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int Cloud Content in Form of Interactive Holograms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콘텐츠

  • 김동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아트학과) ;
  • 김상욱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 Received : 2012.07.18
  • Accepted : 2012.09.10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Existing art, media art, accompanied by a new path of awareness and perception instrumentalized by the human body, creating a new way to watch the interaction is proposed. Western art way to create visual images of the point cloud that represented a form that is similar to the Pointage. This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using digital technology means reconfiguration. In this paper, a new appreciation of fusion of aesthetic elements and digital technology, making the point cloud in the form of video. And this holographic film projection of the spectator, and gestures to interact with the video content is presented. A Process of making contents is intent planning, content creation, content production point cloud in the form of image, 3D gestures for interaction design process, go through the process of holographic film projection. Visual and experiential content of memory recall process takes place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expressed. Complete the process of memory recall, uncertain memories, memories materialized, recalled. Uncertain remember the vague shapes of the point cloud in the form of an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As embodied memories through the act of interaction to manipulate images recall is complete.

미디어 아트는 새로운 경로의 인식과 지각을 동반하고, 기존의 미술과는 다른 인간의 신체를 도구화 하여 상호작용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감상방식을 제안한다. 시각적인 영상을 제작하는 방식 중 포인트 클라우드는 점으로 형태를 표현한다는 점에 있어 서양미술의 점묘법과 유사하며 이는 전통회화 기법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재구성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학적 요소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감상방식으로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영상을 제작하여 홀로그램 필름에 투사하고, 관람자의 손짓이 영상과 상호작용하는 콘텐츠를 제시한다. 콘텐츠 제작은 콘텐츠 제작 배경 의도를 기획하고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이미지 제작, 상호작용을 위한 3D 제스처 디자인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홀로그램 필름에 투사하는 과정을 거친다. 콘텐츠는 사람의 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기억의 회상 과정을 시각적, 체감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위해 기억의 회상 과정을 불확실한 기억, 기억의 구체화, 완전한 회상으로 설정하였다. 불확실한 기억은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의 이미지를 통해 모호한 형태의 이미지로 표현되고, 상호작용으로 이미지를 조작하는 행위를 통해 기억을 구체화 해 나가면서 완전한 회상을 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창선, "뉴 미디어 아트에서 물리적 심미적 거리를 통한 관조의 재해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723-73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723
  2. 최민아, "아날로그 디지털 인터랙션 흔적에 관한 개념 연구와 미디어 아트에의 응용",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9호, pp.76-84, 2011.
  3. 최진혁,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정합의 정밀도 평가를 위한 가상 스캔 시스템", 한국정밀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829-30, 2010.
  4. 이효진, "현대의상 직물 문양에 조명된 신인상주의 색채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논문집, 제16권, 제3호, pp.31-43, 1992.
  5. 최윤지, "3차원 인체 포즈 인식을 이용한 상호작용 게임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619-62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619
  6. J. Shotton, "Real-time human pose recognition in parts from a single depth image," C.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11.
  7. 이용철, "제스처 인식을 활용한 모바일 게임 제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629-63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