터 3주간 및 4주간 기능적 전방위 장치를 장착한 후 백서의 악관절 부위를 적출하여 광학 및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의 소견을 얻었다. 실험 2주군에 있어서 악관절 원판의 전방부 및 후방부 두께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 4주군에 있어서 악관절 원판의 두께는 전방부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광학 현미경 소견에서 2주 및 4주실험군의 전방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섬유아세포의 밀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 소견 2주군에서 내강이 확장된 RER이 대단히 잘 발달하여 collagen등 세포외 물질의 합성이 왕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내강이 확장되지는 않았으나 RER이 발달하고 free ribosome이 발달되어 세포내 세사의 합성이 활발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전형적 인 chondroid cell이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전방부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내강이 확장된 RER이 발달된 섬유 모세포들의 비율이 높았다. 4주 실험군에서 전방부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세포밀도가 높았으며 RER 및 free ribosome이 발달된 섬유 모세포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하악골의 기능적 위치 변화는 관절원판의 부위에 따라 기계적 부하를 변화시키며, 결과적으로 세포수준에서 이에 적응 혹 대응하므로써 형태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측두하악관절 장애에 대한 임상진단의 유효성 연구 (EVALUATION OF CLINICAL METHODS IN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 COMPARISON STUDY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김형욱;신성수;김종식;김기영;김윤지;홍순민;천세환;박양호;최원철;박준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4호
    • /
    • pp.367-374
    • /
    • 2007
  • Purpose: The diagnostic relevancies and characteristics and of clinical methods in the diagnosis of internal derangement(ID) were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m with thos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Methods: 75 patients(150 temporomandibular joints; TMJs), who were suspected to have ID by clinical diagnoses, were included. Clinical diagnoses including mouth opening pathway and TMJ sound were conducted and MRI takings were done. Accuracies, sensitivities, specificities, positive predictive values,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clinical diagnosis, mouth opening pathway, and TMJ sound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diagnoses with MRIs. Results: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linical diagnosis were 59.3%, 83%, 49%, 81%, and 51%. They were 59%, 82%, 25%, 73%, and 35% for mouth opening pathways. Although deviation was somewhat accurate for representing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ADDWR), other discrepancies on opening pathways were not clinically relevant.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licking sounds were 85%, 49%, 78%, 85%, and 37%. TMJs with crepitus were only three. But all TMJs with crepitus were diagnosed to have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ADDWOR). Conclusion: When compared with diagnoses with MRIs, clinical diagnoses for ID were not so accurate. But they were suitable for screening tests for ID. Opening pathways and TMJ sounds were not so relevant in the diagnoses of IDs and so it was concluded that considerations for other factors must be included in the diagnoses of IDs.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환자의 교합력, 교합 접촉 면적 및 교합압 (Bite Force, Occlusal Contact Area and Occlusal Pressur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 김기서;최종훈;김성택;김종열;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65-274
    • /
    • 2006
  •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그 중에서도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DwR)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측두하악관절 질환으로, 저작 능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져 왔다. 저작 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수단으로 최대 교합력의 측정이 널리 통용되어져 왔는데, 과거 많은 연구자들이 측두하악장애(TMD)와 교합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피험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측정 방법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통일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통증이 교합력 및 저작능력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와 저작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와 저작 능력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개구시 무통성의 관절음을 보이는 환자 39명 및 대조군 59명을 대상으로 최대 교합력, 교합 접촉 면적 및 교합압을 감압필름법(pressure sensitivie film)을 이용하여 분석,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최대 교합력(P < 0.01) 및 넓은 교합 접촉 면적(P < 0.05)을 나타내었다. 2. 단위 면적당 평균 교합압은 대조군과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환자군 간에 있어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3. 남녀간의 차이에 있어서, 정복성 관절원판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교합압을 나타내었으나(P < 0.05), 평균 교합압과 교합 접촉 면적은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측두하악관절의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가 교합 기능을 변화시키는 한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저작근 활성도 측정을 병행함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교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가 통제된 보다 대규모 환자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자가 수조작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icacy of Self-manipulation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 김주식;이채훈;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41-447
    • /
    • 2007
  • 악관절 내장증은 관절과두와 관절원판이 이루는 복합체의 기능적 관계가 파괴되어 관절원판이 변위되는 것이다. 관절원판의 변위는 전내방으로의 변위가 가장 흔하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와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로 나뉘어진다. 악관절 내장증환자의 치료로는 교합안정장치,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법을 우선 고려하여야 하고, 충분한 기간 동안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 외과적 처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악관절 수조작술은 앞서 언급한 보존적 치료법들과 함께 시행하는 보존적 술식으로 전방으로 변위된 관절 원판의 정복을 도모하고, 원판후조직의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한다. 전통적으로 Farrar의 방법을 널리 이용해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성공적 임상 사례들이 보고된 바 있고, 그 밖에도 몇몇 수조작법들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법은 술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환자가 병원에 내원할 경우에만 시행할 수 있어 수조작법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환자가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Minagi, Mongini, Suarez 등은 환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수조작법을 소개한 바 있으나, 전통적인 수조작법과 비교한 자가 수조작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Minagi, Mongini, Suarez 등에 의해 소개된 환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수조작법을 보완하여, 임상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자가 수조작법을 소개하고 내원한 환자에 대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실시하는 전통적인 수조작법과 환자의 교육을 통해 환자 자신이 일상에서 시행하도록 한 자가 수조작법이 악관절 자기공명영상검사로 확진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인한 개구제한 환자들의 치료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구강내과에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중 개구제한이 관찰되고 악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가 확진된 뒤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교합안정장치 및 수조작법을 시행하여 치료가 종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함께 호소하였고, 이에 따라 치료의 종결은 개구량의 증가와 더불어 환자의 주관적 불편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 내원을 중단할 수 있을 때로 결정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토대로 치료기간, 개구량의 증가, 주관적 증상의 개선 정도를 수조작법의 종류에 따라 후향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과 변형된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quared test, Mann-Whitney U-test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 개구량이 40 mm 이상으로 증가한 환자의 분포는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42.9%)보다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69.9%)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치료기간에 있어서는 치료의 종결 시점을 40 mm이상의 개구량이 확보되고 환자가 초진시 호소한 주관적 불편감이 해소된 때로 하였고, 이에 따라 치료가 종결된 환자의 치료기간은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61.0{\pm}38.0$ 주)보다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29.2{\pm}12.3$ 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짧았다. (p<0.01) 결론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인한 개구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자가 수조작법의 시행은 환자가 수조작법을 교육받고 정해진 바에 따라 매일 시행하는 치료과정을 통해 개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통적인 수조작법에 비하여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과두흡수가 있는 환자의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 (Lateral Cephalometic Assessment in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 허윤경;박효상;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37-346
    • /
    • 2006
  • 이 논문은 2년 동안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를 턱관절 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에 과두흡수가 있는 환자들로서 자기공명영상, 파노라마, 측방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들을 모두 촬영한 34명의 환자들만 선택하여, 측방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과두흡수와 안면부 골격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 조사하였고, 전치부 개교합이 동반된 군과 개교합이 없는 군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또한 자기공명영상으로 과두흡수와 관절원판변위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과두흡수가 잘 발생될 수 있는 환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졌다: (1) 34명중 1명만이 남자로 여자가 대부분이었다, (2) 연령대는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가능하나 10대와 20대에서 발병률이 높았다, (3) 환자들은 높은 하악하연각과 높은 하악각을 가졌다. (4) 하악지의 높이는 작게 나타났으며, (5) 전악각 함요(antegonial notch)가 대체적으로 저명하였다, (6) 구치부 교합은 Angle's Class I 관계가 많았으나, ANB각도는 평균 5.54도로 하악의 후퇴를 나타내었다. (7) 과두흡수는 하악하연각이 낮은 경우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8)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개교합이 동반된 군이 개교합이 없는 군보다 hyperdivergent한 골격형태를 가졌다, (9) 자기공명영상사진에서 과두흡수는 대부분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와 연관되어 있었다. 수직적 골격성장이 큰 경우 관절원판 전방변위와 과두흡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하악 후방 견인력이 성장기 유견의 하악과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NDIBULAR RETRACTIVE FORCE ON THE MANDIBULAR CONDYLE OF GROWING YOUNG DOG)

  • 임용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63-379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mandibular retractive force on the mandibular condyle of growing dog.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ix mongrel dogs of two-month old. Their deciduous dentition were completed. Two of them was used a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remaining four. Head band and chin cup were made of cotton tape, and hooks are fabricated on the chin cup and had band for closed coil. Mandibular retractive force was 100g/side and chin cap appliance was used for 14 hours/day during night. Experimental group were sacrificed at 2, 4, 6, 8 weeks from beginning of the experiment. Right TMJ was prepared for histologic study and left TMJ was examined grossly for disc, fossa, and condyle. The conclusions are: 1. Two-month old control animal showed active cartilaginous growth on the mandibular condyle, therefore showed thick proliferative and hypertrophic zones. Remodeling process in the condyle head was observed in which there were bone resorption on the anterior surface and bone apposition on the posterior surface. 2. Four-month old control animal showed marked reduction of hypertrophic zone but the condylar bone remodeling was more pronounced. 3. In experimental group, there are marked reduction of hypertrophic zone at 4 weeks from beginning of experiment, and hypertrophic zone disappeared at posterior-superior portion of condyle in 6-week experimental animal. 8 week experimental animal showed slight recovery of hypertrophic zone. 4. In experimental group, bone deposition was increased at anterior surface of condyle, and bone resorption was increased at posterior surface of condyle. 5. In control group, the glenoid fossa and surrounding bone showed mainly bone apposition. But experimental group showed bone resorption at anterior surface of articular eminence and increased bone apposition at posterior surface of postglenoid spine. 6. No marked traumatic change was seen but 4 weeks and 8 weeks experimental animal showed flattening of posterior surperior condylar surface. Bone marrow of condyle showed minute focal bleeding in 2 weeks and 4 weeks experimental animal, and congestion and depression of hematopoietic bone marrow during all experimental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