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insect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초

경안천수계에 있어서 수서곤충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A Study on the Biological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evels by the Aquatic Insects in Kyungan Stream, Kyunggi-Do)

  • 배경석;이상수;신도철;이용진;김진곤;오수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3-74
    • /
    • 1990
  • The present study was accomplished from March to August, 1990 in order to exa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and the biological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evels by the aquatic inseets of Kyungan stream in Kyunggi-do. 1. The aquatic inseets of whole area composed of 78 species, 42 genera, 26 families in 8 roders. 2. The occurrence species number show highest at Gungpyung-ri(29 species) and lowest at Yongin town(1 species) 3. Dominance indices show lowest at Gungpyung-ri(0.35) and highest at Yongin town(1.00) and Choboo-ri(1.00) 4. Species diversity indices show highest at Gungpyung-ri(3.53) and lowest at Yongin town(0.00) 5. The biological estimation of each area's water quality levels based on the diversity index are as follows. Oligosaprobic area : Gungpyung-ri, Muchu-ri $\alpha$ mesosaprobic area : Yooeun-ri, Choboo-ri(K4), upper site of Wangsanri, Yeuk-ri, Wangsan-ri. $\beta$ mesosaprobic area Gonjiam-ri, Dopyoung-ri, Kyungan-ri, Wondang-ri. Polysaprobic area : Yongin town, Choboo-ri(K5)

  • PDF

지리산 천왕봉 일대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Biological Estimation of Water Quality at Creeks in the Cheonwang-bong of National Park of Mt. Jiri and Its Nearby Area)

  • 배경석;길혜경;유병태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2호
    • /
    • pp.16-26
    • /
    • 2003
  •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nd biological estimation of water quality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park of Mt. Jiri and its nearby area in Gurye, Sancheong and Hadong-gun from June to November, 2002. Total tax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124 species, 45 families, 15 orders, 5 classes in 3 phyla. Aquatic insects were 33 species in ephemeroptera, 28 species in Trichoptera, 21 species in plecoptera, 13 species in Diptera, 8 species in odonata, 5 species in hemiptera and 5 species in coleoptera, respectively. Non-insects were 5 species in Mollusca, 2 species in Hirudinea, 1 species in oligochaeta and 1 species in crustacea, respectively. Ephemeroptera, trichoptera and plecoptera as indicators in clean water were very abundant. Occurrence species at each survey area was 68 species at Mt. 1025-goji, 59 species at Mt. Eungseok-bong, 57 species at Mt. Wangdeung-jae, 50 species at Mt. Cheonwang-bong and 39 species at Mt. 645-goji, respectively. Mean species diversity indices at Mt. Cheonwang-bong, Mt. 1025-goji, Mt. Wangdeung-jae, Mt. Eungseok-bong and Mt. 645-goji were 3.33, 3.03, 3.41, 3.02 and 2.91,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aprobic system based on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most survey areas except some sites are determined as Limnosaprobic area.

수서곤충 EPT-group을 이용한 무심천의 조사지점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Musim Stream by Surveyed Sites Based on EPT-group of Aquatic Insects1a)

  • 신현선;오사무 미타무라;김숙정;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0-426
    • /
    • 2008
  • 본 연구는 무심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9개 지점을 선정하여 수서곤충의 EPT-group을 이용하여 EPT-비율, EPT 풍부도, EPT 종수와 개체수를 지점별로 비교분석하였고 수서곤충의 종 조성에 따른 UPGMA분석으로 조사지점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수서곤충의 섭식기능군은 하천차수에 의해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무심천의 수서곤충은 총 8목 36과 71종으로 조사되었고 EPT 비율과 EPT 풍부도는 지점 3에서 각각 0.72, 3.89로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지점 9에서는 0.03, 0.09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또한 EPT 종수 및 개체수는 지점 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UPGMA분석 결과 무심천의 각 지점은 A1(st. 1, 7, 8), A2(st. 2, 3, 4, 5, 6), B(st. 9)로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섭식기능군은 지점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중류역에서는 써는무리와 긁어먹는 무리가 다른 지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하류에서는 걸러먹는무리와 줍는무리가 우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의하면 조사지점에 따라 수서곤충의 EPT-richness, EPT-ratio, EPT 수 뿐만 아니라 섭식기능군의 조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수계 수서곤충 섭식기능군의 공간분포 분석 및 예측 (Analysis and Prediction for Spatial Distribution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in the Geum River)

  • 김기동;박영준;남상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18
    • /
    • 2012
  • 본 연구는 하천구배에 따라 환경요인 및 생물군집이 변화한다는 하천연속성 개념(River Continuum Concept, RCC)을 금강 수계에 적용하여, 수서곤충 섭식기능군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서곤충 생물군집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들과 생물군집의 분포관계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인으로 선정된 환경요인들에 따른 생물군집의 분포특성을 발생확률 예측기법인 빈도비 모델(Frequency Ratio Model, FRM)과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공간분석기법에 적용하여 수서곤충 섭식기능군의 분포예측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고도, 하폭, 유속, conductivity, 수온, 모래의 함량 등 6개 환경요인의 결정계수($R^2$)가 0.5 이상으로 나타나 수서 곤충 섭식기능군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작성된 분포예측자료와 연구지역에 대하여 기 조사된 실측자료를 비교 검증한 결과, 두 자료 사이의 평균제곱근오차(RMSE)가 0.1892~0.4242로 나타나 예측모델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서곤충 섭식기능군을 이용한 하천생태계의 새로운 평가방법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하천 서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천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Gigye Stream)

  • 김중락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8호
    • /
    • pp.879-889
    • /
    • 2008
  •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investigated from Gigye stream, Pohang, Korea from May to November, 2007. As results, total of 108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under 49 families, 15 orders, 5 classes in 3 phyla were identified. The number of species was the most abundantly revealed in aquatic insects (class Insecta) with 86 species (82.6%) under 7 orders. The phylum Mollusca (10 species, 9.2%) and the phylum Annelida (6 species, 5.6%) were followed in order. In the class Crustacea, 6 species (5.6%) were distributed. In aquatic insects, the order Odonata was the most abundant taxon (20 species, 23.3%). Seventeen species (19.8%) of the order Ephemeroptera and 16 species (18.6%) of the Coleoptera were followed. The primary dominant species in the stream was Cloeon dipterum of Ephemeroptera. For community analysis, the values of diversity index (H'), evenness index (J'), dominance index (DI) and richness index (RI) were studied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m were 5.65, 0.84, 0.13, and 13.18, respectively.

한국의 수서갑충에 기생하는 라블베니아균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aboulbeniales Parasited on Aquatic Coleoptera in Korea)

  • 이용보;김수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1990
  • 1988년 3월부터 1988년 9월까지 한국의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수생갑충을 채집하여 라블베니아균류의 기생여부를 조사한 결과 2속 4종의 미기록종을 발견하였기에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Autoicomyces bicornis Thaxter Chitonomyces chinensis Thaxter Chitonomyces melanurus Peyritsch Chitonomyces paradoxus(Peyritsch) Thaxter 이들 표본은 모두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학과 연구실에 보관되어 있음.

  • PDF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교란정도가 다른 연못의 수서곤충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Fauna in Differently Disrupted Ponds Located in Gungdaeoreum, Jeju)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33-441
    • /
    • 2020
  • 본 연구는 교란 정도가 다른 정수역 연못에서 수서곤충 분포 특성을 이해하고자, 2018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3곳의 인공연못(연못 1, 2, 3)과 2곳의 자연연못(연못 4, 5)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목 15과 50종의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잠자리목 4과 14종, 850 개체, 노린재목 6과 14종, 4,391 개체, 딱정벌레목 4과 22종, 2,014 개체가 확인되었다. 수서곤충의 개체수와 종의 수는 상대적으로 기존 동식물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잘 조성된 자연연못에서 인공연못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공연못의 경우도 수초 등을 도입하여 재조성한 경우 개체 수와 종수가 회복되는 현상을 보였다(연못 1). 잠자리목 유충은 포식자인 대형 어류가 존재하지 않고 성충의 진입이 차단되지 않는 연못에서는 다수 발견되었다. 노린재목의 경우 식식성인 물벌레과의 곤충들이 전체적으로 많이 발견되었으며, 딱정벌레목은 식물생태계 분포에 따라 물진드기과의 개체수에 영향을 받았다. 이렇게 수서곤충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형과 수생식물을 통한 은신처와 포식자의 존재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잠자리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결과는 향후 습지를 복원 및 인공 습지를 조성하거나 종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금속 노출에 따른 리파리 깔다구에서의 ADH 유전자의 발현 및 특성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Chironomus riparius Alcohol Dehydrogenase Gene under Heavy Metal Stress)

  • 박기연;곽인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2호
    • /
    • pp.107-117
    • /
    • 2009
  • Metal pollution of aquatic ecosystems is a problem of economic and health importance. Information regarding molecular responses to metal exposure is sorely needed in order to identify potential biomarker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vy metals on chironomids, the full-length cDNA of alcohol dehydrogenase (ADH3) from Chironomus riparius was determined through molecular cloning and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The expression of ADH3 was analyzed under various cadmium and copper concentrations. A comparative and phylogenetic study among different orders of insects and vertebrates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sis of sequence databases. The complete cDNA sequence of the ADH3 gene was 1134 bp in length. The sequence of C. riparius ADH3 shows a low degree of amino acid identity (around 70%) with homologous sequences in other insects. After exposure of C. riparius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copper, ADH3 gene ex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in 1 hour. The ADH3 gene expression was also suppressed in C. riparius after cadmium exposure for 24 hour. However, the effect of cadmium on ADH3 gene expression was transient in C. riparius. The results show that the suppression of ADH3 gene by copper exposure could be used as a possible biomarker in aquatic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imply differential toxicity to copper and cadmium in C. riparius larvae.

밀양댐 수계의 수서곤충 군집에 대하여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in Miryang-Dam Water System)

  • 박연규;박현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46
    • /
    • 2000
  • 밀양댐 상 하류 7개지점에 대하여 2000년 6월5일부터 6월6일까지 수서곤충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서 곤충류의 총분류군은 7목 25과 49속 67종이었다. 총 출현종수 67종 중 하루살이류 29종, 날도래류 22종, 강도래류 7종, 파리류 6종이었으며, 기타 뱀잠자리목,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각 각 1종씩 출현하였다. 출현한 개체수비율은 하루살이류가 71%, 파리류 11.9%, 날도래류 11.2%, 강도래류 5.1%, 딱정벌레류 4.6%로 나타나, 하루살이류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전체 분류군에서의 제1우점종은 Epeorus latifolium이었고 제 2우점종은 Epeorus aesculus였으며 우점도지수는 0.36였다. 우점종은 전지점 하루살이류였고, 우점도지수는 제6지점이 0.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3지점이 0.1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제3지점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7지 점이 3.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에 근거한 오수생물계열로 볼 때, 전지점이 Oligosaprobic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극히 양호한 수환경상태를 보였다.

  • PDF

척과천에 서식하는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atus)의 생태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udgeon, Squalidus multimacultus in Cheokgwa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01-608
    • /
    • 2021
  • 점몰개(Squalidus multimacultus)의 생태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태화강 지류 척과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 하상구조는 모래(sand)가 매우 풍부하였으며, 수심은 25~164cm이었고 평균 68cm로 다소 깊었으며, 유속이 0.21±0.26(0.16~0.43)m/sec로 느렸다. 암수 성비는 1 : 0.99이었다. 전장빈도분포도에 따른 연령은 여름(6-7월)기준으로 50mm 미만(29.4~49mm)은 만1년생, 50~69mm은 만 2년생, 70~89mm은 만 3년생, 90mm 이상은 만 4년생으로 추정되었다. 생식가능 전장의 크기는 암컷과 수컷 모두 40mm 이상 되면 성적 성숙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는 7월에서 8월(산란성기 8월)이었며 수온은 23.8~25.4℃이었다. 포란수는 평균 1,395(648~2,201)개 이었고 성숙란은 노란색 구형으로 직경이 0.67±0.24(0.62~0.83)mm이었다. 먹이생물은 부착조류(Attached algae), 동물플랑크톤(Zooplankton), 수서곤충(Aquatic insects), 연체동물(Mullusca) 등이었다. 식성은 잡식성이었으나 섭취한 먹이의 양이 95% 이상은 부착조류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고 있었다. 점몰개의 크기가 클수록 동물성 먹이인 수서곤충을 섭식하는 양과 섭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수서곤충을 섭식한 개체는 식물성 먹이를 거의 섭취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