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pod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Insect natural enemies as bioindicators in rice paddies

  • Ueno, Takatoshi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45-553
    • /
    • 2012
  • In Asia, including Japan and Korea, rice paddies occupy the largest cultivated area in agricultural land. Rice paddies provide the habitats for many organisms including endemic species, sustaining high biodiversity. Insect natural enemies inhabiting rice paddies have an important function for rice production as agents of 'ecosystem services' because they play a major role in suppressing rice pests.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natural enemies can be a good index reflecting the 'healthiness' of agro-ecosystem services in rice padd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insect natural enemies could be good biological indicators for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and agricultural practice. First, the concept of ideal bio-indicators was summarized. The strategy to explore and select such bio-indicators was then proposed. Lastly, field survey was made to evaluate the abundance and bio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 Japanese rice paddies where chemical inputs, i.e., insecticide use, were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chemical inputs led to an increase in species richness or diversity of natural enemies including parasitoids and predator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suitable indicator species to assess environmental soundness of agricultural practice and biodiversity in rice paddies. The density of several species of natural enemies did respond both to pesticide use and to general arthropod biodiversity. The analyses thus have indicated that natural enemies can be suitable as bio-indicators. Usefulness of indicator species in rice pad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cologically sound agriculture.

Attraction and Repellent Behaviors of Culicoides Biting Midges toward Cow Dung, Carbon Dioxide, and Essential Oils

  • Yang, Daram;Yang, Myeon-Sik;Kim, Bum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465-471
    • /
    • 2021
  • Culicoides biting midges (Diptera: Ceratopogonidae) are hematophagous arthropod vectors that transmit epizootic arthropod-borne viruses (arboviruses). Arboviruses are recognized as causes of pregnancy loss, encephalomyelitis, and congenital malformations in ruminants.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and control of Culicoides, which causes significant damage to industrial animals are necessary. We performed attraction and repellent tests in Culicoides using various essential oils, cow dung, and carbon dioxide (CO2). Culicoides tended to move more to cow dung (60.8%, P<0.0001) and CO2 (63.8%, P<0.01). To the essential oils as repellents, 26.1% (P<0.0001), 18.7% (P<0.001), and 25.5% (P<0.01) of the Culicoides moved to the lavender, lemongrass, and eucalyptus chamber, respectively. The Culicoides that moved to the 3 essential oils chambers showed markedly low activity. Collectively, it was showed that Culicoides tended to be attractive to cow dung and CO2, and repellent from the 3 essential oils.

잣나무림조림지에서 간벌이 절지동물 풍부도와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권태성;양희문;신준환;김석권;이훈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7-198
    • /
    • 2010
  • 간벌 후 하층식생과 낙엽층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식식성 절지동물이나 부식성 절지동물의 변화가 예상된다. 1998~2000년(과거 간벌)과 2007년(최근 간벌)에 간벌이 실시된 춘천의 30~50년생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함정트랩법으로 2006년과 2008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절지동물의 밀도와 군집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과거 간벌의 영향은 나타났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간벌로 인한 영향이 부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식식성 절지동물이 높았으며, 포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낮았다. 부식성 절지동물의 다양한 변화는 확인이 되었으나, 식식성 절지동물의 증가는 일부 분류군(식식성 메뚜기목)에서만 발견되었고, 감소한 식식성 절지동물(바구미과)도 있었다. 간벌로 인해 밀도가 증가하는 분류군과 감소하는 분류군의 상쇄효과로 인해 절지동물의 전체 밀도는 변화가 없었다. 군집구조의 경우 연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과거 간벌의 영향이 다음으로 강했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상과 사체의 부패 패턴에 대한 연구 (Arthropod Succession and Decomposition Patterns of Pig Carrions Varying with the Exposed Extent of the Carrions)

  • 정재봉;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68-1175
    • /
    • 2011
  • 본 연구는 유기된 돼지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와 부패 패턴을 이용해서 사체의 사후경과시간(Post Mortem Interval, PMI)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산 낙동강 주변의 초지에서 완전노출사체, 감은사체, 덮은사체 및 그늘진사체 각각 1구씩을 2010년 8월에 설치하여 총 7목 15과 20종의 곤충들이 관찰되었고 가장 먼저 접근한 곤충은 검정뺨금파리였다. 검정뺨금파리는 모든 사체에서 전 기간에 걸쳐 출현했으며, 꼭지파리과의 1 종, 왕반날개 및 딱정벌레과의 1종은 부패(III)~백골화(V)단계에 출현하여, 위 4종은 사체의 부패단계를 시사하는 지표곤충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부패속도는 완전노출사체(7일) > 덮은사체(10일) > 그늘진사체(13일) > 감은사체(15일)의 순으로 빨랐는데, 이는 사체의 노출 정도에 따른 곤충의 접근성 및 큰 비에 의한 사체손실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PMI 추정 시 사체의 노출 정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산불지에서 절지동물 포식자(거미목, 딱정벌레과, 반날개과와 개미과)의 군집구조, 종풍부도 및 풍부도에 대한 교란강도의 영향 (Influences of Disturbance Intensity on Community Structur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of Arthropod Predators (Araneae, Carabidae, Staphylinidae, and Formicidae) in Burned-pine Forest)

  • 이철민;권태성;박영규;김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88-500
    • /
    • 2012
  • 본 연구는 절지동물 포식자인 개미, 거미, 딱정벌레, 반날개의 산림교란에 대한 생물지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 고성, 강릉, 삼척에서 다른 산불강도와 복원방법에 의해 생긴 교란강도에 따라 12개의 조사지를 선정했다. 조사지의 교란강도는 미피해지(DD=0), 지표화 피해지(DD=1), 수관화 피해지(DD=2), 수관화피해 후 인공복원지(DD=3)로 구분하였다. 절지동물 포식자는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거미, 딱정벌레, 반날개, 개미의 종수와 풍부도는 교란강도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초지성 개미의 종수와 풍부도는 교란강도가 높을 수록 증가했고, 초지성 개미인 곰개미와 일본왕개미는 낙엽층 두께가 깊을 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했다. 또한, 개미의 군집구조는 교란강도별로 나누어졌다. 개미는 장기간에 걸쳐 먹이섭식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단 한 차례의 조사일 경우에는 4가지 포식자 분류군중에서 개미가 산림교란에 대한 생물지표로 가장 유용하였다.

남산과 광릉수목원의 잣나무림에서 낙엽분해과정에 관련된 토양미소절지동물군집 (Soil Microarthropod Community in the Process of Needle Leaf Decomposition in Korean Pine(Pinus koraiensis) Forest of Namsan and Kwangreung)

  • 배윤환;이준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5-80
    • /
    • 1999
  • 남산과 광릉의 잣나무림에서 낙엽분해에 관련된 토양미소절지동물을 이목이상의 상위분류군으로 동정한 결과 개체수에 있어서 두 지역 모두 응애류가 61-68%, 톡토기류가 27-35%로 두 분류군이 절대다수를 점유하고 있었다. 응애류에서는 날개응애아목이 현저하게 많았으며, 중기문, 전기문아목은 소수군에 속하였다. 응애류의 총개체수가 광릉이 남산보다 약간 많은 것 이외에는 두 지역간의 토양절지동물 군집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주머니의 mesh size에 따른 차이도 응애류, 거미류, 파리목의 개체수가 1.7 mm에서 0.4 mm보다 높은 것을 제외하면 양자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군의 계절 변동에 있어서는 분류군에 따라 다른 밀도변동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는 5월부터 9월까지의 밀도가 다른 시기의 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낙엽분해 1년차에는 7월의 밀도가 뚜렷하게 높게 나타났다. 낙엽의 잔존율은 낙엽후 1년 동안은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낙엽분해 2년차에서는 잔존률의 하강속도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조사 시점인 22개월 후의 낙엽잔존율은 약 40% 정도가 되었으며, 두 지역간, 낙엽주머니 mesh size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낙엽분해 2년차까지는 남산과 광릉의 입지환경 차이가 두 지역 잣나무 낙엽분해과정에 관련된 토양절지동물군집과 낙엽분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울시내 벽면녹화에 따른 절지동물상 조사 (Investigation of Arthropod Communities of Facade Greenery Zones in Seoul)

  • 이은희;장하경;진영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74-83
    • /
    • 2000
  • Facade Greenery requires little earth and, because it grows vertically, it provides a lot of bio-mass. Facade greenery cannot replace areas such as parks, but it can act as a supplement, particularly in providing a greater degree of nature in our c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spread of facade greenery in order to improve the ecological worth of cities. But there is no basic data about fauna in Facade Greenery Zones. Thus for the first time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kind of invertebrate communities exist in Facade Greenery Zones. To study the fauna in a facade greenery zone, three sites (Ewha-dong, Kongnung-dong, Daechi-dong) have been selected as representative facade greenery zones in Seoul and 9 plots ($0.5m{\times}0.5m$) were set up. Thirty seven species in 28 families in 10 orders were observed at Ewha-dong, 27 Species in 14 Families in 9 Orders were found at Kongnung-dong, 34 Species in 17 Families 10 in Orders were observed at Daechi-dong. From the investigations (October 3, 1998 and August 25, 1999), a high species diversity in facade greenery zones was proved with low dominance indices, and high diversity indices of the investigated sites. This study shows that facade greenery zone may be habitable space for invertebrates.

  • PDF

그로테스크의 특징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A study of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grotesque characteristics)

  • 허승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5
    • /
    • 2019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dd value to fashion illustration as a genre of plastic art, as its importance as a progressive visual art is growing. The research purpose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a subculture that emerged from the challenges and problems of groups which deviated from social and cultural trends, and to develop fashion design illustration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that subculture. As a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Grotesque, which appeared in fashion literature, referenced a prior study of Grotesque, and developed fashion design illustration using Grotesque as a ba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that are applicable to fashion illustration were derived as 'evil, aversion, playfulness, heterogeneity, and abnormality'. Second, the expressive elements of Grotesques, reflecting the beauty of ugliness, present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new and creative fashion design illustr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Grotesque fashion illustration is a visual tool that is suitable for expressing the problematic origins of human existence, values, alienation, and social chaos. Fourth, 'arthropod' motifs were identified as a suitable theme for extracting the newly integrated Grotesque images through the process of contradict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s. Fifth, the Grotesque fashion illustrations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plastic arts, and could provide a gateway to rediscovering human dignity. Based on the finding, we expect that creative design thinking and development that combines the motifs of various themes and Grotesque's expressive methods will proceed more deeply and specif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