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izona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5초

형상이차미분을 이용한 자유곡면 형상복원법 (Free-Form Surface Reconstruction Method from Second-Derivative Data)

  • 김병창;김대욱;김건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73-278
    • /
    • 2014
  • 일련의 국부영역으로부터 이차미분값을 획득하여 전체 형상을 복원하는 측정법을 제안하였다. 측정시 기울기가 제거된 국부형상에 대해 곡률과 이차미분이 동일시 되는 점을 이용하여, 3개의 이차미분값으로부터 직교하는 2방향을 따라 3차원형상을 복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임의로 발생시킨 Zernike다항식의 계수로 자유곡면형상을 생성시키고, 구현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검증과정을 수행하였다. 적용한 결과 최대 0.8 mm Sag를 갖는 직경 200 mm영역의 자유곡면형상에 대해 RMS 19 nm 형상복원오차를 갖고 복원됨을 확인하였다. 측정오차에 대한 복원오차 민감도를 진단하기 위해 SNR(Signal-to-Noise Ratio) 16의 가우시언 랜덤 노이즈를 부여한 후, 복원되는 형상의 오차를 진단한 결과, 197 nm의 형상복원오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교육 프레임워크 및 인지적학습환경 설계 (Designing the Instructional Framework and Cogni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39-6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기반의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인지적 학습환경 구성의 절차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수집 및 발견의 단계에서 추상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과 문제해결의 모형을 선택하는 학습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자동화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기반으로 문제해결 및 예측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AI의 교수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지적 학습환경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Computational Thinking의 핵심 사고과정 중 하나인 추상화의 단계를 중심으로 절차를 구성하였으며, Agency(학습보조)에서 Modeling(인지적 구조화)으로의 전이를 토대로 학습구성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공지능교육의 프레임워크와 인지적 학습환경 구성의 절차는 Computational Thinking을 기반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추후 인공지능기반 교수학습연구의 근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mparison between dental and basal arch forms i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s utiliz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Suk, Kyung Eun;Park, Jae Hyun;Bayome, Mohamed;Nam, Young-Ok;Sameshima, Glenn T.;Kook, Yoon-A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22
    • /
    • 201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dental and basal arch forms in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ethods: CBCT images of 32 normal occlusion (19 males, 13 females; 24.3 years) and 33 Class III malocclusion subjects (20 males, 13 females, 22.2 years) were selected. Facial axis and root center points were identified from the left to right mandibular first molars. Distances between the facial axis and root center points for each tooth were calculated, and 4 linear and 2 ratio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alculated for each arch form. The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by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ppli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dental and basal variables within each group. Results: The mandibular dental and basal intercanine width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lass III group than in normal occlusion subjects (p < 0.05). The dental and basal intercanine widths as well as the dental and basal intermolar widths were strongly correlated in normal occlusion and moderately correlated in Class III malocclusion. Conclusions: The dental arch form demon strat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asal arch form in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moderate correlation in the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se results might be helpful for clinician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basal arch form in the alveolar bone.

Promoting Safety Behaviors Among Korean American Students in USA: Evaluation of the Risk Watch$\circledR$ Curriculum

  • Gong, Deukhee;Orpinas, Pamel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9-93
    • /
    • 2003
  • Childhood injuries are the primary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among children aged 5 to 14. Consistent practice of learned safety behaviors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severe injuries among children. However, safety behavior concern is low among Korean-American children specifically and American children, in general.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an unintentional injury prevention curriculum, Risk Watch among Korean-American children.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for the designed of the study. Two intervention and two control Korean schools in Atlant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weekly lessons in traffic, bicycle, pedestrian, and fire safety. One hundred and two students completed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main outcomes were safety behaviors (seat belt use or helmet use), behavioral intentions, and safety knowledge.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Strong intervention effects were found for increasing knowledge of all safety topics in the intervention group. Addition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vention effects were detected for increasing seat belt and helmet use, as well as behavioral intentions of wearing a seat belt and wearing a helmet, among pre-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students. For students in grades 1 and 2, intervention effects were found for increasing helmet use. Among students in grades 3 to 8,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for seat belt us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modifying and supporting unintentional injury prevention programs for school children are discussed.

상자 모양 용기에서의 역전된 신장 효과 (Reversed Elongation Effect on Boxes)

  • 김동은;송현진;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9권2호
    • /
    • pp.19-26
    • /
    • 2016
  • 기존 연구들에서는 사람들이 길고 가는 원통형 용기의 부피를 짧고 넓은 원통형 용기의 부피보다 크다고 지각한다는 점을 밝혀왔다(예, Raghubir & Krishna, 1999; Wansink & Van Ittersum, 2003).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장 효과가 상자형 용기에서는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을 밝히었다. 가설은 상자형 용기의 행동 유도성으로부터 도출되었다. 두 개의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짧고 넓은 사각 상자 용기의 부피가 길고 가는 사각 상자 용기의 부피보다 더 크다고 지각하였다. 이 효과는 자극의 제시 방법(그림, 연구 1; 실제 모형, 연구 2)이나 선택지 유형(둘 중 큰 것을 고르는 선택지, 연구 1; 둘 중 큰 것을 고르거나 같은 경우를 고르는 선택지, 연구 2)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참가자 집단(미국인 참가자, 연구 1; 한국인 참가자, 연구 2)에서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용기 안의 내용물이 물(연구 1)인 경우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액체 음료(연구 2)라고 설정했을 때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함의가 논의되었다.

Complexity Analysis of the Viking Labeled Release Experiments

  • Bianciardi, Giorgio;Miller, Joseph D.;Straat, Patricia Ann;Levin, Gilbert V.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14-26
    • /
    • 2012
  • The only extraterrestrial life detection experiments ever conducted were the three which were components of the 1976 Viking Mission to Mars. Of these, only the Labeled Release experiment obtained a clearly positive response. In this experiment $^{14}C$ radiolabeled nutrient was added to the Mars soil samples. Active soils exhibited rapid, substantial gas release. The gas was probably $CO_2$ and, possibly, other radiocarbon-containing gases. We have applied complexity analysis to the Viking LR data. Measures of mathematical complexity permit deep analysis of data structure along continua including signal vs. noise, entropy vs.negentropy, periodicity vs. aperiodicity, order vs. disorder etc. We have employed seven complexity variables, all derived from LR data, to show that Viking LR active responses can be distinguished from controls via cluster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te techniques. Furthermore, Martian LR active response data cluster with known biological time series while the control data cluster with purely physical measures. We conclude that the complexity pattern seen in active experiments strongly suggests biology while the different pattern in the control responses is more likely to be non-biological. Control responses that exhibit relatively low initial order rapidly devolve into near-random noise, while the active experiments exhibit higher initial order which decays only slowly. This suggests a robust biological response. These analyses support the interpretation that the Viking LR experiment did detect extant microbial life on Mars.

Up-regulation of NHE8 by somatostatin ameliorates the diarrhea symptom in infectious colitis mice model

  • Lei, Xuelian;Cai, Lin;Li, Xiao;Xu, Hua;Geng, Chong;Wang, Chunhu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2권3호
    • /
    • pp.269-275
    • /
    • 2018
  • $Na^+/H^+$ exchangers (NHEs) have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regulating cell volume and maintaining fluid and electrolyte homeostasis. Pooled evidences have suggested that loss of $Na^+/H^+$ exchanger isoform 8 (NHE8) impairs intestinal mucosa. Whether NHE8 participates in the pathology of infectious colitis is still unknown. Our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somatostatin (SST) could stimulate the expression of intestinal NHE8 so as to facilitate $Na^+$ absorption under normal condition. This study further explored whether NHE8 participates in the pathological processes of infectious colitis and the effects of SST on intestinal NHE8 expression in the setting of infectious colitis. Our data showed that NHE8 expression was reduced in Citrobacter rodentium (CR) infected mice. Up-regulation of NHE8 improved diarrhea symptom and mucosal damage induced by CR. In vitro, a similar observation was also seen in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infected Caco-2 cells. Seglitide, a SST receptor (SSTR) 2 agonist, partly reversed the inhibiting action of EPEC on NHE8 expression, but SSTR5 agonist (L-817,818) had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NHE8. Moreover, SST block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in EPEC-infected Caco-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hancement of intestinal NHE8 expression by SST could ameliorate the symptoms of mice with infectious colitis.

Azotobacter vinelandii Shethna Flavoprotein 의 Free Radical 생성(生成)을 위(爲)한 전자전달물질(電子傳達物質)- (Electron Transport Carrier for the Free Radical Shethna Flavoprotein in Azotobacter vinelandii)

  • 전재근;골드 토-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31-40
    • /
    • 1973
  • Azotobacter vinelandi의 세포추출물(細胞抽出物)들이 Shethna flavoprotein의 free radical 형(型)으로의 전자전달기구(電子傳達機構)에 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전자전달(電子傳達)에 관여도(關與度)가 높은 단백질(蛋白質)로 황색형광성단백질(黃色榮光性蛋白質)(protein I)과 갈색단백질(褐色蛋白質)(protein II)을 정제(精製)하였고 이들은 $N_2$ 기압하(氣壓下) 또는 aceton-dry ice 동결(凍結)저장하에서도 쉽게 실활(失活)되었고 반응속도(反應速度) 역시 너무 완만하여 생체내반응(生體內反應)이기에는 의문점을 보였다. 한편 세포추출물중(細胞抽出物中)의 FMN은 NADH에 의(依)하여 환원이 쉽게 이루어졌으며, 환원형 $FMNH_2$는 비효소적(非酵素的)으로 Shethna flavoprotein 의 free radical 을 형성(形成)시켰으며 , 효소적반응속도(酵素的反應速度)보다 15배(倍)의 높은 반응속도(反應速度)를 보였다. 비록 FMN이 생체내(生體內)에서 타(他)단백질과 비결합형(非結合型)으로 존재(存在)하지 않는다해도 FMN의 전자전달체(電子電達體)의 가능성(可能性)을 제시(提示)하였다.

  • PDF

캘리포니아 주내 지방정부의 성장관리 규제가 주택건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980년대말을 중심으로 (Effects of Growth Controls on Homebuilding in California Local Jurisdictions: Focusing on the late 1980s)

  • Pillsung Byun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906-921
    • /
    • 2003
  • 본 연구는, 미국 지방정부의 성장관리 규제가 유발시키는 지역주택시장내 가격상승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성장관리가 가질 수 있는 주택건설 억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실증 분석은 1980년대말 캘리포니아내 지방 정부를 대상으로 했으며. 공간계량경제 모델을 활용했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성장관리의 주택가격상승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즉, 캘리포니아 주와 같은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되는 일반화된 결과를 얻었고. 개별 성장관리 규제가 주택건설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했으며, 아울러 공간효과, 특히 공간적 자기상관을 분석모델에 반영시킴으로써 분석의 설명력을 제고했다. 모델링 결과, 주거용도지역내 허용개발밀도를 저하시키려는 일련의 성장관리규제는 주택건설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주택건설 및 도시성장을 지방정부가 설정한 지역내에 한정시키는 규제는, 오히려, 주택건설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연간 인구증가 및 건축허가건수를 제한하는 규제와 주택건설업자의 공공하부구조 공급을 강제하는 법규는 주택건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Nesting 기법을 이용한 돌발홍수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lash flood forecasting model using method)

  • 지희숙;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3-403
    • /
    • 2012
  • 최근 단시간 동안에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적 호우에 의한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위험과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돌발홍수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다양한 비구조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활용되는 예측모형의 경우 개념적 유출량인 한계유출량으로부터 돌발홍수능(Flash Flood Guidance, FFG)을 결정하여 예측 강우와 상대적인 대소 비교를 통해 돌발홍수의 발생가능성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데, 문제는 산정되는 한계유출량은 개념적이기 때문에 검증이 어렵고 산정방법도 다양하여 불확실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돌발홍수 예측 방법이 아닌, 수문모형 Nesting 기법을 이용한 돌발 홍수 예측 방법을 개발하였다. 저해상도의 대유역 기반의 유출량이 큰 영역의 경계값이 되고, 대유역을 이루고 있는 소유역을 고해상도의 작은 영역이라 할 때, 경계값인 대유역의 기반의 유출량을 참고 유출량으로 하여 소유역의 유출을 물리적 혹은 개념적으로 보다 타당하게 모의하는 방법이 수문모형 Nesting 기법이다. 이러한 기법에 필요한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대유역의 경우, SURR 모형(Sejong University Rainfall-Runoff model)을 선택하였으며, 대유역을 이루는 소유역의 유출모의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CASC2D 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실시간 활용을 위해서는 CASC2D 모형의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추정하는 기술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 전역 최적화 방법인 SCE-UA(The Shuffled Complex Evolution, 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문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계된 두 모형의 유출거동이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esting 기법을 이용하여 0.5m 하천 수위의 상승 여부에 따라 돌발홍수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돌발홍수 사례와 일반호우사상으로부터 이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돌발홍수가 발생한 유역을 선정하고 연계된 두 모형을 대상 유역에 적용한 결과 Nesting 기반의 돌발홍수 예측방법은 기존의 한계유출량 산정 방법에서 반영하지 못한 사상을 적절히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esting 기법을 이용한 돌발홍수 예측모형은 일반적인 강우량 비교의 돌발홍수 예측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돌발홍수 예측방법을 제안한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시간 돌발홍수 예측 시스템의 기본 모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