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usal effec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4초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유발, 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ckground music of TV documentary on audience's recall memory, flow, arousal of interest, evaluation)

  • 박덕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11-417
    • /
    • 2017
  • 본 연구는 미디어 효과 연구 분야에서 채널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배경음악의 사용이 TV다큐멘터리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미디어 효과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송신자 요인과 메시지 요인 등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 지식 습득, 태도, 행위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미디어의 채널요인으로 볼 수 있는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다양한 종속변인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제한적이며, 특히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사용된 배경 음악이 수용자의 회상 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생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배경음악의 유무에 따라 2개의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에게 TV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시청하게 한 후, 이들의 회상기억, 몰입도, 흥미 유발, 작품 평가 등을 물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10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TV 다큐멘터리의 배경 음악이 수용자들의 몰입도와 흥미 유발 정도를 증가시켰으며, 작품 평가도 더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V 다큐멘터리의 배경음악이 수용자들의 회상 기억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sychological Benefits of One-to-one Marketing in Apparel E-commerce: An Approach with Perceived Usefulness, Pleasure, Arousal, and Attitude toward the E-store

  • Lee, Eun-Jung;Kim, Han-Na;Noh, Mi-Jeo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46-658
    • /
    • 2011
  • Wide-spread practitioner literature exists for the one-to-one marketing effect from a firm's perspective; however, limited research discusses the psychological effect of one-to-one marketing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The authors test a model that integrates the level of consumer-perceived one-to-one marketing effort (OTO-E), instrumental (i.e., perceived usefulness) and affective benefits (Le., pleasure and arousal), and attitude toward the e-store (ATE). The analysis of an online survey (conducted with 195 U.S. undergraduates) confirms the positive effect of level of OTO-E on the benefits that influence ATE. In addition, it reveals the positive effect of the affective benefits on the instrumental benefit. The results expand the current research on the value of one-to-one marketing by presenting a consumer-oriented approach. A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U.S. market with intense consumer demands for individuation of service, the results should provide useful managerial/ theoretical implications to Korean apparel e-tailers, concerning their future implementation of one-to-one marketing.

Window Creativity of a Fashion Store -Its Effects on Consumer Emo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 Choi, Ara;Jang, Ju Yeun;Choo, Ho J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32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fashion store window creativity and examines its effects on consumer responses. Through an expert evaluation survey, this study proposes that fashion store window creativity involves originality, relevance, and artistry. Two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to the level of window creativity are collected using psychophysiological and self-report methods. Fashion store window creativity has positive effects on psychophysiological affective responses. When the three dimensions of creativity are specified as explanatory factors of emotional responses, relevance and artistry show positive effects on arousal and pleasure, whereas origina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pleasure. Its effect on attitudes is mediated by arousal and pleasure; in addition, the effect on entering intentions is mediated by arousal. Attitudes toward window display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ering intentions. This study extends existing research on creativity in marketing into the context of visual merchandising in fashion store windows. Finding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the effects of fashion store window creativity on emotions affect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By adopting multiple approaches in the empirical pha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are built on strong reliability and validity.

공익캠페인의 정서성, 자아관련성, 시각적 주의가 캠페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뇌파(EEG) 기반 각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ffective Valence, Perceived Self-Relevance, and Visual Attention on Attitudes toward PSA's Issues: Moderated Mediation of Digital EEG Arousal)

  • 양병화;조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07-117
    • /
    • 2017
  • 본 연구는 조건과정모델링에 기초하여 공익광고캠페인의 정서성과 이슈에 대한 수용적 태도의 관계에서 시각적 주의와 지각된 자아관련성의 매개효과와 매개변인에 대한 EEG 각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SPSS 22.0의 Multiple Mediation 절차와 SPSS Macro(14번)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공익캠페인의 정서성은 지각된 자아관련성을 매개로 이슈에 대한 수용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둘째, EEG 각성은 시각적 주의 및 지각된 자아관련성과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성과 수용적 태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자아관련성의 매개효과는 EEG 각성에 의해 조절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익캠페인의 부정소구보다는 긍정소구에서만 유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익광고캠페인의 정서소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익캠페인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자아관련성과 주의를 전략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제 무관련 정서 점화가 신념편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sk-irrelevant affective priming on belief-bias)

  • 홍영지;우현정;이윤형
    • 인지과학
    • /
    • 제28권1호
    • /
    • pp.43-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와 무관련한 정서 자극에 의한 점화가 고차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서 점화 자극이 삼단논법추론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점화 자극인 IAPS 사진의 정서차원을 통제하고 각성차원을 조작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IAPS 사진의 각성차원을 통제하고 정서차원을 조작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과제와 무관련한 정서 점화 자극이 제시된 뒤에 세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삼단논법추론 과제가 제시되었으며 참가자들의 추론 정확률이 측정되었다. 점화 자극의 정서차원은 결론 문장의 타당성과 신념에 따른 신념편향(belief-bias)에 영향을 미쳤으나 점화 자극의 각성차원은 추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긍정정서는 신념 편향을 감소시켜 논리적, 분석적 처리를 향상 시켰으나 각성차원은 추론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차원과 각성차원이 고차인지능력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호텔 실내공간 색채이미지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과 행동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of User's with the Color Images of Indoor Space in Hotels)

  • 김수희;김봉애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2호
    • /
    • pp.67-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behavior with the color images of indoor space in hotels. The study methods evaluation experiments of emotion and behavior with computer graphic image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image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r's emotions. Lobby and restaurant had difference in pleasure arousal emotion by color image, and also guest room had difference in pleasure dominance emotion by color image. Second, The color image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r's behavior. Also lobby and restaurant had difference in movement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by color image, and guest room had difference in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by color imag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user's emotions on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In the lobby, the more un-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resting behavior increasing. And the more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increasing. In the restaurant, the more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eating hobby behavior increasing. The more 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resting behavior increasing. The more un-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eating behavior increasing. In the guest room, the more un-arousal dominance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hobby eating resting behavior increasing. And also the more arousal increasing of users, the more movement behavior increasing.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각성지수와 임상양상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Indice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ho Performed Polysomnography)

  • 김성경;이상학;강현희;강지영;김진우;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3호
    • /
    • pp.183-190
    • /
    • 2009
  • Background: Repeated arousals during sleep have been known to be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ousal indices and clinical paramet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performed polysomnography for a diagnosi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e defined total arousal index (TAI) as the number of arousals per hour and respiratory arousal index (RAI) as the number of arousals associated with apnea or hypopnea per hour.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rousal indices and apnea-hypopnea index (AHI) (RAI vs. AHI, r=0.958, p<0.001; TAI vs. AHI, r=0.840, p<0.001). RAI and mean oxygen satur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0.460, p=0.002). TAI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MSBP) and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MDBP) (TAI vs. MSBP, r=0.389, p=0.014; TAI vs. MDBP, r=0.373, p=0.019).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rousal indices and parameters of sleepiness. RAI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mass index (BMI) and neck circumference (NC) (RAI vs. BMI, r=0.371, p=0.017; RAI vs. NC, r=0.444, p=0.004). When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djust for other 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AI and AHI (r=0.935,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respiratory arousal index could be a useful index reflecting of severit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rousal during sleep would be concerned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ome anthropometric factors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ousals during sleep.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any cause-effect relationship.

Store's Visual Sensory Cues, Emotion, and Reusage Intention

  • Choi, Nak-Hwan;Zhang, Jia-Ling;Chen, 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35-45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ediation roles of the arousal and pleasure in the effects of the congruity between visual sensory cues of a retail store and consumers' self-image on the intent to reuse the st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from 278 Chinese consum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online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1.0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 Store's visual sensory cues congruent with consumers' self-image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reuse the store, and had positive impacts on both their arousal and pleasure states. The consumers' pleasure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intention, but their arousal did not influence on the intention. Consumers' pleasure played mediation roles in the effect of the congruity on the intention to reuse the store. Conclusions - Retail store marketers should pay attention to visual sensory cues to match the cues to consumers' self-image, when designing their store settings. When developing the cues, to help consumers feel pleasure which in turn, induces loyalty to their store, the marketers should develop the atmosphere setting in the respects of the congruity between the visual sensory cues and the self image.

뉴로-퍼지를 이용한 수면 외적 요인과 개인 수면 각성의 관계 영향 요소 분석 (The Analysis of Neuro-Fuzzy on External Factors of Sleep and Personal Sleep Arousal)

  • 하정호;최선탁;김준호;조위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7호
    • /
    • pp.175-182
    • /
    • 2018
  • 본 논문은 수면 환경이 개인 수면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최적 수면 환경을 산출하는 연구이다. 입출력 데이터 집합을 선정하고 뉴로-퍼지 기법을 이용해 최적화된 수면 환경 정보를 산출한다. 수면 지속 시간을 고려한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산출된 각성 비율은 12%이며, 기존 연구에 비해 최소 5% 낮은 각성 비율을 얻었다.

보컬 음역대와 음악 조성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반응 (Affective responses to singing voice in different vocal registers and modes)

  • ;정현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음역대의 목소리로 노래한 음악(고음역대, 저음역대)과 불려진 음악이 조성적으로 다른 경우(장조/단조) 감상자가 경험하는 정서적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음악은 첫째 옥타브 차이를 두고 높은 음역대와 낮은 음역대의 가창 영역과 둘째, 조성적 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장조와 단조를 사용한 총 네 가지 음원을 사용하였다. 총 188명의 여성 대학생들이 온라인 설문으로 참여하였으며 시각아날로그척도(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지각한 정서가와 각성 수준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wo-way analysis of variance(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음역대 간의 유의미한 정서 반응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정서가(valence)보다는 각성 수준(arousal level)에 더 많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조성 또한 정서가와 각성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나 두 정서 변인 중에서는 정서가에 더욱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음역대와 조성의 상호작용이 정서가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각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 나아가 감상자들이 단조 음악의 높은 음역대 조건에서 가장 부정적인 정서가를 보여주였고 단조 음악의 낮은 음역대 조건에서는 가장 낮은 각성 반응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 감상시 그 음악의 음역대와 조성을 고려해서 선곡해야 함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