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bitrag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Dynamic Elasticities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Determinants of Mining and Extractive Companies in Jordan

  • Yusop, Nora Yusma;Alhyari, Jad Alkareem;Bekhet, Hussain Al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433-44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lasticities and casualties of financial performance and determinants of the mining and extractive companies listed in Jordan's stock market over the 2005-2018 period. The conceptual framework is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theory and Arbitrage Pricing theory i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Profitability ratio (return on assets) is utilized as a proxy of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ment. Meantime, the company's characteristics, macroeconomic variables, and non-economic factors are utilized as independent factors. Data sources are panel data set for mining and extractive companies over the above period. Fully Modified Ordinary Least Square (FMOLS), Dynamic Ordinary Least Squares (DOLS), and Pooled Mean Group (PMG) methods are applied.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d that company size, sales growth, financial leverage, liquidity, and GDP growth were the critical determinants of mining and extractive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Amman Stock Exchange. Thus, the findings conclude that company characteristics and GDP growth mainly drive financial performance. Moreover, the findings reveal that a bidirectional causal elasticity exists between GDP and financial leverage and return on assets (ROA). Sound financial performance can be obtained by paying more attention to GDP growth and firms' characteristics.

From Knowledge Arbitrager to Policy Entrepreneur? Exploring the Role of Think Tank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 Seo, Il Won;Asmara, Anugerah Yuka;Kwon, Ki-Seo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3호
    • /
    • pp.316-329
    • /
    • 2021
  •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the think tank as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Think tank has contributed to the policy process as a mediator between government and public and as a symbolic entity of intellectual innovation to produce knowledge to the public. As the innovation system mature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research and practice is the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e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ystem. While previous literature highlighted the think tank as the knowledge arbitrager transforming ideas into policy issues, few studies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Is the conventional role of the think tank still persistent in the open innovation system? What are the demanding roles? This paper tackles these questions by reviewing the current role of the South Korean think tank in the science & technology sector.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framework, we suggest that think tanks need to play a bigger role as policy entrepreneurs, crossing policy borders and interacting with other partners.

국제 비철금속 선물가격의 변동성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n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s Futures Price )

  • 양국동;이은화;마예
    • 무역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77-195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s using the BEKK-GARCH model. Statistical data are futures price data of copper (CU), aluminum (AL), nickel (NI), tin (SN) from Shanghai Futures Exchange (SHFE) and London Metal Exchange (LME) from April 1, 2015 to December 31, 2021.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copper, aluminum, and nick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wo-way volatility spillover effect between the Shanghai and London markets, and the international influence of the London market was greater. Second, in the case of the tin, it was found that the Shanghai market has a volatility spillover effect on the London market from stage I, and it is strengthened in stage II. Third, in the case of nicke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wo-way volatility spillover effect in the first stage, but in the second stage, the London market had a unidirectional volatility spillover effect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market. This study confirmed that China'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nternational investors can engage in arbitrage and hedging using China's non-ferrous metal futures market.

Digital Orientation for Emerging Multinationals and the Location Strategies in Internationalization: The Chinese Experience

  • Xinyue Zhang;Bo Kyung Kim;Jooyoung Kwak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6
    • /
    • 2023
  • Purpose Despite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ot clear whether emerging market firms follow their manufacturing FDI path in the emerging digital industries. This paper examines how digital orientation affects the location strategies in internationalization and how the existing innovation capacities moderate the link between digital orientation and the location strateg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hooses the Chinese setting for research design because digital transformation is already prevalent in the society and the cases of outward expansion are salient among the emerging markets. It uses the panel dataset of 976 Chinese listed firms that consists of 6,648 observations spanning from 2007 to 2017.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is used for the statistical approach with a one-year lag in the model. Findings Digital orientation increases a likelihood of emerging multinationals' entr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a high level of innovative capacities strengthens the link. Two groups seem to prefer entries in developed countries: firms with a high level of digital orientation with a high level of innovative capacities and firms with a low level of digital orientation, if with a low level of innovative capacities. The former reflects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latter hints at the tax avoidance or interests in real estat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While emerging multinationals are known to prefer en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capacity arbitrage, our results forecast that their FDI strategies may have a drastic change as digital transformation deepens.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차익거래 유인에 대한 분석 (Margin and Funding Liquidity: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overed Interest Parity in Korea)

  • 정대희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1호
    • /
    • pp.29-52
    • /
    • 2012
  • 한국 원화와 미 달러화 간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covered interest parity)의 괴리는 2007~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 큰 폭으로 증가하여 1,000bp(2008년 11월)를 상회한 바 있고, 최근에도 100bp를 기록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본고는 금융위기시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가 큰 폭으로 붕괴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Garleanu and Pedersen(2011)의 마진을 기초로 한 자산가격결정모형(margin-based asset pricing model)을 상정하고 칼만 필터(Kalman filtering) 기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의 괴리는 글로벌 달러 유동성 및 원화를 이용한 자금조달여건과 유의한 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동성과 자금조달여건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여 달러 유동성 위기 시 무위험 이자율 평형관계의 괴리가 추가적으로 증폭되는 유동성 악순환(liquidity spiral) 현상이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고는 달러 유동성 공급 및 자금조달여건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차익거래 유인이 높은 것은 환율 변동성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 PDF

Evaluation of interest rate-linked DLSs

  • Kim, Manduk;Song, Seongj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1호
    • /
    • pp.85-101
    • /
    • 2022
  • Derivative-linked securities (DLS) is a type of derivatives that offer an agreed return when the underlying asset price moves within a specified range by the maturity date. The underlying assets of DLS are diverse such as interest rates, exchange rates, crude oil, or gold. A German 10-year bond rate-linked DLS and a USD-GBP CMS rate-linked DLS have recently become a social issue in Korea due to a huge loss to investors. In this regard, this paper accounts for the payoff structure of these products and evaluates their prices and fair coupon rates as well as risk measures such as Value-at-Risk (VaR) and Tail-Value-at-Risk (TVaR).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risky these products were and whether or not their coupon rates were appropriate. We use Hull-White Model as the stochastic model for the underlying assets and Monte Carlo (MC) methods to obtain numerical results. The no-arbitrage prices of the German 10-year bond rate-linked DLS and the USD-GBP CMS rate-linked DLS at the center of the social issue turned out to be 0.9662% and 0.9355% of the original investment,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Korea government bond rate for 2018 is about 2%, these values are quite low. The fair coupon rates that make the prices of DLS equal to the original investment are computed as 4.76% for the German 10-year bond rate-linked DLS and 7% for the USD-GBP CMS rate-linked DLS. Their actual coupon rates were 1.4% and 3.5%. The 95% VaR and TVaR of the loss for German 10-year bond rate-linked DLS are 37.30% and 64.45%, and those of the loss for USD-GBP CMS rate-linked DLS are 73.98% and 87.43% of the initial investment. Summing up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we could see that the DLS products of our interest were indeed quite unfavorable to individual investors.

탄소배출권 EUA와 sCER의 가격 차이 패턴 및 스프레드(Spread) 결정 요인 분석 (Analysis on Price Driver of Spread and Different Patterns of EUA and sCER)

  • 박순철;조용성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2권4호
    • /
    • pp.759-784
    • /
    • 2013
  • 배출권거래제에서는 할당된 배출권과 상쇄배출권을 의무준수에 이용할 수 있으며, 가격차이가 존재하면서 대체가능한 상품의 존재는 의무준수에 수반되는 총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회이면서 차익거래의 기회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EU ETS의 Phase 2 전 기간을 대상으로 할당 배출권인 EUA와 상쇄배출권인 sCER 간의 가격 영향 요인을 각각 살펴보고, 두 유닛간의 차격차이를 의미하는 스프레드의 발생원인 및 결정 요인을 AR-GARCH 모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EUA와 sCER은 EU ETS를 중심으로 공통적인 가격 영향 요인과 상이한 가격 영향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UA와 sCER은 석탄가격(-), 금융위기(-)와 같은 에너지와 경제변수, 제도 운영변수에 대해서는 공통적인 영향을 받지만, 전력가격, CER 사용제한과 같은 정책변수, EUA와 ERU간의 가격차 등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너지가격이 상승할 경우 탄소배출권 가격의 스프레드가 넓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석유 가격과 전력 가격의 변동은 탄소배출권 가격의 변동 폭을 크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EUA와 ERU의 가격 차이가 커질수록 스프레드가 넓어지는 현상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결과는 EU ETS의 운영상 특징으로 인해 EUA와 ERU의 가격차이가 sCER의 가격과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EU ETS의 Phase 2를 전 기간을 대상으로 탄소배출권 가격 스프레드의 변동 원인을 실증 분석하여, 2012년도에 EUA와 sCER의 스프레드가 급속히 증가하는 원인을 설명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이러한 원인들이 대부분 정책적인 변화라는 측면에서 향후 우리나라에서 도입예정인 ETS에 대해서도 에너지 가격 등의 구조적인 요인들과 함께 정책적인 측면도 가격 변동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설명하였다.

글로벌 통합화에 있어 정보기술 채널을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과 정서적.경제적 몰입의 역할 (The Role of Social Communication, Affective and Calculative Commitment In Global Integration Through The Channel of Information Technology)

  • 이재범;노미정;김민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65-81
    • /
    • 2011
  • 본 연구는 현지화(Adaptation), 집합(Aggregation), 재정거래(Arbitrage)의 세 가지 특징을 지니는 초국적 기업의 글로벌 통합화(Globally Integrated)에 있어 정보기술 채널 통한 직원들의 사회적 의사소통과 정서적 경제적 몰입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보기술 채널의 활성화를 통해 협업이 잘되고 있는 초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모델 분석을 위해서는 AMOS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정보기술 채널을 통한 직원들의 사회적 의사소통은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도구 이상으로 직원들의 정서적 및 경제적 몰입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국적 기업의 특정인 글로벌 통합화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및 경제적 몰입도 글로벌 통합화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및 경제적 몰입은 직원간의 정보기술 채널을 통한 사회적 의사소통과 글로벌 통합 간에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기술 채널을 통한 정서적 커뮤니케이션과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 고려해야 함을 의미하며, 기업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뜻한다. 본 연구는 초국적 기업으로 변화를 꾀하는 기업들에게 정보기술 채널을 통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증가와 이를 통한 정서적 사회적 몰입 환경 구축에 대한 중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주식시장관리제도와 소셜 미디어의 역할 - 개인 투자자 집단 유형과 토픽 분석 - (The Role of stock market management and social media - Analyzing the types of individual investor and topic -)

  • 김정수;이석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23-47
    • /
    • 2015
  • 국내 주식시장 내 개인 투자자들은 주식거래를 장기적인 투자방안보다 단기 매매차익 실현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어 시장의 투명성과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주식 시장관리제도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은 금융정책에 의한 시장조치로 불확실한 상황에 직면하여 투자환경에 따라 동태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투자자 보호를 위한 시장조치의 실효성 여부를 투자자들의 반응과 행동변화를 통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장관리 조치(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전후로 개인 투자자 집단의 유형 및 반응의 변화추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기업 중 텍스트 분석이 가능한 9개의 기업을 선정(2009년~2014년)한 후, 국내 주식 관련 소셜 미디어(종목 토론실)로부터 웹 크롤링을 통해 개인들의 메시지를 수집하였다. 사건 발생에 따른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사(토픽)와 변화추이는 텍스트 클러스터링과 토픽모델링 방법을 활용하여 개인 투자자 유형을 투자자와 비투자자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정 주식 종목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 형태가 존재하며, 실질심사 대상 선정 전후로 비투자자 유형은 감소하고, 투자자는 시장 참여 유형에 따른 비중변화가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장 조치에 따른 주식시장 내 제도의 영향을 시간(사건)경과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의 반응변화를 통해 파악한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미곡시장(米穀市場) 구조변화(構造變化)와 가격지지정책(價格支持政策) (The Rice Price Support Program in the midst of Structural Change)

  • 김지홍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26
    • /
    • 1990
  • 1990년대에 들어 한국(韓國)의 미곡시장(米穀市場)은 대내외적(對內外的)으로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다. 대외적(對外的)으로는 "우루과이라운드" 및 쌍무협정을 통해 대외개방(對外開放)과 생산보조금(生産補助金)의 감축에 대한 압력에 직면해 있고, 대내적(對內的)으로도 쌀소비의 감소(減少)로 1989년부터는 정부수매가격(政府收買價格)이 도매가격(都賣價格)을 상회하는 구조적(構造的)인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가격역전현상(價格逆轉現象)은 민간상인(民間商人)의 재고기능(在庫機能), 계절적(季節的) 가격안정기능(價格安定機能), 유통기능(流通機能)을 위축시키며, 정부재정(政府財政)에 주는 부담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미곡시장(米穀市場)의 가격구조(價格構造) 및 유통과정(流通過程)을 왜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미가지지정책(米價支持政策)을 통환 증산(增産)보다는 농촌생활기반조성(農村生活基盤造成) 및 농업구조조정(農業構造調整)으로의 전환(轉換)이 필요하다. 그러나 농민들의 농업정책(農業政策)에 대한 불신, 농업기반(農業基盤)의 취약성, 그리고 정치적인 역학관계를 고려할 때 정부(政府)의 일방적인 지시보다는 농민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代案)을 제시함이 바람직하며, 점진적인 구조개선(構造改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전환기에 처한 한국(韓國) 미곡시장(米穀市場) 현황(現況) 대한 경제적(經濟的) 분석(分析)과 사회적(社會的) 비용(費用) 및 마찰(摩擦)을 최소화(最小化)하며 대내외(對內外)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정책대안(政策代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