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senat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온도 조건에 따른 비소 이온의 수중 상태 변화 특성 및 독성 예측 (Feature of the Change of the Arsenic Ionic State and Prediction of Toxicity in Aqueous Environment depending on Temperature Condition)

  • 원유라;김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6-183
    • /
    • 2013
  • The variation of the stable region of arsenic compounds in aqueous environment with temperature has been investigated by constructing the Pourbaix diagram of arsenic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standard potential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arsenic compounds with different charge valence was estimated to be decreased with temperature, which means the stability of arsenic compound with +5 charge valence increases.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most highly oxidized arsenic compound showed that arsenic acid is formed at higher pH and arsenate is generated at lower pH as temperature rises. The aquatic toxicity due to arsenic compounds was considered to be decreased with temperature in the neutral pH condition based on the $LD_T$ value defined in this study.

팔진탕이 비소 중독된 흰쥐의 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ljin-Tang on the Liver of Arsenic-poisoned Rats)

  • 서은실;임종필
    • 생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78
    • /
    • 1998
  • Sodium arsenate and Paljin-Tang extract (PJT), a herbal restorative were treated p.o. 20 mg/kg and 500 mg/kg, respectively, and concurrently to rats, and examined the effects on the liver of rats. The values of protein, aniline hydroxylase (AH)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were increased in arsenic-treated group. The values of glucose-6-phosphatase (G-6-P) and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ALAD) of arsenic-treated group were decreased. But concurrent ad-ministration with PJT showed significant recovery from the toxicity of arsenic.

  • PDF

Characterization of a new staphylococcal site-specific recombinase sin and genetic organization of its flanking region

  • Yong, Jun-Hyong;Kim, Young-Sun;Byeon, Woo-Hye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2호
    • /
    • pp.92-96
    • /
    • 1997
  • A new site-specific recombinase sin, as a component of a putatie transposon has been cloned and its base sequence has been determined. The proposed sin shows a hish degree of homology with pI9789-sin and pSK1-sin. There is a large (16 bp) inverted repeat downstream of proposed sin and the postulate dhelix-turn-helix motif is located at the extreme C-terminus of the poposed Sin. The transposase gene (tnpA) and .betha.-lactamase gene (blaZ) are located upstream of sin and arsenate reductase gene (arsC) and arsenic efflux pump protein gene (ars B) are downstream. This genetic arrangement seems to be a part of a new putative transposon because there is no known transposon with a gene arrangement of tnpA-blaZ-sin-arsC.

  • PDF

Changes of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Cu, Cr, and As in Different Soil Matrix in a Laboratory Scale

  • Kang, Sung-Mo;Ra, Jong-Bum;Kim, Suk-Ku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37-140
    • /
    • 2009
  •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a long history of successful preservative, have raised environmental concern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oils for chromium, copper, and arsenic were assessed by measuring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values of these metal components in a laboratory scale. The results revealed that $K_d$ values were higher in chromium, followed by arsenic and copper in soil matrix. Different soil matrixes resulted in varying mobilities of CCA components. The values of $K_d$ for all three metals increased with organic matter cont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bility of metal components may be very limited to the surface area adjacent to CCA-treated wood due to their fairly large distribution coefficient ($K_d$). However, the metal components would be persistent and accumulated in the soil, resulting in high chemical concentration in service area of treated wood.

$ZnNH_4AsO_4-EATA$법에 의한 비산의 정량법 (Chelatometric Determination of Arsenic Acid as Zinc-Ammonium-Arsenate)

  • 서정현
    • 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19
    • /
    • 1960
  •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rsenic acid by precipitation of Arsenic acid as ZnNH$_{4}$AsO$_{4}$ and titration of Zn in the precipitate by EDTA has been investigated. Conclusion are as follows; 1) ZnNH$_{4}$AsO$_{4}$ was Soluble in NH$_{4}$Cl-NH$_{4}$OH buffer solution of pH lo and back-titration was unnecessary as in the case of MGNH$_{4}$AsO$_{4}$. 2) The end point was clear whether AsO$_{4}$$^{-3}$ present or not. 3) More simple and rapid method than that of Gravi metric method. 4) Could be determined within 0.3% error.

  • PDF

방부처리 목재를 포함한 토양매립 바이오메스의 중금속 함량과 안전성 문제 (Heavy Metals of Landfilled Biomass and Their Environmental Standard, Including CCA-treated Wood for Eco-housing Materials)

  • 임기표;이종탁;범정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7-45
    • /
    • 2006
  • 생태건축에서 주로 사용되는 목재는 자연환경에서 쉽게 생분해되기 때문에 목재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각종 방부제나 방화제 또논 도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약품 중에는 살균 및 살충을 위한 각종 독성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비바람과 토양에 직접 접촉하는 지반(foundation)과 외장벽(exterior wall)에 사용되는 목재는 인체에 독성이 강한 CCA (chromated copper arsenate)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건축 폐재는 법률적으로 소각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재활용되지 않는 한, 소각 시 발생하는 배출물질 중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다양한 물질을 방출하여 호흡기 질병을 유발하고, 토양 매립시는 용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건축용 목재로 사용되는 편백나무와 CCA처리된 미국산 Hemlock외에, 목재로부터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는 유기질 비료와 하수 슬렷지, 건류목탄과 백탄에 함유된 중금속이온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미량원소분석을 위하여 시료 용해에 사용된 분석시약과 용수 중에 함유된 불순물이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분석시스템 개발과 전문가가 필요하였다. 2) 특히 생화학적으로 전처리된 유기질비료와 슬렷지 또는 열화학적으로 전처리된 건류목탄과 백탄은 [$HNO_3+HF$] 혼합액으로 3회이상 처리하여도 완전 용해되지는 않았다. 3) 약품 전처리가 없는 목재의 경우, 열처리한 목탄이나 유기질퇴비는 환경오염을 초래하지 않았다. 4) 목재의 내구향상을 위하여 CCA 처리 목재는 유기질 비료 기준과 토양 환경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여 토양에 매립하면, 심각한 토양오염을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CCA처리된 토목건축용 목재는 특정 폐기물로 규정하여 별도 처리가 필요하고, 최종 처리될 때는 환경 친화적 소각이나 매립을 위하여서는 오염된 중금속을 분리한 후 목재성분만을 이용하는 바이오메스 폐기기술개발이 필요한 반면, 미래에는 환경 친화적인 저독성 또는 무독성 목재 방부제 개발이 필요하다.

적철석(Hematite) 표면의 비소 흡착 특성 (Characterization of Arsenic Adsorption onto Hematite)

  • 김성희;이우춘;조현구;김순오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7-210
    • /
    • 2012
  • 철 (산수)산화물들 중 지표환경에서 가장 안정된 형태로 알려진 적철석의 비소에 대한 흡착제로서의 다양한 특성을 조사하고 비소와의 흡착특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합성된 적철석은 $31.8g\;m^2/g$의 비표면적을 가졌으며, 전위차 적정법(potentiometric titration)에 의해 측정된 영전하점(point of zero salt effect, PZSE)은 8.5로 비소에 대한 높은 흡착능은 이러한 적철석의 특성들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수용상 농도와 pH 2.0~12 범위에서 3가 비소와 5가 비소의 적철석에 대한 흡착량을 비교한 결과 3가 비소가 5가 비소보다 큰 흡착량을 보였다. 그리고 pH에 따른 흡착경향은 3가 비소의 경우에는 pH 9.2까지 지속적으로 흡착량이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pH에서는 흡착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5가 비소는 pH 2.0에서 가장 높은 흡착량을 나타내다가 pH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pH에 따른 흡착특성은 pH에 따라서 적철석의 표면전하 특성과 비소 화학종의 존재형태가 변화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흡착 반응속도에 대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두 비소 종 모두 20시간 이내에 평형 흡착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소의 화학종과 관계없이 적철석과의 흡착반응속도를 가장 잘 모사하는 반응속도 모델로는 유사이차(Pseudo-second-order) 모델로 평가되었으며, 5가 비소가 3가 비소보다 반응속도상수가 크게 나타났다.

폐광산 인근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Risk Assessment about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Agricultural Products at Abandoned Mine Area)

  • 안재민;장순영;황향란;박대한;이봄내;김샛별;이광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 36개 폐광산 인근지역에서 생산되는 25개 농산물 1,059건에 대하여 카드뮴, 납, 비소 오염도 조사와 더불어 위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정량한계는 카드뮴 0.59 ㎍/kg, 납 0.42 ㎍/kg, 총비소 0.55 ㎍/kg, 무기비소 화학종에서는 arsenite [(As(III)) 1.74 ㎍/kg], arsenate[(As(V)) 2.25 ㎍/kg]이었으며, 직선성은 모두 0.9995 이상으로 나타났고, 무기비소의 함량은 arsenite (As(III))와 arsenate(As(V))의 합으로 하였다. 평균 회수율은 카드뮴 96.3-97.7%, 납 95.8-98.2%, 총비소 96.1-98.0%, arsenite 94.8%, arsenate 115.4% 이었고, C.V.% (Coefficient of Varidation)는 모두 5% 미만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중금속 평균 함량은 도라지 0.244±0.164 mg/kg, 대파 0.145±0.133 mg/kg, 참깨 0.124±0.136 mg/kg, 고사리 0.109±0.070 mg/kg, 취나물 0.103±0.093 mg/kg, 마늘 0.071±0.063 mg/kg의 순으로 카드뮴의 오염도가 높았고, 납은 참깨 0.040±0.085 mg/kg, 도라지 0.039±0.056 mg/kg, 고구마 0.034±0.058 mg/kg, 들깻잎 0.034±0.016 mg/kg, 호박 0.032±0.065 mg/kg, 매실 0.028±0.012 mg/kg의 순으로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무기비소는 쌀에 한하여 조사되었는데 평균 0.082±0.035 mg/kg의 오염도를 보였다. 카드뮴의 경우 쌀 1.19×10-1 ㎍/kg b.w./day(14.37% of PTMI), 대파 2.77×10-2 ㎍/kg b.w./day(3.34% of PTMI), 감자 2.08×10-2 ㎍/kg b.w./day(2.51% of PTMI), 사과 1.39×10-2 ㎍/kg b.w./day(1.67% of PTMI), 양파 1.13×10-2 ㎍/kg b.w./day(1.37% of PTMI)의 순이었고, 납의 경우 사과 1.29×10-2 ㎍/kg b.w./day (2.05% of PTWI), 고구마 7.49×10-3 ㎍/kg b.w./day (1.19% of PTWI), 쌀 7.15×10-3 ㎍/kg b.w./day (1.14% of PTWI), 호박 5.01×10-3 ㎍/kg b.w./day (0.79% of PTWI), 양파 4.80×10-3 ㎍/kg b.w./day (0.76% of PTWI)의 순으로 납 노출량이 높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 25개 품목 농산물을 모두 일시에 섭취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카드뮴은 PTMI 대비 28.21%, 납은 PTWI 대비 7.94%, 무기비소는 쌀 단일품목에 한해 PTWI 대비 15.16%의 위해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중금속에 대한 인체 위해정도는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CCA 처리 목재로 지은 세 개의 통나무 구조물과 방음벽 주변 토양에서 크롬, 구리 및 비소의 공간적 분포 (Spatial Distributions of Chromium, Copper, and Arsenic Concentrations in Soils Near Three Log Structures and a Sound Barrier, All Constructed with CCA-treated Wood)

  • 김희갑;송병열;구진회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2호
    • /
    • pp.12-20
    • /
    • 2008
  • 본 연구는 chromated copper arsenate(CCA)로 처리된 목재로 지은 세 개의 통나무 구조물과 하나의 방음벽 주변 토양에서 CCA 금속들의 공간적인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3개의 배경 토양 시료뿐만 아니라 목재 구조물 주변에서 66개의 지표 및 35개의 종단면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구조물에 인접한 곳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에서 크롬, 구리 및 비소의 농도는 하나의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배경 토양에서의 농도보다 높았으며, 3년 된 구조물에 인접한 표토에서의 농도는 8년 된 구조물에서의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록 금속들의 수평 분포는 구조물에 따라 다르긴 하였지만, 크롬과 비소는 각각 20-60 cm 및 40-100 cm 내에서 농도 구배를 보이는 것 같았다. 구리는 가장 이동성이 작아서, 단지 20 cm 이내에서만 농도 구배를 나타냈다. 종단면 토양 시료 분석에 따르면 어떤 금속도 명확한 수직 분포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크롬과 구리는 각각 5 및 10 cm까지, 그리고 비소는 35 cm까지 구배를 보였다. 이 연구의 대상지역에서 CCA로 처리된 목재로부터 토양으로 용탈된 금속들은 수평 및 수직으로 인근 지역에 한정적으로 이동하여 분포하고, 가능한 생태적인 영향은 작은 범위 내에서만 일어날 것임을 보여주었다.

Streptomyces 속균(屬菌)이 생성하는 Metal Protease - 제 1 보 : 균(菌)의 분리(分離) 및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成質) - (Metal Protease from Streptomyces spp. - I. Isolation of the Strain and the Enzymatic Properties -)

  • 이동희;유춘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17
    • /
    • 1980
  • 토양에서 분리(分離)한 Streptomyces 속 중(中) 금속을 함유하는 푸로테아제를 강(强)하게 분비하는 균주 SY 79-1을 선별하여 그 효소학적 성질 몇가지를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효소의 최적 pH는 8.0 부근이며 최적 온도는 $45^{\circ}C$였다. 2. 본 효소는 중성(中性) 부근(附近)에서는 비교적 안정하며 열처리에 대해서는 $45^{\circ}C$에서는 안정했으나 $60^{\circ}C$에서는 5분간 처리로 약 70%, 30분간 처리로 완전(完全)히 실활(失活)하였다. $Hg^{++},\;Ag^{+}Cu^{++}$ 등(等)에 의(依)해서 강하게 저해(沮害)되고, $Mg^{++},\;Mn^{++},\;Co^{++}$ 등(等)은 효소 활성을 증진 시켰으며, $Fe^{++},\;Ca^{++},\;Pb^{++},\;Al^{++} 등(等)에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각종 저해제 중(中) EDTA에 의해서는 강하게 저해 되었으나, 2,4-DNP, ${\rho}$-CMB, ${\varepsilon}$-aminocaproic acid thiourea, Na-arsenate, cysteine, oxalate, 구연산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EDTA에 의해서 저해(沮害)된 산소(酸素) 활성(活性)은 $Co_{++}$에 의해서 부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