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rangement component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34초

Visualizing Geographical Contexts in Social Networks

  • Lee, Yang-Won;Kim, Hyung-J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91-401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지리적 표현이 보강된 사회네트워크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통해 사회네트워크의 지리적 맥락을 시각화하는 3D 웹서비스를 구현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네트워크 그래프 개선의 핵심요소는 (i) 네트워크 노드들의 상호작용 강도 및 공간적 인접성이 반영된 '지리적 가중치가 부여된 중심화 지수' 그리고 (ii) 이러한 중심화 지수를 3차원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노드들을 단계 구분도와 중첩하여 시각화하는 '지도와 결합된 사회네트워크 그래프'이다 개선된 사회네트워크 그래프는 X3D (Extensible 3D)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시도간 R&D 협력의 사례분석을 통해 그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사회네트워크에 내재하는 공간적 집중화의 경향 등 기존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간과되었던 사회네트워크의 지리적 맥락에 대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다.

  • PDF

밀리미터파 수동 이미징 시스템 연구 II (Studies on the millimeter-wave Passive Imaging System II)

  • 정민규;채연식;김순구;윤진섭;미즈노 코지;이진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3호
    • /
    • pp.105-110
    • /
    • 2007
  • 광학계 렌즈이론을 바탕으로 밀리미터파를 집속 시킬 수 있는 렌즈를 설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를 집속하였다. 밀리미터파가 집속되는 초점에 안테나를 위치시키고,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이동 시키면서 한점씩의 영상 화소를 취해 전체적인 영상을 얻는 밀리미터파 수동 이미징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렌즈의 초점면에 2차원적인 안테나 배열이 가능한 영상시스템을 목표로 하여 안테나 배열 소자를 설계 제작하였다. 안테나는 페르미 테이퍼 슬롯 안테나(Fermi Taper Slot Antenna)를 채택하였으며, 이 안테나는 높은 이득과 낮은 부엽 특성를 갖는다. 안테나 배열소자는 안테나, 발룬(Balun), MMIC, 검파기를 하나의 기판위에 집적하여 저손실 및 저잡음 효과를 얻을 수 있을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집적화된 수동형 안테나 배열 소자는 $4\times1$형태로 제작되었다.

Case Studies on Space Zoning and Passive Façade Strategies for Green Laboratories

  • Kim, Jinh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41-52
    • /
    • 2020
  • Laboratory buildings with specialized equipment and ventilation systems pose challenges in terms of efficient energy use and initial construction costs. Additionally, lab spaces should have flexible and efficient layouts and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research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ade of a building and its interior layout from case studies of energy-efficient research labs and to propose passive energy design strategi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timal research environment. The case studies in this paper were selected from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ommittee on the Environment Top Ten Projects an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 certified research lab projects. In this paper, the passive design strategies of space zoning, façade design devices to control heating and cooling loads were analyzed.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trategies and the interior lab layouts, lab support spaces, offices, and circulation areas were examined.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1) space zoning for grouping areas with similar energy requirements is performed to concentrate similar heating and cooling demands to simplify the HVAC loads. 2) Public areas such as corridor, atrium, or courtyard can serve as buffer zones that employ passive solar design to minimize the mechanical energy load. 3) A balanced window-to-wall ratio (WWR), exterior shading devices, and natural ventilation system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space programming energy requirements to minimize the dependence on mechanical service. 4) Lastly, typical laboratory space zoning categories can be revised, reversed, and even reconfigured to minimize the energy load and adjust to the site context. This study can provide deep insights into various design strategies employed for construction of green laboratories along with intuitive arrangement of various building components such as laboratory spaces, lab support spaces, office spaces, and common public area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wards creating improved designs of laboratory facilities with reduced carbon footprint and greenhouse emissions.

Comparative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Geniposide, Crocins and Crocetin by CCl4-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Chen, Ping;Chen, Yang;Wang, Yarong;Cai, Shining;Deng, Liang;Liu, Jia;Zhang, Ha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2호
    • /
    • pp.156-162
    • /
    • 2016
  • Iridoid glycosides (mainly geniposide) and crocetin derivatives (crocins) are the two major active constituents in Gardenia jasminoides Ellis. In the present study, geniposide, crocins, crocin-1 and crocetin were separated from gardenia chromatographically. Then,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geniposide (400 mg/kg b.w.), crocins (400 mg/kg b.w.), crocin-1 (400 mg/kg b.w.) and crocetin (140 mg/kg b.w.) once daily for 7 days with $CCl_4$. Hepatoprotective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biochemical parameters: Administration of geniposide, crocins, crocin-1and crocetin significantly lowered serum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levels in $CCl_4$-treated mice. The reduced glutathione (GSH) levels and antioxidant enzymes (SOD and CAT) activities were also increased by geniposide, crocins, crocin-1 and crocet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livers showed that these components reduced deformability, irregular arrangement and rupture of hepatocyte in $CCl_4$-treated mice. These biochemical results and liver histopathological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geniposide, crocetin derivatives and crocetin show comparative beneficial effects on $CCl_4$-induced liver damage via induction of antioxidant defense. Therefore, contents of geniposide and crocetin derivatives should be both considered for hepatoprotective efficacy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함정 마스트 장착 레이더용 회전 중형 안테나의 외부 형상 설계 (Outer Shape Design of Rotating Medium Antenna Installed on Ship Mast)

  • 조기대;김기완;권민상;홍성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8호
    • /
    • pp.843-850
    • /
    • 2012
  • 함정 전투체계의 운용개념 및 탐색 레이더의 운용성능을 고려하여 설계된 안테나는 반도체형 송수신기들로 구성된 능동배열안테나 시스템이다.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장비들을 배치하면, 전체 형상은 상당히 큰 크기의 박스 형태가 된다. 함정 마스트에 장착되어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안테나 시스템은 가혹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밀폐된 하우징을 사용한다. 하우징의 외부형상을 결정할 때, 기존 설계는 강풍이 존재하더라도 정상 회전 유지가 중요한 설계 고려 요소이다. 최근에 함정의 생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저피탐 설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피탐 설계요소를 추가하여 제안된 4 가지 모델에 대해서 외부 형상 설계를 분석하였다.

고부하에서의 보일러 플랜트 부하변동 묘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cess Model for Description of Load Change of Boiler Plant in High Load)

  • Park, Jeong;Lee, Ki-Hyun;Yang, Li-Ming;In, Jong-Soo;Park, Seok-Ho;Kweon, Sang-Hyeok;Oh, Dong-Han
    • 에너지공학
    • /
    • 제6권1호
    • /
    • pp.41-51
    • /
    • 1997
  • 단일 드럼형 보일러를 갖는 발전 플랜트의 동특성 해석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이 모듈 개념을 기반으로 묘사된다. 현재의 프로세스 모델은 플랜트 전체 구성 요소 및 고부하에서의 부하 변동을 포함하며 lumped parameter에 의해 물리적으로 접근된다. 플랜트 성분을 의미하는 모듈은 필수적으로 성분 특성을 잘 묘사하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배열에 대해 압력점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프로세스 모델의 발전 플랜트 시스템에 대한 적용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100MW발전 플랜트의 실제 운전 LOG-IC을 갖는 제어 시스템에 연결하여 3MW/min 부하 변동율로 75MW에서 95MW, 95MW에서 75MW조건에 대해 조사된다.

  • PDF

사람태아 성장기 모낭에서 결합조직-상피 경계부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in Anagen Hair Follicle of Human Fetus)

  • 김백윤;박민아;남광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3호
    • /
    • pp.321-332
    • /
    • 1997
  • The dermal papilla is known to playa major role in influencing the form and dynamics of the hair follicle, which probably involves regulatory substances crossing the basal lamin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junctions between the dermal papilla and the surrounding epithelial cells of the hair bulb, or between the connective tissue and the epithelial cell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ultra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dermoepidermal junction of the skin and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of normal anagen hair follicles in the human fetal scalp ski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of dermoepidermal junction in scalp skin showed that basal lamina was very irregular and undulated, and it contained many attachment plaques of hemidesmosomes with sub-basal dense plates, tonofilaments, and anchoring filaments. Also invaginations of plasma membrane of basal keratinocytes were see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oth on the outside of the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as compared with similar junction in the skin. In particular, neither hemidesmosomes nor tonofilaments, as seen in dermoepidermal junction, were observed in the dermal papilla. Also attachment plaque, sub-basal dense plate and anchoring filaments were not observed at the junction on the outside of the follicle and the dermal papilla.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nnective tissue-epithelial junctions on the outside of the hair follicle and around the dermal papilla, ie, smoothness of basal lamina and orthogonal arrangement of collagen fibers were seen in the outside of hair follicle, but not in the dermal papill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air follicle and the connective tissue component is much weaker than that between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in skin, and it reflects the dynamic processes during the anagen phase of the hair follicle compared to the relatively permanent state of the epidermis.

  • PDF

전위계차 센서를 이용한 원격센싱을 위한 ELF 대역 EMI 제거 및 PLN 응용 연구 (Study on EMI Elimination and PLN Application in ELF Band for Romote Sensing with Electric Potentiometer)

  • 장진수;김영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1호
    • /
    • pp.33-38
    • /
    • 2015
  • 분 논문에서는 전위계 센서를 이용한 비접촉식 동작인식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1K Hz 이하의 극저주파 EMI를 제거하는 기법과 제스처 동작 시작점 추출을 위한 PLN(Power Line Noice)을 이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스마트기기 상에 장착된 전위계차 센서 주변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대역의 전기장의 세기를 측정하여 효율적인 센서의 배치를 통해 EMI를 제거하는 동시에 60Hz 대역의 PLN 잡음은 오히려 동작 시작점 검출을 위하여 이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후, 접지를 통해 스마트 기기 및 센서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원선 잡음을 제거하고, 스마트 TV와 센서의 사이를 차폐시킴으로써 스마트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필터기법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미세 잡음을 제거한다. 전위계차 센서를 스마트기기의 비접촉식 원격제어에 활용하기 위한 극저주파대역 EMI의 효과적인 제거 기법 및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전위계차 센서의 비접촉식 응용에 난제중 하나인 동작시작점 검출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제스처 인식거리를 실제 응용가능한 3m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보였다.

휴대방송에서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 (Improving Subtitle Design of Mobile Broadcast)

  • 차현희;윤승금;이광직;최성진;이선희;박구만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28-137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 지상파 DMB의 방송자막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방송자막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시청 시 방송자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글자 수의 최소화, 명료성을 높이는 글자체와 색상의 배열, 구성 요소의 재배치가 방송자막의 가독성을 높이는 주요 요소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실제 지상파 DMB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화질, 화면 구성, 색상 및 명암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낮았다. 또한 방송자막의 가독성, 정보의 전달, 자막 구성, 글자체, 글자 수 및 글자 크기 등의 평가에서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방송자막 형태 및 구성, 정보량의 제한, 글자의 선명성 및 크기, 색상 배치 및 선명성 등에서 지상파 DMB 화면에 적합하고, 사용자의 편이성을 고려한 자막 디자인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