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tium lappa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초

Screening and Biotransformation of Interleukin-1$\beta$ Converting Enzyme Production Inhibitors from Arctii fructus

  • KIM HYUN A;YOON DO YOUNG;LEE SANG MYUNG;BAEK SEUNG HWA;HAN GYOON HEE;KHO YOUNG HEE;LEE CHO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69-273
    • /
    • 2005
  • Five dibenzylbutyrolactones were isolated from a methanol extract of Arctii fructus (Arctium lappa L.) by bioassay-guided isolation, using the interleukin-l $\beta$ converting enzyme (caspase-l, ICE) production inhibitory assay in vitro. These compounds were spectroscopically identified as lappaol E (1), lappaol A (2), matairesinol (3), arctigenin (4), and arctiin (5). Among the compounds tested, arctigenin (4)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for ICE production in IL-$\beta$-induced proliferation of D 1 OS cells.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arctigenin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CE protei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estimate the biotransformation of Arctii fructus in vivo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we carried out an anaerobic incubation of the Arctii fructus extract with a human fecal suspension. From the HPLC analysis of metabolites, Arctiin (IC$_{50}$=74.2$\mu$g/ml), a major component of Arctii fructus, was transformed to aglycone, arctigenin (IC$_{50}$=12.5$\mu$g/ml),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The IC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Arctii fructus would be much stronger in vivo than in vitro due to the biotransformation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STUDIES OF ACNE TREATMENT USING ORIENTAL HERBS (New Approach to select anti-acne agents)

  • Chunja Nam;Y.G. Han;Kim, S.J.;Kim, J.H.;Oh, J.Y.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9년도 IFSCC . ASCS 학술대회 발표 논문
    • /
    • pp.111-121
    • /
    • 1999
  • Acne vulgaris, the most common skin disease. can be formed as only a few comedons or severe inflammatory lesions. The pathogenesis of acne involves various factors; excessive androgen, excessive sebum production, abnormal alteration of follicular epithelium, proliferation of Propionibacterium acnes, and inflammation. We investigated acne therapy using oriental herbs describ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 (Dong-ui-bo-gam). Oriental herbs (Angleica daurica. Arctium lappa. Coptidis rhizoma, and glycyrrhiza glabra) were chosen based on their respective property of sebum control,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 examined the effect of acne treatment, in terms of chemotactic inhibition, lipogenesis inhib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for P. acnes. 1. Neutrophil chemotaxis assay ; P acnes secrete chemotactic factors and other pro-inflammatory extracellular products. Neutrophil chemotactic activity of P. acnes was measured by 48-well chemotaxis method. Angelica daurica clearly suppressed chemotactic activity of P. acens. 2. Using sebaceous gland of hamster ear lipogenesis assay; Sebaceous lipogenesis was measured using ear biopsies by incubation of $C^{14}$ -acetate in culture media. The $C^{14}$ -labeled lipids were extracted and determined by liquid scintilation counting, Coptidis rhizoma markedly inhibited sebum production, 3. Anti-bacterial assay for P. acnes (MIC test) Glycyrrhiza glabr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P. acnes did not develop resistance against Glycyrrhiza glabra. Retinoids are effectively to inhibit sebum production and regulate follicular keratinization process, with littl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gelica daurica suppressed neutrophil chemotaxis. Coptidis rhizoma inhibited sebum production, and Glycyrrhiza glabr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acnes. A combined formulation of Angelica daurica. Coptidisr hizoma and Glycyrrhiza glabra is expected to provide effective acne treatment.ent.ive acne treatment.

  • PDF

피부세포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과 관련된 PAR-2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한약재 탐색 (Screening of Herbal Extracts to Reduce PAR-2 and Cytokine Expression Related to Atopic Dermatitis in Keratocytes)

  • 박선민;이정복;김다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0-274
    • /
    • 2011
  •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has marke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but the mechanism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Recent study exhibited that atopic dermatitis was exacerbated by the increase of proteinase-activated receptor (PAR)-2 expression, which activated $I{\kappa}B$ kinase --> nuclear factor kappa B. Therefore, we determined whether the allergens of dust mites induced the expression of PAR-2,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adehision molecule), interleukins (IL)-6 in HaCaT keratocytes and which herbal 1,3-butylene glycol extracts (Mori Cortex Radicis, Sanguisorba officinalis L., Arctium lappa Linne, Torilis japonica DC, Melia azedarach Linne var. japoinca Makino) suppressed their expression. Dust mite allergen increased PAR-2, ICAM-1 and IL-6 expression in HaCaT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up to $3{\mu}g/mL$ but their expression reached the plateau over the dosages. The allergen ($3{\mu}g/mL$) also secreted more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6 into the media. Among five different herbal extracts ($50{\mu}g/mL$), Mori Cortex Radicis and Sanguisorba officinalis L. suppressed the PAR-2, ICAM-1 and IL-6 expression in HaCaT cells, which was activated by dust mite allergen ($3{\mu}g/mL$) and they also reduced the secretion of TNF-${\alpha}$ and IL-6 into the media. In conclusion, Mori Cortex Radicis and Sanguisorba officinalis L. can effectively reduce the prevalence and progression of atopic dermatitis by dute mite allergen.

한약복합추출물(NI-01)의 항염증 및 소양감 억제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itching Effects of Herbal Medicine Complex Extracts(NI-01))

  • 김현아;김숙경;김배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41-34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herbal medicine complex extract (NI-01), which were prepared from 6 natural materials (Cinnamomum cassia Blume, Lonicerae Flos, Paeonia suffruticosa Andrews, Arctium lappa Linne, Schzandra chinesis Bailon, Elsholtzia ciliata Hylander),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inhibition of atopic dermatitis. anti-oxidative activity was confirmed by measuring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Cytotoxicity and NO inhibition were measured using RAW 264.7 cells to confirm anti-inflammatory efficacy. The test substance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pruritus-induced ICR mice to confirm the inhibition of pruritus. The bovine cornea opacity and permeability (BCOP)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safety for irritation. NI-01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and ABTS+ methods.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tests with RAW 264.7 cells, NO production was inhibited at NI-01 concentrations of 50 (14.9%) and 100 (4.2%) ㎍/mL, which indica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NI-01 also showed anti-itching effect after inducing of itching by compound 48/80 in ICR mice. NI-01 was proved to be a non-irritant substance in BCOP ass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herbal medicine combined extract (NI-01) has hig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itching effects, and safety for irritation. Therefore, herbal medicine complex extract (NI-01) is thought to be highly applicable for the inhibitory ingredients of the atopic dermatitis.

우엉가루함량에 따른 찹쌀다식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Dasik based on the Amount of Burdock(Arctium lappa) Powder)

  • 이인숙;남상명;나영아;신미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65
    • /
    • 2016
  • 본 연구는 우엉가루의 첨가량(3%, 6%, 9%, 12%)을 달리하여 우엉찹쌀다식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우엉찹쌀다식에 적합한 우엉가루의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엉찹쌀다식의 수분함량은 우엉가루 무첨가군인 대조군에 비해 우엉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01). L값, a값, b값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우엉가루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엉찹쌀다식의 당도는 우엉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우엉찹쌀다식의 경도와 부착성은 우엉가루 6% 첨가군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우엉가루 9% 첨가 이상에서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 씹힘성 등은 우엉가루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 활성은 우엉가루 9% 이상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관능 평가 결과, 우엉가루 3%, 6% 첨가군이 우엉을 첨가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관능 평가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우엉가루 9%, 12%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p<0.001).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우엉찹쌀다식 제조 시 가장 적합한 우엉가루 비율은 6%까지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우엉식초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Burdock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이슬;김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86-9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엉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하여 우엉식초의 발효조건에 대한 영향을 모니터링하여 발효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우엉 발효식초의 기능성 성분과 유효성분을 확인하였다. 식초 제조를 위해 우엉 추출액에 사과 농축액을 15% 첨가하여 알코올 발효시킨 결과, 5일 후 6.4%의 알코올이 생성되었다. 초산 발효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발효시간, 발효온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실험을 계획하였고, 발효액의 특성을 반응변수로 하여 실험한 후 발효조건을 최적화하였다. 17일간의 초산 발효 후 13개 실험구의 acetic acid 함량은 3.85~4.73%였으며, $R^2$ 값은 0.9850으로 1% 이내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Arctiin 함량의 범위는 0.37~0.50 mg%였으며, $R^2$ 값은 0.8380으로 5% 이내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우엉식초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superimposing 한 결과 발효시간은 16일, 발효온도는 $30^{\circ}C$로 예측되었다.

수종식물의 MCF-7 세포에 대한 세포사 및 항ㆍ증식효과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 정용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2004
  • 식용식물 Capsicum annuum L., Lactucs dentata Makino., Sedum sarmentosum Bunge, Perilla frutescens Brit., Agastache rugosa Kuntz, Equisetum arvense L., Chrysanthemum coronarium, Arctium lappa, Cinnamomum camphora Sibe.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TT 비색정량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upsicum annuum L. 추출시료를 첨가한 경우에 MCF-7세포의 성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결과에서 분명한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Capsicum annuum L. leaf은 1 $\mul/ml$ 첨가에서 35,3%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2.5 $\mul/ml$에서 42.9%, 7.5 $\mul/ml$에서 94.8%의 세포성장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 추출물 10 $\mul/ml$에서 75%, 25 $\mul/ml$에서 80%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 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추출시료 첨가군에서는 10 $\mul/ml$ 첨가에서 30%, 25 $\mul/ml$에서 52%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은 10 $\mul/ml$ 첨가군에서 11%, 25 $\mul/ml$에서 25%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배양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에서도, 첨가시료가 Capsicum annuum L. leaf인 경우 착상이 어렵고 3일부터는 세포탈락과 세포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6일째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사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 추출액을 첨가한 경우에도 배양4일에 세포의 변형과 성장지연이 관찰되었으며, 8일째에 파괴되기 시작하여 배양14일과 19일에 많은 세포사현상의 파편들이 관찰되었다. Equisetum arvense L.는 배양4일에 세포성장은 지연되었으나 여전히 잘 자랐으며 일부세포에서 변형이 관찰되었다. 12일째에도 성장은 계속되었고 일부세포만이 변형을 보였으며 18일째에도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이정준;김성훈;장병식;이중복;허철성;김태종;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64-770
    • /
    • 1999
  • 41종의 약용식물을 열수추출하여 위궤양 원인균으로 보고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항균활성을 탐색하였다. 2-fold dilution 방법에 의해서는 백련초, 어성초, 방기, 황련은 100 ppm이하, 백두옹, 연교, 종대황, 소엽은 200 ppm 이하, 사간, 우방자, 결명자, 귤피, 희침, 소목은 300 ppm 이하와 농도에서 H. pylori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중 3가지 추출물만이 disc 방법을 통해 항균활성이 재확인되었으며, 소목, 황련, 소엽의 순으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이 확인된 3가지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순차 분획하여 H.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소목의 경우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소엽의 경우는 butanol 분획물에서, 황련의 경우는 butanol과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분획에 따른 항균활성의 상승효과는 모든 추출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H. pylori의 crude-urease를 분리하여 urea R broth에서 흡광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반응 2시간 후 pH가 8.15까지, 560 nm에서의 흡광도는 1.7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 pylori의 urease 활성은 소목, 소엽, 황련에 의해 80%이상 억제되었으며, 이중 소목은 urease 활성을 95%이상 억제시켰다.

  • PDF

우엉뭉뚝날개나방(Tebenna issikii)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Rhabditida: Steinernematidae) against Tebenna issikii (Lepidoptera: Choreutidae))

  • 김형환;한건영;추호렬;이상명;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13-318
    • /
    • 2007
  •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하여 우엉뭉뚝날개나방 (Tebenna issikii) 에 대한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뭉뚝 날개나방 유충 당 40 마리 이상의 S. carpocapsae GSN1 계통 처리 시 우엉뭉묵날개나방 유충은 100% 치사되었으며 반수치시농도$(LC_{50})$는 5.7마리였다. 우엉뭉묵날개나방의 유충 한 마리에 S. carpocapsae GSN1 계통 감염태 유충을 5, 10, 20, 40 및 80 마리로 접종한 결과 1.4, 1.4, 3.2, 5.6 및 11.9 마리의 선충이 침입하였는데 침입율은 5 마리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접종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엉뭉뚝날개나 방 유충에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증식수는 증가하였다.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 이금양;손양주;전유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6-344
    • /
    • 2015
  • 우엉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가 쉬운 특징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은 가공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엉과 같은 근채류의 일종인 인삼, 도라지, 더덕 등이 증숙 및 건조과정 의해 생리활성 성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건 공정을 우엉에 적용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우엉의 활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증건 우엉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숙(3 h, $90-95^{\circ}C$)과 열풍건조(20 h, $60^{\circ}C$)를 9회 반복 수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wet basis)의 경우, 81.95%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건함에 따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4%의 함량을 보였다. 일반성분 함량을 건량으로 환산한 결과, 생 우엉의 탄수화물 함량은 85.58%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9회 증건 시 77.80%의 함량을 보였다. 한편, 조섬유의 경우 0회 증건시 10.14%의 함량에서 가공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종 9회 증건한 우엉에서 26.22%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초기 8.53%에서 점차 증가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16.69%의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역시 증건과정을 거침에 따라 증가하여 0회 증건 시 0.74%에서 9회 증건 시 1.72%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분 함량은 0회 증건 시 5.16%에서 9회 증건 시 3.79%로 감소하였다. 추출 수율은 생 우엉에서 68.95%이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27.10%를 나타내었다. 총 수용성 당, 환원당, 이눌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 우엉은 총 수용성 당의 약 86%가 이눌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증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되고 환원당이 생성되어 4-9회 증건 시료에서 총 수용성 당의 81-96%가 환원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말색도의 경우, 명도는 초기 84.49에서 9회 증건 처리 시 39.4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4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열수추출물의 갈색도는 7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포닌은 5회 증건 시료에서 6.17%의 최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은 3, 5회 증건 처리 시료에서 약 18-19 mg GAE/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FRAP활성에서도 3, 5회 증건 시료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 우엉 및 초기 증건 시료에서 풋내, 뿌리채소 냄새, 쓴맛, 떫은, 금속성의 특성이 있었으나, 이후 증건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면에 단 냄새, 구수한 냄새, 캐러멜 향미 및 바디감의 특성 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 우엉의 경우 이눌린의 생리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3-5회 증건한 우엉에서는 총 폴리페놀 및 사포닌 함량의 증가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단맛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엉 증건 횟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엉의 이용 가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