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Fil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the Value Change of Digital Image According to Digital Technology

  • Choi, Won-Ho;Kim, Chee-Y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5호
    • /
    • pp.595-601
    • /
    • 2010
  • The strategy through visual sense is one of the ways that subject builds the outside world and communicates. The visual sense seems higher level of dependence than the other senses and contributes to intercommunication. For this reason, the desire of image dates back to primitive art and visual image(visual media and visual culture) has dialectically developed in the history of mankind. Visual subject, based on perspective of Renaissance, was moved from God to human beings. Andre Bazin's 'la genese automatique' through technical art has epochally changed the paradigm of visual art and visual culture. From primitive art to photo and film, the image, based on visual sense, has reflected human wish, appealed visual desire and led to evolution of image. In the late 20 century, without dialectical evolution of technology and culture, rapidly progressive digital image has changed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over rational strategy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it strengthened authority of image through visual approach of endless desi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ue change of digital image developing a new Renaissance through production, reading, communication, and implication of evolution due to digitalized image, which has evolved as object and tool of desire.

영화의 시각적 구조와 표현기법의 응용을 통한 연속적 경관의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of Sequential Landscape through the Application of Visual Structure and Screening Techniques of Film Art)

  • 우대준;김영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7-110
    • /
    • 1996
  • This study is about the application of visual structure and presentation of film as one of new methods for design of sequential landscape.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basis of applicable and reasonable D니. In applying components of film to DSL, if it is compared with sequential landscape, the film is collection of shots while sequential landscape is accumulation of sceneries. Film and sequential landscape give us a whole meaning different from the meaning itself of a shot or scenery in its experience. The study build a tentative technique of DSL which has the following stages : 1) Goal setting and making out a scenario 2) Analysis and investigation 3) Selection process of definite form 4) Drawing up conti., sketch and notes, It is expected that the technique presented in this study could be a basis for further study of DSL.

  • PDF

상호작용 조명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인체 움직임 및 객체 추적 (Real-time Human Behavior and Object Tracking for Interactive lighting System)

  • 박왕배;서융호;정다운;두경수;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37-938
    • /
    • 2008
  • Spotlight system has been made use of art works on stage such as musical and performance etc. Currently, spotlight is controlled manually through the planned path in advance. Therefore, automatic control system is necessary for manipulating spotlight on stag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ystem that detects to track the multiple objects and classifies those objects, also selects an object of those ones.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interactive stage spotlighting system(ISSS).

  • PDF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원소 분석 (Analysis on th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of the Chinese Animated Film Big Fish & Begonia)

  • 도궈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65-172
    • /
    • 2019
  • 애니메이션 영화 <나의 붉은 고래>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의 새로운 시도로 시장의 표현이든 예술 창작이든 모두 한 단계 진보한 것이다. 최근 10년간의 창작 과정에서 <나의 붉은 고래>는 중국 신화의 전설을 깊이 파헤쳐 현대 예술과 결합시켜 표현했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아 캐릭터 디자인, 장면 디자인, 민족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나의 붉은 고래>의 전통문화요소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영화가 더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본다. 현대예술을 중국 전통문화와 융합시켜 민족문화의 특색을 살리는 것 등이다. 바로 <나의 붉은 고래>에 중국 문화코드가 많이 녹아 있고, 정교하게 설치돼 있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국민과 예술'의 문제 (The Question of 'State and Art' with regard to Soviet Socialist Realism)

  • 모르조프 알렉산드르 일리치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7호
    • /
    • pp.125-163
    • /
    • 2009
  • The artworks of Socialist Realism of the former Soviet Un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re gaining a new attention from art collectors. One reason for this might consist in the fact that relevant art pieces exemplify the ways in which they visualize ideas on the basis of their high-profile art tradition and also in which they integrate their utopian ideals with mysticism. These aspects of the Soviet art goes far beyond the wide-spread assumption that their art, as a means of propaganda, principally represents a political allegiance to the system. With Stalin coming into power in the 1930s, the artistic trend of Socialist Realism obtained a nationwide sympathy and support from people, giving birth to a new art which essentially corresponded to the demands of the political power. An official art current of the USSR over the period from the 1930s to 1950s, Socialist Realism was in tandem with the Communist commitment to the party and popularity, symbolizing a loyalty to the cause. It was thus characterized by plainness and lucidity so that ordinary people could gain easy access to art. Its salient feature, over an entire range of art, was an optimistic pursuit of a utopian dream. Therefore, it tallied with the popular sentiment for a Communist paradise, giving form to their beliefs in human agency working at the materialist world and also to such abstract concepts as force, fitness, and beauty by adding even mythical ideals. Its main subject matter includes harvest feasts of collective farms, imaginary socialist cities, grand marches of heroic laborers and in this way it served as a propaganda for a sacred utopia of socialist totalitarianism. On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however, rose the second camp of art, which put an emphasis on bona-fide artistic activities of plastic art and on an artist's personal expression and freedom, as opposed to the surface optimism of Socialist Realism. Central to the Russian Avant Garde art, which prized the above-mentioned values, were Malevich's Geometric Abstraction and A. Rodchenko's Constructivism. Furthermore, in the transitional era of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21st century it was recognized that film art or electronic media art, rather than traditional genre of paintings, would function as a more efficient way of propaganda. These new genres were made possible by ridiculing the stereotypes of the Russian lifestyle and also by ignoring ethical or professional dimensions of artworks. That is, they reinvented themselves into a sort of field art, seemingly degrading the quality of artworks and transforming them into artifacts or simulacres in the very sense of post-modernism. The advent of the new era brought about the formation and occupation of pop cul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s, calling into question the idea of art as the class-determined. It also increased the attention to field art, which extensively found way to modern art centers, galleries, and exhibition projects. It can be stated that this was a natural outcome of human nature.

  • PDF

미술작품의 보존을 위한 기화성 방청제 및 방청필름의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of Volatile Corrosion Inhibitor and VCI Films for Conservation of Artworks)

  • 범대건;한예빈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2-92
    • /
    • 2020
  • 현대 미술작품은 재료와 제작기법, 종류가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조각작품 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금속의 경우 형태가 다양하고 여러 재질과 혼합된 작품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적, 재료적 특성은 보존처리 시 기존의 처리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보다 다양한 처리 재료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작품의 효과적인 보존처리를 위해 방청제(Rust inhibitor, 防錆劑)를 작품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이 아닌 기화성 방청제를 적용하였으며, 기화성 방청제 및 이를 함유한 방청필름의 방청효과를 평가하였다. 금속 시편을 대상으로 기화성 방청제를 적용한 방청처리 결과, 시편의 색도 변화는 미미하였으며, 부식 속도는 방청 미처리 시편과 비교하였을 때 절반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방청필름 적용 실험 결과, 방청필름 사용 시 미처리 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 시편보다 부식화합물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 표면전기저항 측정을 통해 표면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방청피막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화성 방청제 및 방청필름을 실제 조각작품에 적용하여 방청효과를 확인하였다.

중·미·일 애니메이션영화 창작스타일 비교연구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s animation film creation style of comparative study)

  • 양건화
    • 한국철학논집
    • /
    • 제39호
    • /
    • pp.221-235
    • /
    • 2013
  • 본 논문은 중 미 일 애니메이션영화를 통해 그 창작스타일을 분석하기 위해 삼국의 주요 예술적 특징 및 그 표현 스타일을 사례를 통해 비교하여 각각 자신들의 전통 회화예술, 심미적 습관, 사유방식과 깊이 연계되어 있으며 독특한 애니메이션영화 예술형식을 만들어냈음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은 사실주의 예술표현과 뉴테크놀로지에 대한 활용을 중시한다. 일본은 전통 회화예술과 스토리텔링 애니메이션의 표현을 중시한다. 상업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들은 그들의 국가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마켓의 다양한 서로 다른 수요에 따라 각기 다른 시장의 수요를 만족시켜왔으며, 서로 다른 비즈니스 방식을 개발하였다. 내용적 측면에서 보면, 보편적 가치인 선악관을 알리고 개인주의의 영웅관을 만족시키며, 다양한 상업적인 예술 애니메이션영화를 개발하여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 미국과 일본 양국에 비해 중국은 50-80년대에 사회주의 의식형태의 수요와 사고에 기초하여 애니메이션영화를 창작하였다. 80년대 개혁개방 이후에서야 다시 엔터테인먼트 마켓과 관중의 다양성의 수요에 따라 창작하게 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여전히 지금의 중국 애니메이션영화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창작 동력과 원작 인재가 끊어지게 되었고 다양한 창의적 스타일과 상업시장 운영의 매카니즘이 결손되었다. 일본은 미국 스타일로부터 시종 자신의 위치와 성공을 찾게 되었다. 오늘날의 중국은 미국과 일본 스타일 중에서 자신의 창작 스타일과 위치를 찾고 정부관리방식, 업계규범, 국제화 인재양성 및 경험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그 근본이라 하겠다.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콘텐츠 (Point Cloud Content in Form of Interactive Holograms)

  • 김동현;김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47
    • /
    • 2012
  • 미디어 아트는 새로운 경로의 인식과 지각을 동반하고, 기존의 미술과는 다른 인간의 신체를 도구화 하여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감상방식을 제안한다. 시각적인 영상을 제작하는 방식 중 포인트 클라우드는 점으로 형태를 표현한다는 점에 있어 서양미술의 점묘법과 유사하며 이는 전통회화 기법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재구성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학적 요소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감상방식으로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영상을 제작하여 홀로그램 필름에 투사하고, 관람자의 손짓이 영상과 상호작용하는 콘텐츠를 제시한다. 콘텐츠 제작은 콘텐츠 제작 배경 의도를 기획하고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이미지 제작, 상호작용을 위한 3D 제스처 디자인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홀로그램 필름에 투사하는 과정을 거친다. 콘텐츠는 사람의 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기억의 회상 과정을 시각적, 체감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위해 기억의 회상 과정을 불확실한 기억, 기억의 구체화, 완전한 회상으로 설정하였다. 불확실한 기억은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이미지를 통해 모호한 형태의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호작용으로 이미지를 조작하는 행위를 통해 기억을 구체화 해 나가면서 완전한 회상을 하게 된다.

패션필름의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뇌파 반응 연구 (A Study of Users' EEG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Fashion Films)

  • 이청순;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23-336
    • /
    • 2023
  • In the 21st century, fashion films are frequently used throughout the fashion industry. In particular, as videos have become an essential element and a communication tool of social media, they are becoming even more important in the world of fashion.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short-length fashion films (< 0:60) in current use were derived, and the effects of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of users were analyzed using electroencephalogram(EEG) findings. EE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Epoc+ on 31 healthy women aged 20-29 years after viewing six types of fashion films[fiction/well-made, fiction/user generated content(UGC), documentary/well-made, documentary/UGC, art/well-made, and art/UGC] in random order. The results demonstrate differences among four types of films. Specifically, alpha waves in the frontal lobe decreased more while watching documentary/UGC films than while watching art/well-made films. Gamma waves in the temporal lobe decreased more while watching fiction/well-made films than while watching documentary/UGC films. Furthermore, theta waves in the occipital lobe increased more while watching fiction/well-made films than while watching art/UGC fil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t types of fashion films can stimulate different parts of the brain that process thinking, cognition, emotion, and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evoke emotional responses.

A STUDY FOR DEVELOPMENT OF FILM NEGATIVE IN BULK REACTION CASE

  • Ha, Sung-N.;Park, Jung-Joo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6권1_2호
    • /
    • pp.365-374
    • /
    • 2008
  • We study a mathematical modeling for development of film negative and concentrate the bulk reaction problem. We prove nonnegativeness of developer, coupler and dye function in two dimensional case. Also we prove stability of our numerical scheme. Finally, we discuss numerical example which have specified const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