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quatic ecosystem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9초

카드뮴과 구리에 노출된 풍년새우의 생태독성 (Studies on Endpoints of Toxicological Evaluation of Heavy Metals in Brachinella kugenumaensis)

  • 박기연;이동주;이창훈;원두희;이원철;곽인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3호
    • /
    • pp.241-249
    • /
    • 2009
  • 수서생태계에서 중금속 오염은 경제적, 환경보건적으로나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 중금속에 의한 생태계의 안전과 건강성에 대한 우려가 대두되고, 이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무갑류인 풍년새우(Branchinella kugenumaensis)를 대상으로 카드뮴(Cd)과 구리(Cu)의 장기간 노출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기간(30일) 동안 Cd와 Cu에 노출된 풍년새우에서 생존율이 모든 농도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p<0.05). 특히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Cd와 Cu 노출된 개체들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p<0.01), Cd 노출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반응이 나타났다. 풍년새우의 성장률 또한 두 중금속 노출 후 모든 농도에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풍년새우의 내구란 수로 관찰한 생식율은 Cd와 Cu 노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장기적인 중금속 고농도 노출에서 풍년새우의 생식이 심각하게 저해되는 반면에, 풍년새우의 성비에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Cd 노출 후에 풍년새우에서 비대칭적인 telson 형태기형이 관찰되었으나 이러한 기형형태는 대조군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Cd와 Cu의 중금속 장기노출에 의해 풍년새우의 생물학적 반응지표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장기적인 노출실험 결과, 풍년새우는 중금속 노출에 대해 민감한 지표종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수생태계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반 자료로 중요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고려되어졌다.

국내 6개 하천에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상 (Fish Fauna Using Fishway on Six River in Korea)

  • 김동억;박제철;황종서;김동섭;이완옥;황길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55-264
    • /
    • 2020
  • 국내 주요 6개 하천의 보에 설치된 어도에서 2~9년 이상 매월 연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어류의 어도이용을 조사하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어도 출구부에서 trap에 의한 직접 채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6개 지점의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대략 2~7종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어류의 어도 이용이 종적 생리특성에 따라 특화된 결과로 보이며, 단순히 어도에서의 흐름에 따라 어도 이용을 유인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6개 지점에서 어도 이용 어류의 분포는 하천의 위치 및 보에 설치된 어도형식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차이는 해양 및 하구로부터 이동한 회유종의 분포 여부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어도형식에 따른 수리특성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다. 대체로 어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보이는 버티컬슬롯식 어도에서 어도이용 종수가 적고 유영능력이 좋은 어류의 비율이 높았다. 어도를 이용하는 주요 어류의 분석결과는 어도 계획과 이를 위한 주요 대상종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생물학적 물환경평가의 현황과 미래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Biological Assessments of Water Environment in Korea)

  • 황순진;김난영;원두희;안광국;이재관;김창수;신재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57-767
    • /
    • 2006
  • Biological assessments are the primary tool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condition of a water body and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ccumulative and long-term effect of stressors. They also provide reliable biological information for which disturbed systems are to be restored. Sustainable water environment is not enough with attaining only the clean water, but it should sustain healthy and diverse aquatic life. Aquatic organism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not only water quality but also habitat condition and stressors, and thus good condition of both physical and chemical water quality is prerequisite for sustaining healthy organisms. Therefore, biological assessment, along with other physical and chemical assessments, are crucial for evaluating the health of a water body. Overall, sustainability of water environment demands the attainment and maintenance of ecological integrity, which is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integrity. The biological criteria will play very important role i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issues, and thus bioassessment program should be fully implemented and supported eventually by the law. To keep ecosystem health of water environment safely from the toxic pollutants and other stressors, the following suggestions need to be considered in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in Korea. For the first step, the biological indicators need to be introduced in evaluating river quality condition; they provide a qualitative description of biological condition of water body. Secondly,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standards using biotic indic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under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river systems. Lastly, the ecological status classification regime (ESCR) should be developed and introduced; it could be used in quality assessment of the water environment in general. In developing ESCR, integration of physico-chemical, biological, and habitat paramet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천연기념물 물거미(Argyroneta aquatica)와 수생태 환경 요인과의 관계와 관리 방안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gyroneta aquatica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quatic Ecosystem)

  • 정헌모;김해란;조규태;이승연;유영한;홍승범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36-142
    • /
    • 2019
  • 물거미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연천군 은대리의 좁은 습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물거미 개체군에 영향을 주는 서식 환경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습지내 물거미의 개체수와 수생태계의 다양한 물리화학 및 생물학적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물거미의 개체수는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환경요인 중에서 습지의 면적이 좁고 암모니아태질소와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물거미는 포식자나 먹이인 피식자와는 관련성이 낮고 왕우렁이의 개체수가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정수식물의 피도와는 관련성이 없었으나 부엽식물의 피도가 높을수록 물거미수는 감소하였고, 그 반대로 침수식물의 피도가 높을수록 이에 비례하여 물거미 수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물거미의 서식환경에서 수생식물이 중요하게 관련됨을 의미하고, 현재 이 서식지에서 외래종인 왕우렁이는 수생식물의 최대 섭식자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어대책이 시급히 필요하다.

하천환경종합평가의 적용 및 개선방안 - 서울시 한강 지류하천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for River Environments - Focusing on Tributary Streams of the Han River in Seoul -)

  • 안홍규;이상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6호
    • /
    • pp.441-452
    • /
    • 2020
  • 하천환경평가는 현재의 하천환경을 조사하고 평가함으로써 하천복원 사업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고, 사업 직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재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하천사업이 목표에 맞도록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간 서울시는 훼손된 하천의 물리적 형태 및 생태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사업으로 지난 2000년대부터 한강 대부분의 지류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이 진행되었으며, 복원이후에 하천환경은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관할 28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별로 물리특성, 수질특성, 생태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세가지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물리특성은 대부분의 하천이 II-III 등급이며, 수질특성 분석에서 대부분의 하천들은 III-IV 등급, 생물특성인 수생태계건강성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훼손하천 등급에서는 모든 하천이 D-E 등급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서울시 모든 하천이 수질과 수생태계건강성에 있어서는 건강하지 못한 환경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보다 장기적이며 체계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배스(Micropterus salmoides) 시공간 분포 분석 및 생태위해성 평가 (Long-term distribution trend analysi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based on National Fish Database, and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s)

  • 김정은;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207-217
    • /
    • 2021
  • 본 연구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어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담수 생태계에 도입된 배스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분석을 통해 핫스팟 지역을 분석하였다. 위해성 평가를 통해 배스의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여 수생태계 생물 다양성 교란에 대한 영향을 재고하였다. 분포 분석 결과, 제주도 지역을 포함하여 한강권역과 낙동강권역, 금강권역, 영산강·섬진강권역 전체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권역에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영산강·섬진강권역에서 비교적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스의 공간적 군집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는 낙동강권역의 낙동강수계가 선정되었으며, 반대로 낮은 지역으로는 한강권역과 금강권역의 인접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대부분의 담수하천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배스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31점의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담수 생태계에 정착한 것으로 파악되는 생태계교란종인 배스로부터 실질적인 관리 우선지역을 도출하여 담수 생태계 다양성 보전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금나노입자 및 금이온의 수서생태독성 연구동향 (Research Trend of Aquatic Ecotoxicity of Gold Nanoparticles and Gold Ions)

  • 남선화;안윤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3-319
    • /
    • 2012
  • Various nanomaterials may flow into the aquatic ecosystem via production, use, and treatment processes. Especially, gold nanoparticles (AuNPs) were categorized as manufactured nanomaterials presen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Working Party on Manufactured Nanomaterials (OECD WPMN) in 2010. AuNPs have been used in medical area, however, they were reported to induce cytotoxicity and oxidative DNA damage, as well as down-regulation of the DNA repair gene in mice and human cell lines. In this study, the aquatic toxicity data of AuNPs and gold ions were collected, with the specific test method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form and size of AuNPs, test species, exposure duration, and endpoints. Currently, aquatic toxicity data of AuNPs and gold ions have been presented in 14 studies including 4 fish, 6 crustacean, 2 green algae, and 2 macrophytes studies, as well as a further 8 studies including 4 fish, 4 crustacean, 1 platyhelminthes, and 1 green algae, respectively. The AuNPs were 0.8-100 nm in size, as gold nanoparticles, gold nanorod, glycodendrimer-coated gold nanoparticles, and amine-coated gold nanoparticles. The tested endpoints were the individual toxicities, such as mortality, malformation, reproduction inhibition, growth inhibition and genetic toxicity such as oxidative stress, gene express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The accumulation of AuNPs was also confirmed in the various receptor organ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aquatic toxicity of AuNPs and gold ions, as well as being applicable to future toxicity studies on AuNPs.

수생태 환경 연구에 있어 안정동위원소의 활용과 전망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Stable Isotope in Aquatic Ecology and Environmental Study)

  • 최보형;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1권1호
    • /
    • pp.96-104
    • /
    • 2018
  • 안정동위원소비는 전 세계적으로 수생태 환경 연구에서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로써, 국내에서도 2000년대 이후 담수 및 연안 생태계의 먹이망 구조 연구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총 조직내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한계점을 인지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사례들이 보고됨에 따라 수생태 연구의 활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기술적인 접근성의 한계에 의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생태계 연구를 위해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활용한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지만, 국내 다양한 하천 및 호수 그리고 연안의 환경 변화 특성을 고려할 때, 향후 수생태 환경연구에 있어 그 유용성과 활용 가치가 대단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알킬페놀류 화합물의 양서류 내분비계장애 효과 (Endocrine Disruption by Alkylphenols in Amphibians)

  • 안혜선;박찬진;안효민;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1
  • 지구적으로 양서류가 감소하고 있다. 수정 후 변태에 이르는 생활사를 수중에서 진행하는 양서류는 수환경 내의 오염물질에 1차적으로 노출되며 독성효과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수환경의 오염에 특히 취약하다. 양서류는 수서생태계의 건강도 지표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배아 또는 유생에서 분자 및 개체수준의 다양한 생체지표를 이용한 내분비계장애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오염물질의 독성평가 모델로서도 유용하다. 양서류에서 얻어진 독성자료는 수환경 오염물질의 관리와 안전관리기준의 설정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알킬페놀류 화합물이 농업, 공업, 가정활동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환경 내에 잔류한다. 이들은 다양한 수생동물에서 내분비계장애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소고에서는 양서류의 배아, 유생을 대상으로 알킬페놀류 화합물의 종류별, 노출경로 및 농도, 노출기간 및 발생단계 등에 따른 내분비계장애효과와 그 기작에 관한 국내외 자료를 정리하였다.

성 성숙 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 투여를 이용한 백점얼룩상어 (Chiloscyllium plagiosum)의 성 성숙 유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on Induction of Maturation in White-Spotted Bambooshark Chiloscyllium plagiosum)

  • 김기혁;전지민;문혜나;남궁진;여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09-314
    • /
    • 2023
  • Shark populations are constantly decreasing owing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overfishing; thus, sharks are now at risk of extinction, with 30.5% of species classified as endangered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s Red List. Sharks are apex predators and keystone species in balancing the marine food chain; their extinction would create an imbalance in the entire marine ecosystem.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s a last resort for protecting animals facing extinction. Here, as a proactive effort toward building a hormone-induced artificial insemination protocol for endangered wild sharks, w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germ cell maturation by administration of GnRH, a commercially produced synthetic salmo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d calculated its optimum dosage and injection timing.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one shark species, Chiloscyllium plagiosum. Injections were administered in 24 h intervals to C. plagiosum females, and 0.2 mL/kg+0.2 mL/kg were the optimal doses. These doses effectively induced maturation and, and ovulation, and oocyte release. Our results confirm that GnRH is a suitable tool for shark hormone-induced artificial insemination and indicate that this method may facilitate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shark species.