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Audience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봉준호 영화에 나타난 컨벤션 변형 연구 -영화 "마더"를 중심으로- (Study on Convention Transformation Appeared in Bong Joon-ho's Movie -Mainly with the movie "mother"-)

  • 김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41-152
    • /
    • 2015
  • 장르영화를 들여다보면 우리는 영화 속에서 거의 비슷한 형태들이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동일한 요소들은 커다란 이야기의 덩어리에서부터 아주 작은 카메라 앵글에 이르기까지 크게 세 단위로 나뉜다. 그것은 포뮬라(Formula), 컨벤션(Convention), 아이코노그래피(Iconography)로 설명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컨벤션은 관습이라는 뜻으로 하나의 이야기에서 두 번째의 크기로 나뉘어 질수 있는 구조 혹은 사건을 말한다. 컨벤션은 개별 장르 속에서 영상화 된 사건이며. 이 사건을 통하여 감독은 관객을 조율한다. 익숙한 이야기를 끌어가다가도 어느 순간에 익숙한 장면을 변형시켜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 낸다. 영화적 관습은 영화사 초기부터 확립되어 온 산물로, 관객과 감독의 소통을 돕는다. 반복적인 영화 관람행위를 통해 관객은 영화적 관습을 익히고, 감독은 그것을 활용하여 관객에게 친숙함을 제공한다. 봉준호 감독은 전통적인 컨벤션을 통하여 관객을 조율함과 동시에 컨벤션의 변형을 통하여 새로운 예술작품을 창조한다. 그의 작품< 마더>를 통하여 전통적인 컨벤션과 변형을 어떻게 사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어 작품에 임했는지를 연구한다.

경극분장의 상징적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ymbol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Makeup in Beijing Opera)

  • 문정은
    • 복식
    • /
    • 제59권1호
    • /
    • pp.29-46
    • /
    • 2009
  • Aiming at finding symbolist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makeup in Chinese Beijing Opera("BO"), this study formulated a theoretical framework mainly from literature in the Symbolism and symbolistically analyzed materials related to BO makeup from literature, internet web pages and illustrated news concerning performing arts. Main objects to analyze are the characteristics of four main roles in BO and the patterns, symbols, ornaments and traditions of Beijing Opera facial makeup("BOFM"). Four main roles are Sheng, Tan, Ching and Chou, categorized by gender, age, social position and personality. The result to analyze symbolistic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makeups for the roles in BO are as follows: the patterns and colors of BOFM function as explanations to help audiences understand each role's personality and dramatic situations as well as provide hints about the development and ending of an opera: that is, BO makeup is a communicative intermediary between audiences and actors in BO. It tends to follow the stereotypes, which conventionally dress and exaggerate the characters of roles, and copy the traditional Chinese perception about colors. Thus, by the metaphysical and typical expression of BOFM, Chinese people have not been pursuing the realism in opera but applying BO makeup to a mutual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udiences and performing artists as to share their collective cultural heritages and spirits. Threfore, BO makeup has been an interacting language between the two entities and grown within the history of BO as a beauty art to highlight a BO by its unique systems, ornaments and beauty.

음악 공연의 서비스 품질과 관계 품질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of Music Performances)

  • 박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8-97
    • /
    • 2015
  • '문화시대'의 도래로 공연예술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시장의 저변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과 이를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 공연에서 관객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요인이 관객과의 관계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 품질차원으로서 물리적 환경 품질과 결과 품질은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 품질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 품질에서 몰입과 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들이 몰입하고 만족하기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비스 품질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관객의 소비 행동을 이해하고 나아가 관객과의 관계 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박물관 모바일 포탈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Platform study for museum mobile portal service)

  • 두일철;신현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7-155
    • /
    • 2014
  • The rapid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and diverse utility of smart devices opens an opportunity for a development in creating a user-oriented ubiquitous system. And it allows audiences to deploy the exhibition-helping contents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of place and time with using the smart devices of audience themselves. Also it needs to build a mobile web-based portal system for the related services. To do this, Firstly, it needs the corresponding strategies on a smartphone-based environment such as technical competence, systematic preparation of exhibition with compatible mobile contents, and a compatible channel for interactivity. Secondly, it needs the differentiation of exhibition guide with the existing system: an adoption of augmented reality, panoramic technology and simulation effect aiming for an improvement in a sense of immersion and reality for audience, and building up additional contents with a diversity of formats of image, sound, and video for customer satisfaction.

Okakura Kakuzō's Art History: Cross-Cultural Encounters, Hegelian Dialectics and Darwinian Evolution

  • Racel, Masako 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2권1호
    • /
    • pp.17-45
    • /
    • 2014
  • Okakura Kakuz$\bar{o}$ (1863-1913), the founder of the Japan Art Institute, is best known for his proclamation, "Asia is One." This phrase in his book, The Ideals of the East, and his connections to Bengali revolutionaries resulted in Okakura being remembered as one of Japan's foremost Pan-Asianists. He did not, however, write The Ideals of the East as political propaganda to justify Japanese aggression; he wrote it for Westerners as an exposition of Japan's aesthetic heritage. In fact, he devoted much of his life to the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Japan's artistic heritage, giving lectures to both Japanese and Western audiences. This did not necessarily mean that he rejected Western philosophy and theories. A close examination of his view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art and history reveals that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Hegel's notion of dialectics and the evolutionary theories proposed by Darwin and Spencer. Okakura viewed cross-cultural encounters to be a catalyst for change and saw his own time as a critical point where Eastern and Western history was colliding, causing the evolution of both artistic cultures.

김천국제가족연극제의 관객개발 연구 (Audience Development for the Gimcheon International Family Theatre Festival)

  • 표원섭;남보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844-4852
    • /
    • 2014
  • 해외의 많은 축제들은 '도시이미지 마케팅' 차원에서 기획되는 경향이 짙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추세가 서서히 반영되고 있다. 김천국제가족연극제 역시 대한민국 행복중심도시를 표방하는 김천시의 '도시이미지 마케팅'과 맞닿아 생겨난 축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기획된 축제의 대부분은 중도에 흐지부지되는 경우가 많지만 김천국제가족연극제는 타 연극제와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관객 개발에 있어서 관객확보의 성공적 사례로 12회를 이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김천국제가족연극제의 역사와 현황을 바탕으로 특징과 차별성을 짚어보고 5년 연속 관객점유율 100%을 이어가고 있는 관객개발 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역 공연예술축제가 지닌 예술성과 지역성과의 결합을 통해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간접적 참여에 그치는 연극제가 아니라 관객들이 직접 '만지고 느끼는' 참여 유희성 자발성을 지닌 연극제로서 발돋움함은 당연하다. 이에 김천국제가족연극제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개념미술에서 의상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Costumes in Conceptual Art)

  • 조정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8-840
    • /
    • 2011
  • Fine art and clothes have been closely connected since art became part of civilization. However, there relationship was one-sided rather than exchanging the essence of each other. In the $20^{th}$ century, modern art began to change. Artists started intervening clothes in their work as conceptual tools. In the 1960s, Marcel Duchamp started to study 'what is fine art?' He tried to perform anti-aesthetic work that denies traditional types and contents of fine art by reconsidering a concept of fine art that started a new chapter of conceptual art in the late $20^{th}$ century. Conceptual art is about concepts and ideas of the work rather than aesthetic and material concerns for the challenges traditional ideas. Conceptual art asks audiences for more active reactions. For these reasons, semi logical ideas and clothes became very important to conceptual art.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roles of clothes in conceptual art. Conceptual arts since 1960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and the works of clothes were intervened were analyzed. The types of using clothes in conceptual art can be divided into 'ready made,' 'intervention,' 'data type,' 'language,' and 'action and process.' The different types were mixed together rather than used alone. Conceptual artists tried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ions of modern society through clothes. They expressed criticism of political society, anti war movements, absence caused by death, new lives, violated femininity, changed meanings of marriage, and absence of individual rights under the social system in their work. Clothes played their roles as concepts of various things including violated femininity, illusions of politicians, autocracy, new lives, social systems, and regulations.

거래비용 관점으로 본 클래식 음악공연 관람수요 (Demand for Classical Music Concerts from Transaction Cost Perspectives)

  • 이창진;김재범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8
    • /
    • 2014
  • 공연예술 수요는 가격 이외의 사회 경제적 요인들 그리고 교육과 경험 지식 같은 문화자본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공연에 대한 지식과 경험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별 공연이 가지는 정보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거래비용 관점에서 분석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공연장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선택된 공연의 장르, 가격, 인지도 등의 요소가 유료관람객 수에 준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 거래비용 특성에 따라 수요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격과 수요는 반비례 관계로 알려져 있으나, 분석 결과 일정 가격 이상에서는 정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해석해보면, 가격이 상품의 질을 평가하는 정보로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관객이 공연관람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용에 가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공연의 가격에 따른 소비자의 거래비용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가 순수한 공연 관람 이외의 사회적 맥락의 소비라는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0세기 인터랙티브 아트의 전개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Art in 20th Century)

  • 김희영;이왕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7-185
    • /
    • 2008
  • 향수자 일방의 관조적인 관람을 전제로 하는 작품 창작의 주류 속에서 관람자 참여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20세기 예술에서였다. 수동적 관람자로부터 능동적 참여를 끌어낸 옵아트나 키네틱아트 등은 향후 전개될 인터랙티브 아트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작가와 관람자의 상호대면을 포맷화하는 '해프닝' 장르 등의 작업들도 TV나 아날로그 매체를 통한 관람자와의 소통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이후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매체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관람자와 인터랙티브 아트의 상호소통을 통한 작품의 창작은 결정적 전기를 맞게 된다. 본 논문은 예술 사조사에서 인터랙티브아트의 생성과 전개의 맥락을 전형화하는 대표적 작품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인터랙티브 아트의 발전적 흐름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Transformation of Film Directing and Cinematography thr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s: Focusing on Ang Lee's Films

  • Xiaojun Zong;Yooji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64-72
    • /
    • 2023
  • This paper discusses the technical exploration of Ang Lee's cinematic works and the unique visual beauty he presents. Ang Lee has successfully tackled various themes and genres, creating films that harmoniously blend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sensibilities. These films are technologically innovative and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nd art, industry and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analyses the correlation between film technology and visual beauty in Ang Lee's works, and explores the discourse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technology and art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film.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enhance artistic creativity.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in-dept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technology and art, with a focu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visual beauty in Ang Lee's work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 that Ang Lee's films showcase the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captivating audiences with their unique visual aesthetics. The utiliza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enables his films to possess not only visual impact but also convey profound emotions and themes. We conclude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in film not only provides artists with more creative tools and expressive techniques but also, when combined with artistic sensibilities, creates captivating and visually expressive cinematic works. This discovery offers a new perspective for film production and opens up greater possibilities for collaboration between artists and technology expe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