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icacy of Self-manipulation Techniqu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자가 수조작술의 효과에 대한 연구

  • Kim, Ju-Sik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Oral Diagnosis, School of Denti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e-Hoon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Oral Diagnosis, School of Denti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Ku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Oral Diagnosis, School of Denti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주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 진단학교실) ;
  • 이채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 진단학교실) ;
  • 김영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 진단학교실)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is defined as an abnormal relationship of the articular disc to the condyle. Mandibular manipulation is one of the conservative treatments to be considered first to manage the patie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Mandibular manipulation is used to increase articular mobility and to restore the displaced disc into an anatomically normal position. While Farrar's technique has been popularly used, Minagi et al., Mongini and Suarez introduced the manipulation technique conducted by the patients themselves. But there is no study on the efficacy of self-manipulation technique, comparing with conventional 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the conventional and self-manipulation technique, which was modified to complement the previously described technique by Minagi et al.,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MD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December, 2002 to November, 2004 and were diagnosed as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by TMJ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enrolled. Conservative treatments including physical therapy, exercise, behavioral therapy,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and manipulation therapy were done to every single patient until the symptomsimproved enough to discharge the patient. The char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manipulation. In the results, patients whose maximum mouth opening was more than 40 mm was higher in the self-manipulation group(69.9%) than in the conventional manipulation group(42.9%). Bu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t that we decided to discharge the patients whentheir mouth opening increased to more than 40 mm and subjective symptoms such as pain and discomfort were improved as well, treatment period of discharged patients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self-manipulation group($29.2{\pm}12.3$ weeks) than in the conventional manipulation group ($61.0{\pm}38.0$ weeks) (p<0.01). In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TMD patients with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he self-manipulation technique which is performed by patients themselves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increasing the range of mouth opening and shortening the total treatment period.

악관절 내장증은 관절과두와 관절원판이 이루는 복합체의 기능적 관계가 파괴되어 관절원판이 변위되는 것이다. 관절원판의 변위는 전내방으로의 변위가 가장 흔하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와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로 나뉘어진다. 악관절 내장증환자의 치료로는 교합안정장치,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법을 우선 고려하여야 하고, 충분한 기간 동안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 외과적 처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악관절 수조작술은 앞서 언급한 보존적 치료법들과 함께 시행하는 보존적 술식으로 전방으로 변위된 관절 원판의 정복을 도모하고, 원판후조직의 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한다. 전통적으로 Farrar의 방법을 널리 이용해왔으며, 이에 대한 많은 성공적 임상 사례들이 보고된 바 있고, 그 밖에도 몇몇 수조작법들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법은 술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환자가 병원에 내원할 경우에만 시행할 수 있어 수조작법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환자가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Minagi, Mongini, Suarez 등은 환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수조작법을 소개한 바 있으나, 전통적인 수조작법과 비교한 자가 수조작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Minagi, Mongini, Suarez 등에 의해 소개된 환자 스스로 시행할 수 있는 수조작법을 보완하여, 임상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자가 수조작법을 소개하고 내원한 환자에 대하여 치과의사가 직접 실시하는 전통적인 수조작법과 환자의 교육을 통해 환자 자신이 일상에서 시행하도록 한 자가 수조작법이 악관절 자기공명영상검사로 확진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인한 개구제한 환자들의 치료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구강내과에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중 개구제한이 관찰되고 악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가 확진된 뒤 물리치료, 운동요법, 행동요법, 교합안정장치 및 수조작법을 시행하여 치료가 종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함께 호소하였고, 이에 따라 치료의 종결은 개구량의 증가와 더불어 환자의 주관적 불편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아 내원을 중단할 수 있을 때로 결정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토대로 치료기간, 개구량의 증가, 주관적 증상의 개선 정도를 수조작법의 종류에 따라 후향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과 변형된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quared test, Mann-Whitney U-test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 개구량이 40 mm 이상으로 증가한 환자의 분포는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42.9%)보다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69.9%)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치료기간에 있어서는 치료의 종결 시점을 40 mm이상의 개구량이 확보되고 환자가 초진시 호소한 주관적 불편감이 해소된 때로 하였고, 이에 따라 치료가 종결된 환자의 치료기간은 전통적인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61.0{\pm}38.0$ 주)보다 자가 수조작법을 시행한 군($29.2{\pm}12.3$ 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짧았다. (p<0.01) 결론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인한 개구장애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자가 수조작법의 시행은 환자가 수조작법을 교육받고 정해진 바에 따라 매일 시행하는 치료과정을 통해 개구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통적인 수조작법에 비하여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Chung SC, Kim HS. The effect of the stabilization splint on the TMJ closed lock. Cranio 1993;11(2): 95-101 https://doi.org/10.1080/08869634.1993.11677949
  2.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5th ed., St. Louis, 2003, Mosby, pp.372,389,444-445,448,451
  3. Kurita H, Kurashina K, Ohtsuka A. Efficacy of a mandibular manipulation technique in reducing the permanently displaced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784–787
  4. Chiba M. .Echigo S. Longitudinal MRI follow-up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with closed lock after successful disk reduction with mandibular manipulation. Dentomaxillofac Radiol 2005;34(2):106-111 https://doi.org/10.1259/dmfr/29080712
  5. Farrar WB. Characteristics of the condylar path in internal derangements of the TMJ. J Prosthet Dent 1978;39:319–323 https://doi.org/10.1016/S0022-3913(78)80104-8
  6. Segami N, Murakami K, Izuka T, Fukada M. Arthrographic evaluation of disk position following mandibular manipulation technique for internal derangement with closed loc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Craniomandib Disord 1990;4:99–108
  7. Friedman MH, Closed lock. A survey of 400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3;75(4):422-427 https://doi.org/10.1016/0030-4220(93)90163-X
  8. Mongini F, Ibertis F, Manfredi A. Long-term results in patients with disk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reated conservatively. Cranio 1996;14(4):301-305 https://doi.org/10.1080/08869634.1996.11745981
  9. Murakami K, Hosaka H, Moriya Y, Segami N, Iizuka T. Shortterm treatment outcome study for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closed lock: a comparison of arthrocentesis to non-surgical therapy and arthroscopic lysis and lavage. Oral Surg 1995;80:253-257
  10. Murakami K, Kaneshita S, Kanoh C, Yamamura I. Ten-year outcome of nonsurgical treatment for the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closed lock.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4:572–575
  11. Jagger RG. Mandibular manipulation of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J Oral Rehabi 1991;18:497-500 https://doi.org/10.1111/j.1365-2842.1991.tb00071.x
  12. Minagi S, Nozaki S, Sato T, Tsuru H. A manipulation technique for treatment of anterior disk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J Prosthet Dent 1991;65:686-691 https://doi.org/10.1016/0022-3913(91)90207-D
  13. Mongini F. A modified extraoral technique of mandibular manipulation in disk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Cranio 1995;13(1):22-25 https://doi.org/10.1080/08869634.1995.11678037
  14. Suarez OF. An alternate technique for management of acute closed lock. Cranio 2000;18(3):168-173 https://doi.org/10.1080/08869634.2000.11746129
  15. Van Dyke AR, Goldman SM, Manual reduction of displaced disk. Cranio 1990;8(4):350-352 https://doi.org/10.1080/08869634.1990.11678337
  16. Foster ME, Gray RJ, Davies SJ, Macfarlane TV. Therapeutic manipul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0;38:641-644 https://doi.org/10.1054/bjom.2000.0532
  17. Farrar WB, McCarty WL, JR. A clinical outline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agnosis and treatment. 7th ed.,, Montgomery, 1983, Montgomery Walker Printing Co., pp.129
  18. Kai S, Kai H, Tabata O, Tashiro H. The significance of posterior open bite after anterior repositioning splint therapy for anteriorly displaced disk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Craniomandib Disord 1993;11:146–152
  19. Fayed MM, El-Mangoury NH, El-Bokle DN, Belal AI. Occlusal splint therap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rld J Orthod 2004;5(2):133-140
  20. Fricton JR, Chung SC. Contributing factors: A Key to Chronic Pain. In Fricton JR, Kroening RJ, Hathaway KM(eds). TMJ and CRAIOFACIAL PAIN: Diagnosis and Management. St. Louis, 1988, Ishiyaku EuroAmerica,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