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es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4초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자해로 인한 혀 손상 : 증례 보고 (Self-inflicted Tongue Ulceration in a Patient with Tourette Syndrome: A Case Report)

  • 이꽃님;김미애;황인경;박지현;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7-333
    • /
    • 2016
  • 틱이란 불수의적이고 갑작스러운 소리냄과 리듬이 없는 근육의 움직임을 말한다. 다수의 운동틱과 한 가지 이상의 음성틱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뚜렛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운동틱에 의한 자해 행위는 뚜렛 증후군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본 증례에서 9세 소년이 혀의 심각한 궤양을 주소로 신경정신과로부터 의뢰되었다. 두 달 전부터 시작된 반복적인 혀 씹기에 의해 궤양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환아는 그로 인한 식이 및 연하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우리는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상, 하악이 분리된 가철성 장치를 제작하기로 결정하였다. 장치의 지속적 사용이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환아는 장치 장착에 동의하였으며 잘 적응하였다. 3주 후 혀의 병소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구강 내 자해 행위를 치료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침은 없다. 따라서 임상가는 약물 치료를 비롯하여 구강 내 장치 적용이나 관련 치아의 연마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출생 시 발생한 특발성 치은섬유종증 (IDIOPATHIC GINGIVAL FIBROMATOSIS AT BIRTH)

  • 이효설;최형준;최병재;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66-770
    • /
    • 2008
  • 치은섬유종증(Gingival fibromaotsis)은 치은조직의 섬유성 증식을 나타내는 드문 구강질환이다.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상염색체 우성 또는 열성의 유전성이거나 특발성일 수 있다. 주로 영구치 맹출 시기에 나타나기 시작하나, 드물게 유치열기나 출생시부터 이환되는 경우도 있다. 치은은 서서히 증식하여 치아의 해부학적 치관부위를 덮거나 구개 변이를 일으켜 혀 운동장애를 야기하거나 입술 폐쇄를 방해하기도 한다. 이 증례의 환아는 14개월 된 여아로 출생 시부터 계속된 치은증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특별한 가족력이나 의학적 병력은 없었고, 임상 유전검사 결과 알려진 어떤 증후군으로 진단되지 않았으나, 신체발달이 지연되어 있었다. 펀치 생검을 하였으며, 조직검사명은 치은섬유종증이었다. 가족력이 없어 특발성 치은섬유종증으로 진단하였다. 환아의 연령 및 전신 상태를 고려해 치은 절제술 등의 외과적 치료는 연기하기로 하였다.

  • PDF

Original Article 1 - 즉시 혹은 조기하중 임프란트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Immediate or Early Loading of Implants)

  • 이승연;김영균;윤필영;이양진;여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9-126
    • /
    • 2010
  • Introduction.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immediate loading to implant using temporary prosthesis, and compared the treatment results by each placement site, amongst pre-loading period. The study was intended to search for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the amount of marginal bone resorp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9 cases of implants from 29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September 2003 to September 2008. We grouped all the cases by placement arches and pre-loading periods, and subdivided each group by placement site(anterior/posterior), type of prosthesis(full-mouth cross splinting/Partial multiple splinting, Single). Results. In the cases of anterior maxilla, the average amounts of marginal bone resorption showed $1.71{\pm}0.71mm$ in group 1, and $1.44{\pm}0.69mm$ in group 2, which means the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2(p=0.646). In the cases of posterior maxilla, the average amounts of marginal bone resorption showed $1.25{\pm}0.72mm$ in group 1, and $1.14{\pm}1.15mm$ in group 2, which means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s of anterior mandible, there was no cases classified as group 4, but the average amounts of marginal bone resorption in group 3 showed $1.38{\pm}0.79mm$. In the cases of posterior mandible, Group 3 showed $1.39{\pm}0.64mm$, and group 4 showed $1.84{\pm}1.19mm$ as amounts of marginal bone resorption, which means the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3 and group 4(P=0.210). The survival rate of group1 was 97.14%, 92.1% of group3, and 100% of group 2 and group4. According to each type of prosthesis, each average amount of marginal bone resorption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11a(p=0.575) in mandible(p=0.206).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rate of complications might not be affected by placement sites and pre-loading periods. The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the rate of complications might vary as different bone quality of placement site and implant system, diameter, length, etc. It is suggested that the proper placement of immediate loading implants decreases the whole treatment period and any inconvenience occurred to patients.

제2대구치 발치를 이용한 Class I crowding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 CROWDING WITH EXTRACTION OF THE SECOND PERMANENT MOLAR)

  • 박성용;최남기;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1-429
    • /
    • 2001
  • 교정 치료시 비발치에 의한 치료는 종종 치료 결과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환자의 안모가 심미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조화로운 안모와 골격, 치아의 안정성을 위해 발치에 의한 교정치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교정 치료시 바람직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소구치, 대구치 혹은 때때로 절치나 견치를 발치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데, 제1소구치 발치는 대개 I급 구치부관계의 악궁내 총생을 해결하고 치아의 안정성과 바람직한 안모를 얻기 위해 시행한다. 그러나, 안모의 함몰이나 수직 고경 상실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대구치 발치는 치료 후 안모의 풍만감이나 수직 고경이 상실되지 않고 측두하악관절에 덜 위해하며, 폐쇄해야할 공간이 없고 전치부 및 구치부의 총생을 동시에 해결하며 발치된 제2대구치를 제3대구치로 대치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료 후 채발의 관점에서도 제1소구치 발치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I급 구치부관계를 가지는 총생 환아에서 제2대구치 발치를 통해 교합과 안모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e role of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early tooth eruption in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East Asian populations

  • Yamaguchi, Tetsutaro;Kawaguchi, Akira;Kim, Yong-Il;Haga, Shugo;Katayama, Koshu;Ishida, Hajime;Park, Soo-Byung;Maki, Koutaro;Kimura, Ryosuk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6-102
    • /
    • 2014
  • Objective: A recent study suggested that rs6504340, a polymorphism within the homeobox B (HOXB) gene cluster, is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for malocclusions in Europeans. The resulting malocclusions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rs6504340 and other dentition-implicated polymorphisms with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223 unrelated Koreans from the Busan area and 256 unrelated Japanese individuals from the Tokyo metropolitan area. D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saliva specimens. Genotyping for rs6504340 and fou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that have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timing of first tooth eruption and the number of teeth at 1 year of age (rs10506525, rs1956529, rs9674544, and rs8079702) was performed using TaqMan assays. The Index of Orthodontic Treatment Need (IOTN), overjet, overbite, arch length discrepancy, crown sizes, and length and width of the dental arches were measure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rs6504340 and these dental/occlusal traits. Results: We evaluated the aesthetic components and dental health components of the IOTN in the Korean and Japanese populations and found that neither rs6504340 nor the other four SNPs showed any association with dental and occlusal traits in these East Asian populations. Conclusions: These negative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genetic determinants of malocclusions in order to reach a consensus.

Root canal treatment of dens invaginatus and fused tooth

  • Park, So-Young;Bae, Kwang-Shik;Lim, Sung-Sam;Baek, Seung-H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7-251
    • /
    • 2001
  • ;A dental developmental anomaly is defined as an isolated aberration in tooth form, caused by a disturbance or abnormality which occurred during tooth development. There are numerous types of dental anomalies, and a considerable variation in the extent of the defects occurs with each type. Teeth with these anomalies pose unique challenges. Since the defects are not always apparent clinically, they can confuse diagnosticians investigating the etiology of pulpal pathosis. When endodontic treatment is required, the defects often hinder access cavity preparation and canal instrumentation. Treatment planning also becomes more challenging, since the defects can create complicated periodontal problems, and the malformed teeth can be difficult to restore, particularly those weakened by endodontic therapy. Fusion is defined as the joining of two developing tooth germs resulting in a single large tooth structure. The incidence of fusion is < 1% in the Caucasian popul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physical force or pressure produces contact of the developing teeth.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a fused tooth usually appears as one large crown with at least partially separated roots and root canals. There may be a vertical groove in the tooth crown delineating the originally separate crowns. Dens invaginatus is a deep surface invagination of the crown or root that is lined by enamel. Teeth in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rches may be affected, but the permanent maxillary lateral incisor is the tooth most commonly involved. Studies have revealed an incidence ranging from 0.25% to as high as 10%. The invagination ranges from a slight pitting to an anomaly occupying most of the crown and root. The invagination frequently communicates with the oral cavity, allowing the entry of irritants and microorganism either directly into pulpal tissues or into an area that is deparated from pulpal tissues by only a thin layer of enamel and dentin. This continuous ingress of irritants and the subsequent inflammation usually lead to necrosis of the adjacent pulp tissue and then to periapical or periodontal abscesses. If the invagination extends from the crown to the periradicular tissue and has no communication with the root canal system, the pulp may remain vital. Recommended treatment of fused tooth and dens invaginatus has been reported in the endodontic literature.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endodontic treatment of a maxillary laterl incisors having fused crown and dens invaginatus.natus.

  • PDF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치열궁 형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 between Koreans and Egyptians)

  • 장갑수;석경은;;김윤지;김성훈;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34-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부정교합자 368명(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과 이집트인 부정교합자 94명(35 Class I, 32 Class II and 27 Class III)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 형태를 tapered, ovoid, squared의 3가지로 분류하여 두 인종 간 분포 특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이집트인은 한국인보다 대구치 간 폭경과 견치 간 폭경이 유의성 있게 좁았으며 ($p$ < 0.001), 대구치 간 장경과 견치 간 장경이 더 짧았다 ($p$ < 0.001). 이집트인에서는 3가지의 치열궁 형태가 동등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p$ = 0.46), 한국인에서는 square arch form (46.7%)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tapered arch form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18.8%). 본 연구의 결과는 기성품의 초탄성 호선을 선택할 때 인종 간의 차이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의 상악 유치악 치열 및 무치악 치조제에 관한 삼차원적 연구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NORMAL DENTITION AND EDENTULOUS MAXILLA OF KOREANS)

  • 김형섭;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1-203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In Korea, the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dental and edentulous maxillae are manufactured on the base of the statistical value of Westerners. There had been less study on the dental and edentulous arches of Korean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average dental cast,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three-dimensional relation of dental and edentulous maxilla of Koreans Material and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3 dental casts of maxilla (dental: 52, edentulous : 146) with ages $18\{\sim}60$ years old. Each of the master casts was measured 69 measuring points on the dental cast or maxilla, and 46 measuring points on the edentulous cast of maxilla with three-dimensional digital measuring machine. Each measuring points were analysed and were overlapped, that three dimensional dental graphic manufactured by CAD/CAM system. Results. 1. A standard of distribution to alveolar bone were width between left and right buccal border lines of the standard 3/4 line. The mean value of dental and edentulous casts were 67.27mm, 63.49mm respectively. 2.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dental cas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r V-shape, O-shape, U-shape, that proportion of distribution were 17%, 16%, 67%, respectively.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he dental cas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less than 63mm, 63 up to 65mm, 65 up to 67mm. 67 up to 69mm, more than 69mm, respectively. 3.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edentulous cas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r V-shape, O-shape, U-shape, that proportion of distribution were 18%, 17%, 65%, respectively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he edentulous cas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less than 57mm, 57 up to 61mm, 61 up to 65mm, 65 up to 69mm, more than 69mm, respectively. 4. Mean dental and edentulous cast of maxilla were overlapped, the proportion of bone resorption to alveolar bone is higher than that of palatal bone, its difference were higher anterior 2/4 area than posterior 3/4 area. Conclusion. It obtains information of preliminary impression trays for dental and edentulous maxilla of Koreans.

비발치로 치료한 제1급 부정교합자의 재귀현상에 관한 연구 (RELAPSE AND STABILITY : AN EVALUATION OF CLASS I MALOCCLUSION NONEXTRACTION THERAPY)

  • 김구순;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89
    • /
    • 1997
  • 이 연구는 제1급 총생치 부정교합자를 비발치로 치료한 후, 교정치료개시기에서부터 보정완료 후까지 장기간의 변화를 관찰하여 치열의 양적 변화와 그경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자료는 26명에 대한 교정치료개시, 교정치료 직후 빛 보정종료까지의 일련의 석고모형과 두부엑스선규격사진이었으며, 이들을 계측하고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수직부피개의 재귀량은 치료량과 상관성이 있었다. 2. 상악견치간 폭경은 치료직후 확대된 증례에서는 안정성이 있었으나 감소된 증례에서는 재귀율이 컸다. 3. 하악견치간폭경은 치료직후 확대 혹은 축소에 관계없이 재귀율이 높았다. 4. 상하악 전치는 치료직후 순측경사를 보였고, 보정기간동안에 안정성이 있었다. 5. 치료직후 상하악 제1대구치는 대체로 원심경사하였으며 보정기간중에 원래의 위치로 재귀하였으며, 대구치간 폭경은 치료직후 약간 확대되어 보정기간중에 안정성을 보였다. 6. 비발치 치료증례의 보정은 하악 견치간 폭경의 유지에 유의하여야 하며, 하악치열궁의 확대는 해당악골의 생리적한계내에서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