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al servic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7초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cord Retrieval System based on Topic Map)

  • 권창호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57-102
    • /
    • 2009
  • 최근,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의 유통과 이용이 증가하고, 정보적 활용 가치가 제고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기록정보서비스가 기록관의 중요업무로 부각되고 있다. 웹을 이용한 기록정보서 비스의 핵심은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정보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검색시스템의 기본 메커니즘인 이용자질의와 기록정보표현의 매칭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 관리자들은 다양한 정보표현 도구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용자들은 여전히 정보검색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는 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정보자원을 구조화하여 이용자 질의의 접근점을 확장하고, 의미있는 매칭을 통해 지식자원화된 검색결과값을 제공하기 위해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 검색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구축대상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불특정 이용자이며, 구축범위는 국가기록포탈의 기록자원 중 대통령 기록물로 선정하였다. 구축단계는 다음과 같다. 1)기록물의 기술정보 메타데이타를 중심으로 토픽맵 기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을 설계한다. 2)설계한 온톨로지 모델을 바탕으로 국가기록포탈에서 추출한 정보자원목록을 에디터를 이용해 토픽맵으로 반입하여 검색시스템으로 구현한다. 3)구축된 검색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테스트질의를 통해 토픽맵기반 검색시스템의 특징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평가한다. 최종적으로, 의미적 추론에 의한 연관 네비게이션검색을 확인하고, 분산된 기록정보자원 간의 연계된 결과값을 통해 지식자원화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에 관한 연구 -영국 TNA와 미국 NARA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ructur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Focusing on the TNA of UK and the NARA of USA)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28호
    • /
    • pp.83-121
    • /
    • 2011
  • 해외 보존기록관리기관이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는 이제 주요 서비스 메뉴이다. 국내의 여러 선행연구에선 해외의 교육용 프로그램 서비스 사례를 앞 다투어 소개하고 벤치마킹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왔지만, 관련 프로그램의 소개 수준에 그치면서 심층적인 사례 분석은 미흡한 감이 없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보다 심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영국 TNA의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교수 학습자료용 콘텐츠인 '토픽' 메뉴에서 '냉전' 콘텐츠를 샘플로 선택하여 그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미국 NARA의 경우도 교육 사이트를 개괄하고 주요한 콘텐츠인 '기록 수업' 메뉴의 '매카시' 콘텐츠의 내용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여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해외의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구조를 심층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과서와 같은 일관성 있는 내용 구성 체제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일차 사료를 원활하게 해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기록정보콘텐츠를 학령별, 교과 간에 연계 활용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일차 사료 선별 시 텍스트가 포함된 문서 사료를 우선으로 선별한다. 다섯째, 교수 학습자료용 기록정보콘텐츠는 반드시 교육 과정과 연계해서 개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보훈복지 관점에서 살펴본 미 육군의 인사기록 관리 체계 연구 (A Study on the Personnel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U.S. Army in terms of Veterans' Welfare)

  • 김용찬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259-286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의 보훈복지 사업 추진을 위한 근간이 되는 군 인사기록의 중요성과 철저한 기록관리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미 육군의 사례(육군 군 인사기록(AMHRR), 양방향 인사 전자기록 관리 시스템(iPERMS), 기록정보서비스)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 군에 적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보훈복지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함께 사회 저변에 군을 예우하는 풍토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시스템 분석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리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Authority Control System in Collecting Repository -from the case of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Democracy Foundation-)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91-134
    • /
    • 2006
  • 일반적으로 사적(私的)영역에서 수집되는 기록물, 즉 매뉴스크립트는 물리적 상태가 불량하고 기록물의 전후 맥락과 생산이력에 대한 정보가 파편적으로 수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수집형 기록관에서는 다양한 경로로 수집되는 기록물에 대한 생산기관(생산자)명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기록물 생산배경을 이해할 때 핵심요소인 출처정보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수집형 기록관에서 이러한 전거제어와 출처정보 관리는 수집부터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는 수집시 관리과정까지 고려하여 필요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이 개발한 사료관리시스템 가운데 전거제어 방식을 소개함으로써 수집형 기록관의 전거제어 및 출처정보 축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료관리에서 전거제어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사료전거제어 기준과 실무절차, 구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료관 사료전거시스템의 특징은 수집, 등록, 기술 등 각 업무 흐름에 따라 전거를 제어하고 출처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사료의 지적 관리와 검색도구로 이용한다는 것에 있다. 끝으로 이러한 전거관리 사례를 통해 국제표준인 ISAAR(CPF)를 준용하여 기관마다 적합한 형태로 기술요소를 재구성하고 전거파일 유형을 설정하여 표준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수집형 기록관에서 기록물 전거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Study on the Evaluating Service Quality in Special Subject Repository: Focused on the 5·18 Archives

  • Lee, Dae-Hong;Hong, Hyun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85-10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analyz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the users by evaluat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rchives, which is a representative,special subject repository, using the SERVQUAL model. To do this,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such as service satisfaction of the archive users, overall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of the action. Through this, this study developed service evaluation factors by considering the special subject repository.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선진 기술 현황 분석 및 적용 방안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Strategies for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 김태영;강주연;김건;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9-182
    • /
    • 2018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제도적${\cdot}$행정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기록관리 영역에 신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 선진 기술을 적용한 국내외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에 기록관 이외에 도서관, 박물관을 포함한 이유는 해당 기관들이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 하나의 범주로 포괄되기 때문이며,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에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 적용 시 문제점, 적용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변화된 전자기록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Web 2.0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eb 2.0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 남재우;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1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Web 2.0 기술에 대해 살펴본 후 기록정보서비스 개선을 위한 Web 2.0의 유용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다양한 Web 2.0 기술 중에서 유용성이 가장 높은 기술로는 Open API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RSS, Ajax, 소셜네트워크, 위키의 순으로 유용성이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록정보서비스를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사립대 아카이브즈의 위상과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ition and Performance of Private University Archives)

  • 손동유
    • 기록학연구
    • /
    • 제9호
    • /
    • pp.143-163
    • /
    • 2004
  • This study is for why Korean private universities make high position and performance on their archives. It's needless to say that archives of university is desperate for democratic management, historic and cultural identity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As for archives of private university, it has to be set by its own organization as the name of '00 university archives' if possible. At the same time both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working-level structure' should be activated for the better output. It might be helpful to empower itself. Archives of private university have to fulfill these basic role; aquisition, arrangement, classification, preservation etc./service/study of archival science /university history compiling. It could be expand to the link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open class and digital archive service.

연구기록의 웹 기반 정보서비스 평가 지표 개발 및 적용 - NTIS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valuation Measures for Web based Information Services of Research Records Archives - Focused on NTIS -)

  • 남연화;강주연;오효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45-372
    • /
    • 2017
  • 웹의 발전과 함께 연구기록의 보존 가치와 잠재적 활용 가치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웹을 활용한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연구기록의 웹 기반 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통해 현재 상황을 점검해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의 특성을 반영한 웹 기반 정보서비스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igiQUAL과 NDSLQual을 분석하여 기록정보서비스 유형별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연구기록을 활용한 정보서비스의 특징이 반영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지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NTIS를 사례로 들어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NTIS에서 제공하는 연구기록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 김소연;이은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7-10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정보서비스의 의미와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록정보 서비스의 연구 성과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해 기록정보서비스의 정의, 유형, 대상을 검토하여 기록정보서비스의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183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내용분석은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양적 지표를 기준으로 한 전반적인 연구추이 분석과 더불어 노드엑셀을 활용하여 확대된 내용분석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가 2006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점차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적용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러나 논의의 대상과 연구방법, 게재 학회지 등이 편중되어 있는 한계 또한 확인하였고, 향후 논의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